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8(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北, 불법월경 미군 추방…美 당국 신병 확보”
    [동포투데이] 미국 당국이 북한에서 중국으로 추방된 미군 이병 트래비스 킹의 신병을 확보했다고 AFP통신이 한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27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공화국 영내에 불법 침입한 미군 병사 트래비스 킹을 추방하기로 결정했다고 27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 당국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트래비스 킹이 공화국 영내에 불법 침입한 사실을 인정했다”며 “미군 내에서의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감을 품고 북한으로 넘어올 결심을 하였다고 자백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래비스 킹은 불평등한 미국 사회에 환멸을 느껴 우리나라나 제3국에 망명할 의사를 밝혔다”고 덧붙였다. 앞서 조선중앙통신 등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주한미군 트래비스 킹 이병이 북한 영내에 불법 침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트래비스 킹은 이날 관광객에 섞여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둘러보던 중 고의로 북한 영내에 침입했으며 이후 인민군 소속 군인들에 의해 통제됐다. 조사 과정에서 트래비스 킹은 북한이나 제3국으로 망명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18일 주한미군 1명이 이날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 영내에 불법 침입한 사실을 확인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기타
    2023-09-28
  • 유엔, 나치에 대한 그 어떤 찬양도 반대
    [동포투데이]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25일 유엔이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에 대한 어떠한 칭송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의회는 최근 나치 독일 친위대 '갈리시아' 사단에서 복무한 우크라이나인에 기립해 경의를 표했다. 보도에 따르면 두자릭은 지난 25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이 나치 범죄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는 관행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AP통신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9월 22일 캐나다 의회에서 연설할 때 관중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우크라이나 1사단에서 복무했던 98세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를 박수를 치며 환영했다. 그중 한 장의 사진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우크라이나 1사단에서 복무하다 캐나다로 이민한 야로슬라프 훈카에게 인사했다”는 설명이 달렸다. 보도에 따르면 98세의 훈카는 캐나다 측으로부터 '제2차 세계대전 중 우크라이나 독립을 위해 러시아인에 저항한 투사'로 불렸다. 사실 훈카는 원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로 구성된 독일 친위대 '갈리시아' 사단 소속으로 소련 붉은 군대에 맞서 싸웠을 뿐만 아니라 유대인, 폴란드인, 벨라루스인, 슬로바키아인에 대한 만행으로 악명이 높다.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위톨드 지엘스키 캐나다 주재 폴란드 대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옛 트위터)를 통해 "9월 22일 캐나다와 우크라이나 지도자들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수천 명의 폴란드인과 유대인을 살해한 악명 높은 독일 나치스 친위대 '갈리시아' 사단 구성원에게 박수를 보냈다"며 "우크라이나의 동맹인 폴란드는 결코 이 범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며 캐나다 주재 폴란드 대사로서 사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기타
    2023-09-27
  • 아마존, 가격폭리 혐의로 소송당해
