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8(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北, 불법월경 미군 추방…美 당국 신병 확보”
    [동포투데이] 미국 당국이 북한에서 중국으로 추방된 미군 이병 트래비스 킹의 신병을 확보했다고 AFP통신이 한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27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공화국 영내에 불법 침입한 미군 병사 트래비스 킹을 추방하기로 결정했다고 27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 당국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트래비스 킹이 공화국 영내에 불법 침입한 사실을 인정했다”며 “미군 내에서의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감을 품고 북한으로 넘어올 결심을 하였다고 자백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래비스 킹은 불평등한 미국 사회에 환멸을 느껴 우리나라나 제3국에 망명할 의사를 밝혔다”고 덧붙였다. 앞서 조선중앙통신 등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주한미군 트래비스 킹 이병이 북한 영내에 불법 침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트래비스 킹은 이날 관광객에 섞여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둘러보던 중 고의로 북한 영내에 침입했으며 이후 인민군 소속 군인들에 의해 통제됐다. 조사 과정에서 트래비스 킹은 북한이나 제3국으로 망명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18일 주한미군 1명이 이날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 영내에 불법 침입한 사실을 확인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기타
    2023-09-28
  • 유엔, 나치에 대한 그 어떤 찬양도 반대
    [동포투데이]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25일 유엔이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에 대한 어떠한 칭송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의회는 최근 나치 독일 친위대 '갈리시아' 사단에서 복무한 우크라이나인에 기립해 경의를 표했다. 보도에 따르면 두자릭은 지난 25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이 나치 범죄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는 관행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AP통신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9월 22일 캐나다 의회에서 연설할 때 관중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우크라이나 1사단에서 복무했던 98세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를 박수를 치며 환영했다. 그중 한 장의 사진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우크라이나 1사단에서 복무하다 캐나다로 이민한 야로슬라프 훈카에게 인사했다”는 설명이 달렸다. 보도에 따르면 98세의 훈카는 캐나다 측으로부터 '제2차 세계대전 중 우크라이나 독립을 위해 러시아인에 저항한 투사'로 불렸다. 사실 훈카는 원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로 구성된 독일 친위대 '갈리시아' 사단 소속으로 소련 붉은 군대에 맞서 싸웠을 뿐만 아니라 유대인, 폴란드인, 벨라루스인, 슬로바키아인에 대한 만행으로 악명이 높다.