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3(일)
 

887.jpeg

 

[동포투데이] 아프리카 연합의 G20 가입, 글로벌 도전, 개발도상국과 남방 국가의 상황, 우크라이나 사태 등은 이번 주말 뉴델리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담에 모인 지도자와 대표들이 논의할 사항 중 일부이다. 


모디 인도 총리는 뉴델리가 의장국을 맡아 "갈등을 극복하고 장벽을 허물며 협력의 씨앗을 뿌리는 데 전념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G20 정상회의의 주요 관전 포인트는 여전히 공동선언문 채택 여부와 이 문서가 어떤 형태로 서명될지다.


선언문 채택의 걸림돌은 우크라이나 관련 조항에 대한 가입 여부로 러시아와 중국은 반대하고 있다. 예컨대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성과선언에서 중국이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행동을 비난하는 데 동의했는지에 대해 "G20은 경제협력의 플랫폼"이라며 "거시경제 정책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CNN방송이 EU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인도는 성과문서를 작성할 때 러시아의 특별 군사행동을 비난하지 않은 우크라이나 관련 성명 초안을 제시했지만, G7은 반대했다.


소식통은 "G7, 유럽연합(EU)과 우리 회원국에 이 초안은 충분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최종 선언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모스크바는 G20의 일부 회원국들이 의제에 도입하고자 하는 주제와 그 해결책이 금융 및 경제 문제, 즉 반중·반러 내용, 특히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한 그룹의 논의 권한을 넘어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러시아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으면 최종 선언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라브로프는 또한 때때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개최국이 성명을 발표하는데 그 내용은 어느 나라에도 구속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아미타브 칸트 인도 G20 조정관은 뉴델리 G20 정상회의 선언문이 거의 준비되었으며 서명을 위해 제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선언문에 서명하기 전에 그 성과에 대해 얘기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G20 정상회담, 뉴델리에서 개막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