    [동포투데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17개 주 검찰총장은 아마존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고 이 거대 기술 기업이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하여 상품 가격을 인상하고 시장 경쟁을 억제했다고 주장했다. 아마존은 미국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도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잡화, 헬스케어 등 분야에서도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FTC는 올해 들어 아마존을 세 차례 고소했다. 이에 앞서 아마존은 소비자 회원 가입을 유도하고 음성 비서 알렉스를 통해 어린이 데이터를 불법 수집하고 초인종 링 제품을 통해 사용자를 불법 감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3-09-27
  • 中 공안, 헝다그룹 회장 쉬자인 통제…주거 감시 중
    [동포투데이]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 대기업 헝다(恒大)그룹의 쉬자인(許家印) 회장이 경찰의 통제를 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7일 소식통을 인용해 쉬자인이 이달 초 중국 경찰에 연행돼 현재 지정된 장소에서 감시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주거 감시는 공식적인 구속이나 체포가 아니며 쉬쟈인이 범죄로 기소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중국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이 조치는 감시자의 승인 없이 현장을 떠나거나 다른 사람을 만나거나 교류할 수 없다. 해당 법률에 따르면 쉬쟈인이 여권과 신분증을 경찰에 제출해야 하지만 거주지 감시는 최장 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앞서 선전 난산 공안은 16일 공식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공안 기관이 헝다 금융자산관리 유한회사 두 모 씨 등 범죄 혐의자에 대해 형사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경찰은 구금된 사람의 수, 혐의, 구금 날짜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상하이증권보는 관계자를 인용해 두 씨가 헝다 금융자산관리유한회사 대표이자 총지배인 두량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두량이 구속자 명단에 포함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한편 선전상보(深圳商报)는 헝다 금융자산관리유한회사가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법 자금 조달 혐의를 받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지난 2년 동안 헝다와 또 다른 중국 부동산 대기업 비구이위안(桂桂園)이 차례로 위기에 빠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3-09-27
  • 日 요시다야 도시락 먹고 400명 가까이 중독
    [동포투데이]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보건소는 현재 394명이 '요시다야'에서 생산한 도시락을 먹고 식중독 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NHK 방송은 26일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보건소를 인용해 최근 일본 여러 곳에서 소비자들이 '요시다야'에서 생산한 도시락을 먹은 후 식중독에 걸렸다고 보도했다.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보건소는 23일 도시락 가게 요시다야에 영업 전면 중단을 명령했다. 25일 TBS방송에 따르면 일본의 도시락 가게 '요시다야'는 그동안 도시락으로 인한 집단 식중독 사태와 관련해 식중독이 온도 관리 부실로 인한 것이라고 보건소에 설명했다. '요시다야'가 외부 하청업체에 외주를 맡긴 쌀밥은 운송 중 표시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납품됐고, '요시다야'는 후속 작업 중 온도 측정을 소홀히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3-09-27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중국 안후이 고속도로서 차량 60대 연쇄추돌