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위톨드 지엘스키 캐나다 주재 폴란드 대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옛 트위터)를 통해 "9월 22일 캐나다와 우크라이나 지도자들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수천 명의 폴란드인과 유대인을 살해한 악명 높은 독일 나치스 친위대 '갈리시아' 사단 구성원에게 박수를 보냈다"며 "우크라이나의 동맹인 폴란드는 결코 이 범죄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며 캐나다 주재 폴란드 대사로서 사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기타
    2023-09-27
  • 아마존, 가격폭리 혐의로 소송당해
    [동포투데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17개 주 검찰총장은 아마존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고 이 거대 기술 기업이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하여 상품 가격을 인상하고 시장 경쟁을 억제했다고 주장했다. 아마존은 미국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도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잡화, 헬스케어 등 분야에서도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FTC는 올해 들어 아마존을 세 차례 고소했다. 이에 앞서 아마존은 소비자 회원 가입을 유도하고 음성 비서 알렉스를 통해 어린이 데이터를 불법 수집하고 초인종 링 제품을 통해 사용자를 불법 감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3-09-27
  • 中 공안, 헝다그룹 회장 쉬자인 통제…주거 감시 중
    [동포투데이]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 대기업 헝다(恒大)그룹의 쉬자인(許家印) 회장이 경찰의 통제를 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7일 소식통을 인용해 쉬자인이 이달 초 중국 경찰에 연행돼 현재 지정된 장소에서 감시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주거 감시는 공식적인 구속이나 체포가 아니며 쉬쟈인이 범죄로 기소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중국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이 조치는 감시자의 승인 없이 현장을 떠나거나 다른 사람을 만나거나 교류할 수 없다. 해당 법률에 따르면 쉬쟈인이 여권과 신분증을 경찰에 제출해야 하지만 거주지 감시는 최장 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앞서 선전 난산 공안은 16일 공식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공안 기관이 헝다 금융자산관리 유한회사 두 모 씨 등 범죄 혐의자에 대해 형사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경찰은 구금된 사람의 수, 혐의, 구금 날짜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상하이증권보는 관계자를 인용해 두 씨가 헝다 금융자산관리유한회사 대표이자 총지배인 두량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두량이 구속자 명단에 포함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한편 선전상보(深圳商报)는 헝다 금융자산관리유한회사가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법 자금 조달 혐의를 받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지난 2년 동안 헝다와 또 다른 중국 부동산 대기업 비구이위안(桂桂園)이 차례로 위기에 빠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3-09-27
