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4(수)
 

캡처.PNG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간고한 항일무장투쟁시기 여성의 몸으로 육중한 기관총을 보총다루듯 휘두르며 일제놈들을 무리로 쓸어눕힌 한 조선인 “여장군”이 있었다. 그가 바로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4사 제1퇀 제1련의 첫 여성기관총사수인 허성숙이다.

 

 허성숙, 1915년 연길현 차조구 중평촌(지금의 안도현)의 한 농민가정에서 태여났다. 가난하여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한 그는 어려서부터 집살림을 도와 산나물도 캐오고 땔나무도 해오면서 노동으로 어린시절을 보냈다. 그는 남자들 못지않게 힘도 셌으며 성격도 남달리 쾌활하였다.


그가 15살 되던 해인 1930년 5월, 동만일대에서는 성세호대한 반제·반봉건투쟁 노한 불길마냥 용정을 중심으로 온 동만을 휩쓸었다.

그 당시 중평촌에는 혁명자들이 세운 야학교가 있었다. 선생은 농민들에게 문화지식을 보급한다는 명의로 일본제국주의와 봉건주의를 반대하고 자유해방을 쟁취할데 관해 선전하였다. 당시혁명가들의 강의를 청취하는 사람들 중에는 동그란 얼굴에 단발머리를 한 12~13세 가량의 소녀가 있어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그는 매일 저녁마다 가장 일찍 야학교에 와 강의시간을 기다렸으며 강의가 시작되면 정신을 집중하여 들었다. 때로는 눈을 깜빡이면서 뭔가를 사색하기도 했다.
 1.JPG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4사 제1퇀 제1련의 첫 여성기관총사수인 허성숙(이미지 출처 : 중국해방군보)
 
이 소녀가 바로 허성숙이였다. 그는 야학교의 선생님을 몹시 탄복, 선생님은 지식과 재능이 있어 강의하는 구절 구절과 마디마디가 이유가 있고 들을수록 격동되고 통쾌하며 새힘이 솟구친다고 생각하였다. 야학교에서 강의를 듣는 차수가 많아질 수록 허성숙의 혁명지식은 갈수록 풍부해 졌다. 한번은 집에서 마을의 애들한테 야학교에서 들은 쏘베트에 대한 얘기를 해주다 아버지한테 훈계를 당하였다.
 
아버지는 “어린애들은 그런일에 참견하지 말아야 안다”고 했고 허성숙은 “전 배울 뿐만 아니라 앞으로 그렇게 하겠다”고 반발하였다.
 
1930년, 반제반봉건투쟁의 불길이 동만지구에서 활활 타올랐고 편벽한 시골인 중평촌 역시 이 격류속에 말려들었다. 당시 허성숙은 15세였지만 공산당 지하공작원의 교육과 도움으로 소년선봉대에 가입하였고 혁명투쟁에 투신하였다.
 
1933년에 허성숙은 청년단에 가입, 그해 그는 또 연길현유격대 여전사로 되었다.
 
열화와 같은 항일투쟁을 맞으면서 허성숙의 가슴에서는 피가 끓어번지였다. 그는 청년들한테 주어진 중임을 깨달았으며 멸망의 위기에 처한 나라와 민족을 구하고 일본침략자를 몰아내는 투쟁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하였다.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일제의 “동계토벌”이 시작되었다.일제와 위만주국군은 도합 3,000여 명의 병력을 출동하여 동만항일무장을 요람속에서 없애버리려고 시도했다. 연길현 유격대는 “반토벌”전에서 14일간 전투를 견지, 일제는 유격대를 소멸하지 못햇을 뿐만 아니라 유격대에 의해 10여구의시체를 내버려둔채 현성으로 물러가는 수밖에 없었다.
 
전투 중에서 허성숙은 남달리 용감하고도 결단성 있게 전사들과 함께 돌격하면서 적을 무찔렀다. 그는 또 행군도중이나 숙영지에서도 다른 전사를 도와 총을 메고 상병원을 돌보는가하면 전사들의 옷을 씻어 기워 주었으며 취사원을 도와 밥도 짓곤 하였다. 오직 부대의 일이고 항일에 유익한 일이라면 뭐든지 개의치 않고 충실히 하였다.
 
바로 그 시기 포수로 사냥을 즐기던 허성숙의 부친 허기영은 일제의 농락과 협박에 넘어가 자위단 단장으로 되었다.
 