    [동포투데이=김정 기자]11월 22일, 안개가 뽀얗게 끼여 앞이 잘 보이지 않은 탓으로 중국 안후이(安徽省) 육안(六安)에서 허페이(合肥) 방향으로 향하는 쟝화이(江淮)운하 대교 부근 고속도로에서 차량 60대가 잇달아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사고차량들중 함께 있던 차량 10대는 전소하고 천연가스 탱크차 한대는 기름이 유출되였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이날 사고로 3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3
  • 중국 지린성 쑹위안(松原)시 5.8급 지진 발생 피해 심각
    [동포투데이=화영 기자]중국 지린성 쑹위안(松原)시 챈안(乾安)현과 챈궈(前郭)현 접경지에서 22일 (현지시간)오후 4시18분 5.3급 지진이 발생후 23일 아침(현지시간) 6시 4분경 규모 5.8급의 지진이 연달아 발생했다고 중신망(中新網)이 보도했다.중국지진대는 진원의 위치가 북위 44.6도, 동경 124.1도로 지진의 깊이는 9km라고 밝혔다.지린성 민정청 11월 23일 0시 기준 통계에 따르면 11 월 22 일 16 시 18 분 5.3 급 지진이 발생한 후 챈궈(前郭),챈안(乾安),다안(大安),눙안(农安)등 4개현시 21 개 향진 127 개 촌 세 개 종축장에서 5.82만 명이 피해를 보았으며 5298가구의 주택이 심각하게 파손됐다. 직접적 경제적 손실은 4.7억위안에 달한다. 현재 까지 사상자 보고는 없고 구체적인 피해상황은 통계 중에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3
  • 지린성 숭왠 15시간내에 5급 이상 지진 3차 발생
    [동포투데이=김정 기자]22일 16시 18분에 중국 지린성(吉林省) 숭왠시(松原市)의 챈안현(乾安县)과 챈궈러스현(前郭县) 변계에서 5.3급의 지진이 발생한데 이어 23일 아침 6시 4분과 6시 32분에 재차 5.8급과 5급의 지원이 얕은 지진이 발생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지린성 창춘시(长春市)와 바이청시(白城市) 그리고 헤이룽쟝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등지에서 진동이 선명하게 감지됐다. 진앙지인 챈궈러스현 차간화진(查干花镇) 정부관원들은 23일 아침, 금방 회의를 한다는 전화통지를 받았는데 지진이 발생, 그들은 속히 진앙촌으로 달려갔다. 지진으로 연락이 두절된 곳도 있다. 진앙지의 촌민 리위는 23일 아침 지진 발생시 집 마당에 서있는데 지진이 발생, 새로 지은 가옥이 금이 가 위치가 엇갈렸다며 “지진이 자꾸 발생하니 사실 무섭다”고 속을 터놓았다. 촌민들에 따르면 지진 발생 시 날이 아직 채 밝지 않아 촌민들은 달콤한 꿈속에 있었다. 지진이 발생하자 촌민들은 놀라 화닥닥 일어나 밖으로 뛰쳐나왔다. 지진은 약 10초 가량 지속됐고 창문, 가구들이 격렬하게 진동하며 요란한 소리를 냈다. 지금까지 인명 피해상황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전하는데 따르면 22일 오후 지진이 발생한 후 숭왠시와 챈궈러스현의 관련책임자들과 당지 공안, 소방, 의료, 민정, 주택건설 등 부문, 그리고 70여개 촌을 도맡은 현 직속부문들에서는 신속히 현장에 당도해 구조작업과 피해상황 조사에 달라붙었다. 알아본데 따르면 진앙지역에서는 올 10월 31일 이래 이미 5급 이상 지진이 여러 차 발생, 적지 않은 주민들이 현재 텐트에 거주하고 있다. 숭왠시는 국무원에서 지진 중점감시 방어구로 지정된 곳으로 2003년 이래 숭왠시에서 지진 도합 240여차 발생했으며 그중 진동이 감지된 것은 거의 40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3
  • 중국 칭다오 개발구 석유 운송관 폭발 35명 사망 (종합2보)
    [동포투데이=김정 기자]중국 산둥성 칭다오시(山東省青島市) 황다오(黄島)의 경제개발구에서 22일 오전 10시 반경에 땅속 석유운송관이 폭발해 지상에서 작업하고 있던 근로자 등 35명이 사망하고 16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관계 당국은 테러와의 관련은 없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새벽에 운송관이 파열돼 석유가 유출됐기 때문에 지상에서 기재를 사용해 수리를 하던 중 폭발됐다. 이에 앞서 중국 현지 언론들은 칭다오시의 어느 한 화학공장에서 폭발이 일어나 3명이 죽고 40명이 부상당했다고 전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2
  • 중국 칭다오 개발구 송유도관 파열 폭발로 22명 숨져
    [동포투데이=김정 기자]11월 22일 새벽 3시경,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경제기술개발구(황다오구) 중국석유화학 황도우―유팡 송유도관이 파열되여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고 이날 오전 10경, 서둘러 수리하는 과정에 파열된 송유관이 폭발하면서 불이 났다. 칭다오경제기술개발구측은 소방부문과 의료보건 부문에서 계속 사상자를 수색, 구조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고로 이날 오후 14시 23분까지 이미 22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기타 사상 상황은 현재도 계속 파악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2