  • 日 요시다야 도시락 먹고 400명 가까이 중독
    [동포투데이]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보건소는 현재 394명이 '요시다야'에서 생산한 도시락을 먹고 식중독 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NHK 방송은 26일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보건소를 인용해 최근 일본 여러 곳에서 소비자들이 '요시다야'에서 생산한 도시락을 먹은 후 식중독에 걸렸다고 보도했다.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보건소는 23일 도시락 가게 요시다야에 영업 전면 중단을 명령했다. 25일 TBS방송에 따르면 일본의 도시락 가게 '요시다야'는 그동안 도시락으로 인한 집단 식중독 사태와 관련해 식중독이 온도 관리 부실로 인한 것이라고 보건소에 설명했다. '요시다야'가 외부 하청업체에 외주를 맡긴 쌀밥은 운송 중 표시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납품됐고, '요시다야'는 후속 작업 중 온도 측정을 소홀히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3-09-27

실시간 뉴스홈 기사

  • 중국 한 농촌 결혼식장 붕괴로 8명 사망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13일 저녁 5시 30분경, 중국 절강성 반안현 만창향 아장촌에서 낡은 회당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해 8명이 숨지고 90여명이 상했으며 그중 10여명이 중상을 입었다. 알아본데 의하면 당시, 반안현 만창향 아장촌의 한 촌민이 낡은 회당에서 결혼식을 치르고 있었는데 산간지역에 지속적으로 내린 눈이 많이 쌓여 지붕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발생 후 금화 각 시, 현, 향, 촌에서는 즉시 인력을 조직하여 전력 구조, 모든 부상자들을 병원에 옮겨 치료받게 했다. 반안현에서도 즉시 의료위생, 소방, 무장경찰, 공안 등 8개 구조팀을 조직하여 아장촌에 파견, 구조 및 사후처리 등 작업과 조사작업을 전개하게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4
  • 발렌타이데이 사랑의 선물... 장미꽃과 쵸콜렛
    오늘은 전통명절인 정월대보름일뿐만아니라 요즘 새로 흥기하고있는 젊은이들의 명절인 발렌타인데이 기도 합니다. 쵸콜렛과 장미꽃은 줄곧 발렌타인데이에 없어서는 안될 사랑의 선물로 여겨지고있는데요, 기자가 올해 시세를 알아봤습니다. 기자가 연길시(중국 진린성) 삼꽃거리 꽃도매시장에서 알아본데 따르면 우리 주에서 판매하는 장미꽃은 대부분 운남에서 들여오는데 최근 운남화훼기지가 자연재해의 영향을 받아 생화도매가격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인터뷰> 손봉하 (연길시 모 꽃가게 경리) : "올해 발렌타인데이 생화는 왕년보다 조금 비쌉니다. 원가가 많이 올라 왕년보다 수입이 적습니다. 너무 비싸게 팔면 고객들이 사려하지 않기때문에 가격을 많이 높이지 못합니다." 업계인사의 소개에 따르면 발렌타인데이 당일 장미꽃 등 화훼소매가격은 대폭 오른다고 합니다. 급별에 따라 1등급 장미꽃 한송이 가격은 15원에서 20원이고 일반 장미꽃은 10원좌우이며 등급이 낮아도 5원좌우에 판매될것으로 예측하고있습니다. 장미꽃가격이 오르면서 꽃시장이 썰렁해진데 비해 각 슈퍼의 쵸콜렛매장은 호황을 맞고있습니다. <인터뷰> 왕춘양 (연길시 모 슈퍼 판매원) :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졌고 판매량은 어마어마합니다. 지난해와 비슷합니다." <기 자> : "시장의 변화를 막론하고 발렌타인데이 사랑의 마음을 담은 장미꽃이나 쵸콜렛을 받는다는것은 행복한 일이겠죠. 곧 다가올 발렌타인데이에 자신에게만 속한 달콤한 사랑과 행복을 갖길 바랍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4
  • CNR, 꿈의 아리랑전설 …애환의 민족이민사TV에 담다
