• 최종편집 2024-03-29(금)
 

18d8bc3eb13533fa57b47ea6aad3fd1f41345b3c.jpg
1965년 1월 3일, 제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유소기가 재차 국가주석으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이 날 모택동은 어느 한 작은 회의에서 이름은 밝히지 않고 유소기를 비판하였다.

그는 <4청> 공작대는 많은 인력으로 40일간이나 학습하면서 농촌으로 내려가지 않는다고 질책했다.

이에 유소기가 공작대가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우경주의를 반대하고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하자 모택동은 “뭐 우경주의를 반대하고 방지하는거라구?! 학습할 수록 멍청해지는 일군들이라구. 다른 사람의 우경은 반대하지만 오히려 자신이 결과적으로 우경으로 나아가고 있다구”라고 하며 정면으로 유소기를 공격했다.

“대중한테 의거하지 않고 여기저기 쏘다니기만 하니 결과는 뻔하지 않수?! 그리고 당신들이 제정한 두번째의 <10조>는 너무 길고 복작해.”

그러면서 모택동은 <4청>운동에 있어서 첫째 문건을 너무 많이 읽지 말고둘째 사람이 너무 많아서도 안되며 셋째 여기저기 쏘다니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중에 의거하고 소수의 나쁜 분자를 청산해야 한다. 문제가 있으면 청리하고 문제가 없으면 청리하지 말아야 하며 근거가 없으면 기어코 근거를 찾으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1월 14일 모택동은 또 각 지구급 당위서기들이 모인 장소에서 다음과 같이쐐기를 박았다.

“1963년 5월 항주회의에서 출범된 제1개 10조가 있는데 3개월이 지나 또 9월에 북경에서 뚱딴지같은 10조가 나왔다. 근근히 3개월 사이에 그렇게 많은 경험들이 누적될 수 있단 말인가?!”

이러면서 모택동은 북경에 있는 2개의 <독립왕국>을 엄숙하게 비판했다. 모택동이 가르키는 2개의 <독립왕국>이란 바로 중앙서기처와 국가계획위원회였다.

그러자 그 누구도 모택동의 말을 거역할 수가 없었다. 중앙에서는 부랴부랴모택동의 지시정신에 근거하여 문건들을 대폭 수정, 내용상 17조를 23조로 변경하였으며 제목을 <목전 농촌사회주의 교육운동 중에서 제출된 일련의 문제>라고 달았다. 이 23조는 1월 14일 회의에서 토론 통과되고 모택동의 심열을 거친 뒤 즉시 각 기층으로 발부되었다.

당시 모택동은 23조를 수정하면서 <4청 및 4불청간의 모순>과 <당내외 모순의 교차>란 제지법에 대해 신날하게 비판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다.

이 제기법은 사회상의 4청, 4불청간의 모순을 설명한 것도 아니고 당내외 모순의 교차에 대해 설명한 것도 아니다. 소위 4청 및 4불청은 지난날 역사상 그 어떤 사회에서도 사용했었고 소위 당내외 모순의 교차 역시 그 어떤 당파에서도 사용하던 것으로서 모두 오늘날 모순의 성질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적 논법으로 될 수 없다.

이 글에서 모택동은 비록 유소기를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계기로 모택동과 유소기의 쟁논은 이미 공개화되었으며 당과 나라의 대사를 관심하는 중상층 간부들은 모두 이를 두고 걱정했다. 그것은 모택동과 유소기 사이의 분규는 모택동과 팽덕회 사이의 분규와는 성질상 근본 다르기에 당의 분열을 초래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자 회의 기간 주덕과 하룡 등 지도자들은 유소기를 찾아 전반 국면을 돌보아 심중할 것과 모택동을 존중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회의 후 중앙조직부 부장 안자문은 정치국과 서기처 동지들의 부탁을 받고유소기를 만나 “두분 주석사이에 모순이 생기면 전반이 혼란해집니다. 그리니 그 어떤 경우를 막론하고 모주석과 충돌하면 안됩니다”라고 간청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유소기는 많은 동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는 주동적으로 모택동을 찾아가 담화하면서 자아비판을 하였으며 후에 재차 자기 집에서 연속 부분적 중앙 지도일군들이 참가한 생횔회의를 열고 자신이 모택동을 존중하지 못한 착오에 대해 검토하였고 여러 지도 일군들의 비판을 접수하였다.

하지만 모택동과 유소기 이 2명 주석간 사이에 생긴 분규의 흔적은 봉합되기가 힘들었다. 그 뒤에 있은 약 1년간 표면상으로는 유소기가 계속 중앙의 1선 사업을 주관한다고 하였지만 모택동은 더 이상 유소기와 중앙서기처와는 그 어떤 사업토론도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때로부터 모택동은 유소기를 제거할 결심을 하였으며 모택동과 유소기 사이의 분규는 결국 모택동이 <문화대혁명>을 발동한 동기로 되기도 했다.

1966년 8월 5일 모택동은 <사령부를 포격하자>란 대자보에서 1964년 중앙 1선 지도자들의 형식적으로는 좌적이지만 실제로는 우적이었던 경향을 제기하다 싶이 모택동이 유소기 제거를 염두에 둔 것은 1964년부터였다는 분석도 있다. 그리고 1970년 모택동이 미국 작가이며 기자였던 스노를 회견했을 때 “주석님은 언제 유소기를 제거할 결심을 했는가?” 라고 묻자 “아주 일찍했다”고 하면서 1965년 1월 <23조>를 제정할 때 중간의 제1조에서 언급한 <4청>의 목표가 바로 당내 자본주의 길로 나아가는 집권파를 족치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1964년 말부터 1965년초 사이에 모택동은 수차례에 거쳐 자기 신변에 “중국의 흐루쵸프”가 있다고 언급, 그 “중국의 흐루쵸프”는 바로 유소기를 말한 것이었다. (끝)

편역: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모택동 왜 ‘유소기 제거’ 결심했을까? ④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