  • 중국 공기질 틀어쥔다, 달마다 공기질 검사
    [동포투데이=김정 기자]중국 국가환경보호부는 일전 베이징시(北京), 탠징시(天津), 허베이성(河北), 창쟝3각지역(长三角区), 주쟝3각지역(珠三角区)과 기타 74개 도시의 2013년 10월의 공기질 상황 및 10월달 대기오염 방지 검사상황을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0월달 72개 도시 공기질 표준도달 일수 비례는 평균 52.2%로 거의 절반 도시의 표준도달 일수 비례가 50%도 되지 않았고 평균 표준초과 일수 비례가 47.8%, 그중 경도(轻度) 오염이 29.8%, 중간도(中度) 오염이 9.7%, 중도(重度) 오염이 6.3%, 엄중오염이 2%였다. 10월달 공기질이 비교적 차한 앞 10위권에 든 도시로는 각기 스쟈좡(石家庄), 싱타이(邢台), 보우딩(保定), 한단(邯郸), 탕산(唐山), 지난(济南), 하얼빈(哈尔滨), 헝수이(衡水), 시안(西安), 우한(武汉)이고 공기질이 비교적 좋은 앞 10위권에 든 도시로는 저우산(舟山), 푸저우(福州), 상하이(上海), 타이저우(台州), 난퉁(南通), 하이커우(海口), 샤먼(厦门), 라사(拉萨), 장쟈커우(张家口)와 얜청(盐城)이다. 베이징, 탠징, 허베이 등 13개 도시의 공기질 표준도달 일수 비례는 37.2%였고 스쟈좡(石家庄)의 표준도달 일수 비례는 3.2%로 10월 한달간 스쟈좡은 단 하루만이 공기질 표준에 도달했다. 창쟝3각지역 25개 도시 공기질 표준도달 일수 비례는 평균 73.5%였고 엄중오염 일수는 없었다. 주쟝3각지역 9개 도시 공기질 표준도달 일수는 평균 22.2%였다. 한편 국가환경보후부는 일전 베이징시, 허베이성, 산시성, 네멍구자치구 등 지역 65개 기업의 환경오염물 배출상황에 대한 암행검사 결과를 공포, 향후 공기질에 대한 전문검사를 한달에 한번씩 진행할 것이며 각지에서 대기오염 방지 사업을 틀어쥘 것을 요구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2
  • 중국 개혁개방 35년에 경제기적 창조
    ▲ 국내총생산은 1978년의 3645억원(인민페)로부터 2012년의 51조 8942억원으로장 성장.▲ 경제총량은 세계적으로 1978년의 제10위로부터 2010년의 제2위로 성장. ▲ 인당 국내총생산이 1978년의 381원으로부터 2012년의 3만 8420원으로 성장.▲ 외화저비량은 1978년의 1억 6700만 달러, 세계 제38위로부터 2012년의 3만 3116억 달러로 련속 7년간 온당하게 세계 제1위를 굳혀 [동포투데이=김정 기자]중국경제가 개혁개방 35년에 창조한 기적에 대해 중국 국무원 참사실의 요징왠 특약원구원은 “중국은 35년이라는 시간을 들여 빈곤에서 해탈되고 먹고입는 문제를 해결했으며 전면적인 초요사회에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20세기로부터 21세기 초에 이르는 기간, 인류에 대한 중국인들의 가장 큰 기여이다”라고 지적했다. 경제성장의 기적 창조 개혁개방의 35년간 중국경제총량은 련속 성장했고 종합국력은 대폭 제고되였다. 국내총생산은 1978년의 3645억원으로부터 2012년의 51조 8942억원으로 신속히 뛰여올랐다. 그중 1978년부터 1986년까지 1조원으로 상승하는데 8년이라는 시간이 걸렸고 1991년의 2조원으로 상승하는데 5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으며 그후 평균 해마다 근 1조원씩 상승했고 2001년에 10조원 대관을 넘었으며 2002년―2006년 기간 해마다 2조원씩 상승해 2006년에 이르러서는 20억원을 초과, 그 후에는 해마다 10조원씩 상승, 2010년에 이르러서는 52억원에 달했다. 1978년부터 2012년에 이르기까지 중국 국내총생산은 년 평균 9.8% 성장했는데 동시기 세계경제 년 평균 성장속도는 2.8%밖에 되지 않았다. 1978년 중국의 경제총량은 세계적으로 제10위였는데 2008년에 이르러서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제3위로, 2010년에 이르러서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제2위에 올라서 미국 다음의 세계 제2대 경제체로 부상했다. 중국경제총량이 세계시장에서 점하는 점유율은 1978년의 1.8%로부터 2012년의 11.5%로 제고됐으며 2008년 하반년 국제금융위기 폭발 이래 중국은 세계경제 회복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했는바 2008년―2012년 세계경제성장에 대한 중국의 년 평균 기여율은 20%를 넘었다. “세계 각국의 경쟁가운데서 한 국가가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일본은 국가경제의 두자리수 고속성장을 15년간 유지했고 ‘아시아주 4개 작은 용’들은 20년간 유지했다. 헌데 중국경제는 30여년간 근 두자리수의 성장을 지속했으니 인류의 기적이 아닐수 없다!”요징왠이 말했다. 저수입국가로부터 중상등수입국가로 1978년 중국의 인당 국내총생산은 381원이였고 그 후 1987년에는 1000원 관을 넘었으며 2003년에는 1만원 대관, 2007년에는 2만원, 2010년에는 3만원 대관을 넘어 2012년의 인당 국내총생산은 3만 8420원에 달했다. 