    연변일보에 따르면 2014년 중앙인민방송(CNR) 조선어방송이 TV다큐멘터리 “중국 조선족 이민사(잠정)”와 라지오방송 시리즈 “새삶터의 개척자들 - 연해지역 조선족사회 탐방”이란 두개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해 시청취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소리와 영상으로 조선족 개척이민사 재현 19세기 중엽부터 련년 닥쳐오는 자연재해와 일제의 수탈을 피해 조선민족은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 중국의 동북지역에 정착해 생활하게 되였는데 “중국 조선족이민사”는 바로 고향을 등지고 이민해온 조선족들이 고된 로동으로 “꿈의 아리랑”을 실현하는 모습과 아울러 이민자로부터 중화민족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해가는 과정을 재현하게 된다. “중국 조선족이민사”는 “월강”, “개척”, “환생”, “항쟁” 등 네개 부분으로 구성을 이루어 12부작(매회 40분) TV다큐멘터리와 100회 라지오방송 시리즈로 제작된다. “중국 조선족이민사”의 총기획과 구성, 제작을 담당한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부 박일선 원 주임은 이 다큐멘터리는 지난해 4월부터 준비를 시작했고 이미 3회를 완성했다며 진실한 영상자료와 상황재현을 통해 조선족 이민사를 환원시킬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당사자들이 대부분 작고했거나 여든을 넘긴 로인이다보니 “중국 조선족이민사”는 조선족의 력사에 대한 발굴과 정리뿐만아니라 구급성 의미도 있다고 말한다. 그는 최근 들어 조선족의 개척, 이민사를 다룬 학술저작들이 많이 출간되면서 비교적 구전한 체계를 갖추고있지만 다큐멘터리로 제작된것은 드물기에 “중국 조선족이민사”는 우리 민족의 력사를 보여주는 력사가치를 갖춘 문헌다큐로 제작할뿐만아니라 “불멸의 발자취 – 중국 관내지역 조선민족 반일투쟁유적지 답사”, “영원한 기념비 - 해방전쟁시기 중국 조선족군민의 업적”에 이은 대형TV다큐로 내놓을것이라고 피력했다. 새삶터를 개척하는 조선족사회를 찾아서 2014년 중앙인민방송국 조선어방송의 또다른 야심작으로 대형 라지오방송시리즈 “새삶터의 개척자들 - 연해지역 조선족사회 탐방” 이 있다. 개혁개방과 더불어 동북에서 산해관 이남의 경제발달지역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천지를 개척하고 있는 조선족들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전국 인구보편조사(2010)를 보면 183만 조선족중 40만명에 가까운 인구가 대도시와 연해도시로 진출했다. 현재 북경에는 조선족인구가 3.7만명에 달해 북경의 소수민족중에서 4위를 차지했고 상해에는 조선족이 2.2만명으로 5위를 차지, 산동성에는 산동호적이 없는 조선족까지 포함시켜 20여만명이 생활하고있어 산동성에서 두번째로 많은 소수민족으로 되고있다. 2012년 상해의 조선족기업이 창출한 생산총액은 200억 위안에 달했는데 당시 연변의 생산총액이 765억위안이였다. 본 프로그램을 기획한 중앙인민방송 조선어부 김영훈 부주임은 “새 삶터의 개척자들”은 북경을 중심으로 한 화북지구, 청도를 중심으로 한 산동반도, 상해를 중심으로 한 장강삼각주, 심수를 중심으로 한 주강삼각주 등 4개 지역을 중점으로 산해관이남에서 억척스럽게 분투하여 경제, 사회, 교육, 과학,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활약하고있는 조선족들을 만나 그들의 스토리를 엮어보게 될것이라고 소개했다. “중국 조선족이민사”와 “새삶터의 개척자들-연해지역 조선족사회 탐방”은 올해 10월전후 시청취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4
  • 中 신쟝(新疆) 지진 이재민 6천명…시진핑 국가주석 구조작업 지시