7.JPG
1934년 7월의 어느날 허성숙은 중평촌 부근의 한 골짜기에서 아버지 허기영이 인솔하는 자위단과 조우전. (이미지 출처 : 중국해방군보)
 
1934년 7월의 어느날 허성숙이 소속된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독립 1퇀 1련은 중평촌 부근의 한 골짜기에서 허기영이 인솔하는 자위단과 조우,일촉즉발의 대치상태를 이루었다.
 
이때 허성숙은 딸의 절절한 호소로 부친의 마음을 움직이리라 마음먹었다.
 
“아버지! 딸 성숙이가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들은 일제를 때려엎고 민족을 해방하기 위해 싸우는 대오입니다. 무엇때문에 우리들이 서로 싸워야 합니까?
 
아버지! 총부리를 돌리십시오, 딸 성숙이와 함께 성스러운 반일투쟁에 참가합시다!”
 
허성숙이는 애타는 목소리로 웨쳤다. 그는 지금이라도 아버지가 잘못을 뉘우치고 혁명의 길에 들어설 것을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염원과는 반대로 허기형의 멱따는 소리와 함께 요란한 총소리가 울렸다. 자위단 놈들이 허기형의 지휘하에 공격을 개시했던 것이다. 아군은 더는 참을 수 없었다. 돌격명령이 떨어지기 바쁘게 전사들은 쏜살같이 적진으로 돌격해 들어갔다. 놈들은 무리로 쓰러졌다.

어느 하루 허성숙은 유격대원들과 함께 식량을 얻어가지고 돌아오는 도중 토벌대 놈들과 맞띄우게 되었다. 그는 침착하게 다른 대원들을 수림 속에 은폐시키고 자기는 짐을 진채 전봇대에 올라갔다. 5~6명의 토벌대 놈들이 전봇대 부근에 접근하자 허성숙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그놈들에게 수류탄 불벼락을 들씌웠다. 이 일로 하여 부대의 전사들은 허성숙의 지혜와 용감성에 깊이 탄복하였다. (편집 철민 기자/다음에 계속)

참고문헌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2, 原書房, 1967, 65~66쪽.☞
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1-분책, 563~564쪽.☞
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3, 326쪽.☞
박용옥, 「조신성의 민족운동과 의열활동」,『오세창교수 화갑기념논총』, 한국근현대사학회, 1995 참조.☞
『독립신문』 1921년 1월 15일, 3월 26일, 12월 6일자 ; 『동아일보』 1921년 10월 21일자 ; 박용옥, 「조신성의 민족운동과 의열활동」, 『오세창교수 화갑기념논총』.☞
『동아일보』 1921년 6월 13일자.☞
연변조선족자치주부녀연합회 편저, 『항일녀투사들』, 1984.☞
村田陽一 編譯, 『コミンンテルンン資料集』 2, 大月書店, 1982, 75쪽.☞
조선총독부, 『朝鮮の治安狀況』, 1930, 12~13쪽.☞
중공연변주위 당사사업위원회 편저, 『연변인민의 항일투쟁』, 연변인민출판사.☞
연변조선족자치주부녀연합회 편저, 『항일녀투사들』, 101~102쪽.☞
연변조선족자치주부녀연합회 편저, 『항일녀투사들』, 201~216쪽.
허성숙의 열사전은 『불멸의 투사』 및 『빨찌산의 녀대원들』등에 실려 있는데, 그의 장렬한 희생 장면 묘사는 각기 다르다. 『항일녀투사들』에서는 7대의 敵특설부대 중 첫 번째 트럭을 향해 사격하다가 다리와 복부에 적탄을 맞고 쓰러진 것을 그 이튿날 한 韓醫師가 자기 집에 데려다 눕히자 죽었다고 했다. 『불멸의 투사』에서는 다리 부상으로 적에게 체포 압송된 그녀가 自衛團長의 딸임을 알고 전향시키려 했으나 끝내 불복하여 총살했다고 했다. 『빨찌산의 녀대원들』에서는 중상으로 체포되느니 차라리 끝까지 싸우다 죽겠다고 생각, 250여발 보총 탄알을 모두 쏘았고 마지막으로 수류탄을 적에게 던져 큰 희생을 주고 자신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았다고 기술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동북항일연군 조선인 "여장군" ― 허성숙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