가격요소를 제하면 1978년에 비해 16.2배 성장, 년 평균 8.7% 성장한 것이다. 국민총수입도 쾌속성장을 했는데 세계은행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인당 국민총수입은 1978년의 190달러로부터 2012년의 5680달러로 상승했는바 세계은행의 획분표준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저수입국가로부터 중상등수입국가로 뛰어올랐다. 구체적인 실례를 든다면 1987년에 중국에 첫 휴대폰이 나와서 199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휴대폰에는 “3.3.3”이 함유돼 있었다. 즉 휴대폰 한대의 가격이 3만원이었고 무게가 3근이나 되였으며 돈을 지불한 후에도 3달간 순서를 기다려야 했다.헌데 2012년에 이르러 중국의 휴대폰 보급율은 매 100명당 휴대폰이 82.5대로 거의 모든 성인들이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다.이는 모두가 개혁개방 35년의 성과라고 요징왠은 말했다. 따라서 중국의 재정수입은 1978년의 1132억원으로부터 2012년의 11조 7254억원으로 무려 103배나 성장했고 년 평균 14.6% 성장했다. 국가재력의 증가는 중국의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사회보장을 강화하며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감소하고 민생을 개선하며 여러 가지 충격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유력한 자금담보로 되었다. 외화결핍국으로부터 외화저비대국으로 개혁개방과 함께 중국의 대외경제도 신속한 진보를 가져왔고 외화저비량도 대폭 증가했는바 중국은 외화결핍국가로부터 세계 제1의 외화저비 대국으로 거대한 전변을 이룩했다. 1978년 중국의 외화저비량은 1억 6700만달러로 세계 제38위, 인구당 0.17달러로 인민페로 환산하면 1원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대외경제의 발전장대에 따라 외화저비량의 결핍은 신속히 력사로 되였는바 1990년의 외화저비량은 100억달러가 넘어 111억달러에 달했고 1996년에는 1000억달러를 넘어 1050억달러에 달했으며 2006년에는 1조달러를 넘어 1조 663억달러에 달해 일본을 제치고 세계 제1위에 올랐다. 2012년에는 3조 3116억달러에 달해 연속 7년째 온당하게 세계 제1위를 굳혀오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2
  • 중국인들 전 지구 사치품 절반 싹쓸이
    [동포투데이=김정 기자]중국인들의 사치품 구매력이 예기를 뛰어넘는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사치품시장 연구기구인 재부품질연구원이 일전 발표한 2013년 “중국사치품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들의 사치품 년 소비액은 1000억달러를 초과, 전 세계 사치품시장의 절반을 싹쓸이 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사치품고객으로 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사치품시장은 진일보로 성장하고 소비자들은 점차 이성적으로 성숙되여 사치품소비가 “성능 대비 가격 비율(性价比)” 시대를 맞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중산계층의 소매력 왕성 재부품질연구원의 조사연구에 따르면 중국 사치품시장은 본토소비와 해외소비로 나누는데 2013년 본토소비는 280억달러로 지난해 동시기에 비해 3% 성장할 것으로 예상, 해외소비는 더욱 증가해 74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인들의 2013년의 사치품 소비총액은 1020억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비록 2013년 전 세계 사치품시장이 여러 가지 압력에 직면했지만 여전히 11%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그 가운데서 중국인들이 전 세계 47%의 사치품을 구입했다. 2012년에는 중국인들이 유럽과 미국에서 구입한 사치품은 당지 소비총량의 40%를 점했고 2013년에는 중국인들의 중국대륙 이외에서의 사치품소비가 80%에 달했다. 중국 상무부 연구원 소비경제연구부의 조핑 주임은 중국인들의 구매력 왕성은 중국경제의 발전에 따른 것이며 사치품구입의 주요 고객은 부유계층, 중산계층으로 그들은 자기들이 향수할 뿐만아니라 친척, 친구들에게 선물하기를 즐긴다고 말했다. 