    2월 12일 17시 19분 50초에 신쟝(新疆) 허톈(和田)지구 위톈(于田) 현(북위 36.1도, 동경 82.5도)에서 리히터 규모 7.3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지 심도가 12킬로미터에 달해 허톈과 카스(喀什) 지역에도 강한 진동이 느껴졌다고 인민넷이 전했다. 신장 허톈 정부가 전한 소식에 따르면, 2월 12일 23시까지 지진으로 인해 위톈, 처레이(策勒), 민펑(民豐), 뤄푸(洛浦), 모위(墨玉) 5개 현의 6334명이 피해를 입었고 925명이 대피한 상황이며, 무너진 가옥이 122채, 심하게 부서진 가옥이 160채, 일반적으로 부서진 가옥이 2446채로 집계되었고 따라서 이번 재난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손실이 3364만 위안(약 59억 원)에 달한다. 현재까지 인명 피해 보고는 없었으며, 각지 구호물자가 재난 지역으로 운반되고 있는 중이다.지진 발생 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즉각 현지의 관련 부문에 재난상황 파악과 긴급구조에 나설 것을 지시하고, 지진상황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해 현지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당부했다.리커챵(李克强) 국무원 총리는 신속하게 긴급대처에 나서 2차 재난발생을 철저히 봉쇄하며, 지진 복구와 현지 주민생활 보장 업무를 잘 수행해 사회안정을 꾀할 수 있도록 지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4
  • 한글·아리랑·태권도 3대 브랜드 한류 확산
    정부는 한글과 아리랑, 태권도를 3대 브랜드로 선정해 한류확산을 적극 추진하는 등 문화가치를 본격 확산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아리랑대축제’, ‘태권도원’ 개원 등을 통해 3대 문화브랜드에 대한 특별 홍보를 추진한다. 우선 정부는 한글, 아리랑, 태권도를 3대 브랜드로 삼아 한류 확산의 첨병으로 내세울 계획이다. 뉴욕코리아센터(2015년), 파리코리아센터(2016년) 설립과 아울러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도 코리아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본격적인 K컬쳐 확산을 위해 해외에서 한글을 가르치는 세종학당 수를 지난해 120개에서 올해 130개로 늘릴 계획이다. 외국 관광객에게 한글을 알리기 위한 국립한글박물관도 한글날에 개관한다. 세종학당 교원도 적극 늘리고 한국문화 프로그램 개발·보급을 통해 해외진출 기업과의 협력 등 교육환경을 지속 개선하기로 했다. 정상외교를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기회로 적극 활용한다. 한류 신흥 지역에는 융·복합 문화콘텐츠를 소개하고 한류 심화 지역에는 우리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등 전략적 기획을 수립한다. 중앙부처 및 지자체가 정책 수립 시 문화적 관점에서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분석·평가하는 ‘문화영향평가제’ 도입 등 문화가치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 제정된 ‘문화기본법’의 시행과 관련 ‘문화영향평가제’를 도입해서 공공정책에 문화적 관점을 반영하고 문화융성위원회를 활용해 부처 간 협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로 했다. 또 외교부, 교육부 등과 창의 인재·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협업을 적극 추진한다. 국민들의 실생활 속에서 유용하고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을 한 눈에 모아서 알기 쉽게 ‘생활 밀착형 국민 공감 정책’을 지속 홍보하기로 했다. [정책브리핑]
    • 뉴스홈
    • 고국소식
    • 정치
    2014-02-14
  • 中 광서 인민경찰 임신부 살해사건 법정심사