이같은 수요로부터 대량의 사치품그룹들이 분분히 중국시장에 진출했는바 2012년에 이르러 전 세계 주요 사치품브랜드들이 모두 중국 1선도시들에 진입했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도시의 사치품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접근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적지 않은 사치품브랜드들이 중국 2선도시에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소비자들 날따라 이성적으로 성장 지난 몇년간 맹목적으로 사치품을 숭배하던데로부터 오늘날의 중국소비자들은 날로 이성을 되찾고 있다. 재부품질연구원에서 4650명의 중국 고급자산소비자들에 대한 조사 결과 최고가격이거나 자산가치가 높은 사치품브랜드들은 이미 중국소비자들에게 버림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중국 사치품시장은 점차 이성을 되찾고 있는 것이다. 한편 중국시장에서의 사치품소비 규모는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그 성장폭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년전에는 20%―30%씩 두자리수 성장을 했지만 지금은 한자리수 성장을 하고 있다. 그 원인을 두고 전문가들은 외부적으로 국가에서 “3공” 소비를 제한해 사회적으로 호화소비가 개변되고 반부패로 인해 사치품선물 바람이 누그러 들었으며 내부적으로 해외브랜드의 중국시장 진출 5년간 사치품열풍이 어느 정도 누그러 진 것, 그리고 동일한 브랜드라도 해외에서 구입하는 것이 중국에서 구입하기보다 가격이 싸기 때문에 중국인들이 해외에 나가 사치품을 구입하려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사치품브랜드의 대중화와 유행화가 강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이성적으로 성장하고 상업사회의 정보가 투명해짐에 따라 사치품의 수익공간이 점점 좁아지고 소비자들은 사치품의 성능 대비 가격 비율을 따지고 있는 것이다. 향후 사치품 주문제작 방향으로 전문가들은 향후 3년―5년내에 사치품시장에서의 핵심소비자들의 이탈은 변두리소비자들과 잠재소비자들에게도 영향주어 사치품시장이 쇠퇴를 맞을 것이라고 진단, 하지만 중국이 날로 발전하고 인구가 많아 사치품소비는 여전히 거대할 것이며 향후 사치품 주문제작산업이 규모화 발전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2013년 말 현재, 중국 사치품시장 주문제작 브랜드는 400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2
  • 한국 “안중근 의사는 범죄자 아니다”…‘日 역사퇴행’ 비판
    [동포투데이=화영 기자]한국 외교부 조태영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등이 초대 한국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암살한 안중근을 ‘범죄자’ 등으로 표현한 데 대해 “(일본이)이러한 역사 퇴행적인 발언을 하면서 국제사회에서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것은 자가당착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조 대변인은 “일본은 과거 역사를 직시하고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고 일본의 태도를 비판하며 “안중근 의사는 범죄자가 아니다”고 강조했다.이에 앞서 일본의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초대 한국통감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암살한 안중근을 기리는 기념비 설치 계획을 진행 중이라고 표명한 것을 비판했다. “안중근은 범죄자라고 한국정부에 지금까지 전해왔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한 관계에 유익하지 못하다”고 말했다.한국정부에 대한 대응에 대해서는 “단단히 우리나라 주장을 한국에 전해가고 싶다”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기타
    2013-11-22
  • 중국산 Tianhe-2 슈퍼컴퓨터 또 한번 세계 1위 기록
    [동포투데이=화영 기자]톈허-2(Tianhe-2) 중국 슈퍼컴퓨터가 세계 최고속 슈퍼컴퓨터 기록을 갱신했다고 신화 통신이 보도했다. 그 뒤를 이어 미국 티탄이 탑-500 특별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중국인민해방군 산하 국방과학기술대학에서 개발한 톈허-2 업무 능력은 초당 제곱 계산해 산출된 33.896 페타 플롭입에 달한다. 미국의 티탄의 경우는 17.6 페타 플롭입이다.2010년 톈허-2의 전신품인 톈허-1a 역시 세계 순위 1위에 올랐으나 일본의 슈퍼컴퓨터 K 등장 이후 2위로 밀려났다.한편 슈퍼컴퓨터의 에너지절약 성능을 겨루는 세계 랭킹에서는 도쿄공업대의 슈퍼컴퓨터 ‘TSUBAME-KFC’가 1위에 올랐다고 21일 도쿄공업대가 발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11-2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