    사진: 피의자 호평(경찰관)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중국 방송넷에 따르면 2월 13일오전 9시, 귀항시 중급인민법원이 고의 살인죄 용의로 검찰기관에 기소된 경찰관 호평의 사건에 대한 법정심사를 진행하였다. 지난해 10월 28일, 광서 평남현 대붕진에서 살인사건이 발생하였다. 평남현 공안국 경찰 호평이 음주후 대붕진 모 분식점에서 물건을 사려다가 이 분식점에서 우유차를 판매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임신중인 녀주인을 쏘아 죽였다. 다행히 녀주인의 남편은 목숨을 건졌다. 사건발생후 평남현 공안국 국장 등 6명이 정직처분을 받았다. 범죄용의자 호평은 이미 당적을 취소당하고 공직에서 면직되였으며 법에 따라 사법기관에 넘겨졌다. 평남현 원 부현장이며 공안국 국장인 주현, 공안국 원 정치위원인 리견도 각기 당내직무 해임, 행정철직처분을 받았고 기타 관련 책임자도 각기 당규률과 행정규률 처분을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3
  • 中 베이징영화학원 신입생 모집에 응시한 준남미녀들
    2014년 2월 9일, 베이징영화학원은 2014년 신입생 모집시험을 정식으로 시작했다. 신입생을 모집하는 여러 전공에서 연출전공이 여전히 제일 인기가 있어 지원인수가 작년보다 10% 늘었다. 여느때와 같이 현장에는 수많은 준남미녀들이 줄서서 기다렸다.<인민넷> [사진=중신망]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3
  • 한국 성대한 단체결혼식 거행, 약 2500쌍 신혼부부 참가
    2월 12일, 약 2500여쌍의 신혼부부들이 한국 가평군에서 성대한 단체결혼식에 참가했다.<사진=인민넷>
    • 뉴스홈
    • 고국소식
    • 사회
    2014-02-13
  • 중국 각 지역 민중들 즐겁게 정월대보름 맞아
    2월 12일 저녁, 등불이 눈부신 중국 남경시 부자묘 문덕교 우에는 유람객들로 빼곡했다. 이 날은 정월대보름전의 《등켜는 날》, 남경부자묘 풍경구의 제28회 중국ㆍ진회연등회는 등불이 눈부시고 밤빛이 매혹적이였다. 2월 11일, 산동성 기남현 경제개발구 신청1촌의 고순련(좌1)일가에서 밀가루등불을 만들고있다. 정월대보름을 맞아 산동 기몽산간의 백성들은 밀가루등불을 만들기 시작했다. 밀가루등불은 밀가루를 주요재료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모양을 만들고 우에 홈을 남겨두며 잘 쪄낸 후 심을 꽂고 기름을 붓는다. 정월대보름날 저녁, 사람들은 밀가루등불을 켜고 새해에 날씨가 좋고 건강무사하기를 기원한다. 2월 12일, 산동성 기남현 계호동촌의 촌민들이 무등불(萝卜灯)을 만들고있다. 이날은 음력 정월 13일로 로남지역 일부 농촌에서는 이날 무등불을 만들어 켜는 습속이 있다. 사람들은 깨끗이 씻어낸 무의 속을 파내 사발모양으로 만들고 외벽에 《봄》, 《복》 혹은 사람의 띠 그림을 새기며 불을 붙인 촛불을 무안에 넣어 무등불을 만든다. 현지 군중들은 정월대보름날에 무등불을 켜 날씨가 매우 좋고 크게 풍년이 들기를 기원한다. 2월 12일, 두 일꾼이 현장에서 왠쇼(元宵)를 만들고 있다. 이날, 천진시 화평구 남시식품거리에서는 《백가마 만인 왠쇼시식(百锅万人品元宵)》행사를 가지고 정월대보름을 맞았다. 시민들은 현장에서 왠쇼 제작과정을 보고 무료로 왠쇼를 시식하는 동시에 퀴즈활동에도 참가하고 문예공연도 관람할 수 있었다. 2월 12일, 시합에 참가한 노부부들이 함께 탕위안(汤圆)을 만들고있다. 이날, 강소성 소주시 고소구 죽휘단지는 《다정탕위안대결(多情汤圆大PK)》행사를 가졌는데 18쌍의 노부부들이 상 앞에 둘러서 함께 밀가루를 반죽하고 속을 넣어 정이 가득 쌓인 탕위안을 만들었다. 2월 12일, 민속놀이 대원들이 민속놀이를 연습하고있다. 이날, 녕하 은천시 영녕현 망홍진 남방촌 민속놀이대 근 100명의 대원들은 양걸, 사자춤, 꽃가마메기 등 다채로운 민속놀이공연을 연습해 정월대보름을 맞이했다. 2월 12일 저녁, 남경시 부자묘는 등불이 눈부시고 유람객들이 빼곡했다. 이날은 정월대보름전의 《등켜는 날》, 남경시 부자묘 풍경구의 제28회 중국ㆍ진회연등회는 등불이 눈부시고 밤빛이 매혹적이였다. 2월 12일, 산동성 치박시 기원현 열장진 북예장촌에서 촬영한 과일과 채소 등불(조판사진). 정월대보름이 다가오면서 산동성 치박시 기원현의 농민들은 사과, 귤, 무 등 과일과 채소들로 독창적인 과일과 채소 등불을 만들어 저탄소환경보호로 명절을 맞이했다. 2월 12일, 천진 남시 식품거리의 상가들이 현장에서 왠쇼를 만들고 있다. 이날, 제15회 전국 주련(对联)현상모집 시상식 및 《백가마 만인 왠쇼시식》 군중친목행사가 천진 남시 식품거리에서 펼쳐졌다. 남시 식품거리는 정월 13일부터 정월대보름 날까지 날마다 고정시간대에 시민들에게 여러 가지 맛있는 왠쇼를 무료로 시식하게 하는 동시에 다채로운 문예공연을 진행한다. 2월 12일, 군중민속공연대의 출연자들이 등주시 용원고진에서 높은 나무다리타기 공연을 하고 있다. 이날, 산동성 등주시 대형 정월대보름 민속거리행진 행사는 홍서용원 고진에서 진행되였고 높은 나무다리 타기, 양걸, 동북이인전, 하남예극 등 다채로운 문화종목들이 함께 공연되면서 정월대보름을 맞이했다. 2월 12일, 민속예인이 하북성 울현 난천진에서 《철물꽃》을 피우고있다. 이날, 《화수금화》를 주제로 한 대형 원생태의 민속공연이 하북성 울현 난천진에서 펼쳐졌고 현지 민속연예인들은 노래와 춤, 《철물꽃》 피우기 등 전통 민속공연으로 전통명절 정월대보름을 맞았다. 《철물꽃》은 난천진 옛 문화유산 가운데서 극히 매력적인 민간 민속놀이로 지금까지 이미 500여년의 역사를 갖고있다. 예인들은 생철로 녹인 고온의 쇳물을 차가운 성벽에 뿌리는데 튀어나온 쇳물은 삽시에, 피어나는 《금꽃》을 이루고 멀리서 보면 잎이 우거진 나무와 같아 《철물꽃》 이라고도 불리웠다.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3
  • 정월 대보름은 과거 중국의 "발렌타인데이"
    2014년은 네가지 묘한 현상이 있다. 음력으로 계산할 때 입춘이 연초와 연말에 두번이고 9월에 윤달이 들며 음력총날자수가 384일에 달하고 정월 대보름과 서방의 발렌타인데이가 겹친다. 민속전문가들은 시와 노래,연극, 민속 등 요인으로 분석해 볼때 원소절 즉 정월 대보름날은 중국 고대의 "발렌타인데이"였으며 2014년 정월 대보름날은 중국과 서방의 "발렌타인데이"가 하루에 겹치는 보기 드문 날이라고 입을 모은다. 산서 민간예술가협회 상사신 회장의 소개에 따르면 과거에는 매년규방에서 쉽게 나오지 않던 처녀들이 원소절 전후 3일에 삼삼오오 모여 거리에 나가 꽃등 구경을 했다. 이때 젊은 남자들이 마음에 드는 처자를 만나면 매파를 보내 혼담을 건네군 한다. 때문에 원소절에 많은 아름다운 혼인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졌다. 중국의 역대의 시와 사, 노래와 부에 묘사된 원소절은 "발렌타인데이"의 낭만과 정감이 담겨져 있는 있다. 예하면 구양수의 "생사자.원석"이라는 작품에는 "지난해 원소절 밤은/거리의 등불 대낮처럼 환했네./버드나무 가지위에 달이 걸려 있는데/황혼후 님과 만나자 약속 했었네./ 올해에도 원소절 밤이 되고/달과 등불 예나 다름 없건만/지난해 만났던 님은 없고/눈물만 옷자락 적시네"라는 시구가 있다. 이는 남녀간의 달콤한 만남을 시적으로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올해 원소절에도 꽃등 구경을 나갔지만 사랑하는 님은 없다는 애잔한 마음을 드러냈다. 이 외에도 중국 북방에서 300여년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민가 2인대라는 민속공연중의 "어린 부부 관등기"거나 "오빠의 방목"등 곡목들에서도 사랑하는 남녀들이 꽃등구경을 약속하는 내용들이 있다. 중국 남방 복건성의 전통적인 곡목인 "려경기"중에는 복건 천주태생인 진삼이 형님부부를 모시고 광동 남부에 부임하러 가는 중에 광동 조주에서 원소절 꽃등을 구경하다가 부잣집 딸인 황오냥을 만나 서로 사랑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상사신 회장은 송나라때 민속을 보면 사랑하는 남녀들이 원소절에 약혼을 하거나 갈라졌던 부부가 다시 화해를 할 때는 정월 대보름날에 함께 밥을 먹었다고 소개한다. 그외에 꽃등놀이와 등불수수께끼 맞추기도 원소절에 빼먹을수 없는 종목이었다고 한다. 그전에도 민간에는 "꽃등 훔치기"풍속이 있었다 한다. 아직 자식이 없는 결혼부부들이 원소절날에 꽃등 한쌍을 몰래 가져오면 아들딸 한쌍을 낳는다는 뜻을 담았다 한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현재의 원소절은 '구정의 폐막식'이나 '백성들의 카니발'에 가깝고 옛날 사랑하는 남녀들의 만남이라는 뜻이 많이 퇴색했다. 지금은 집안식구들이 만나는 날로 더욱 각인되고 있다." 상사신 회장은 또 "중국인들이 원소절을 즐기던 전통적인 풍속은 여전히 이어져 왔지만 지금은 새로운 한해의 아름다운 생활을 추구하고 이를 기원하는 뜻이 더 다분하다"고 분석했다. <중국국제방송>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4-02-1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