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중국 중앙재정경제대학 인력자원 및 노동경제 연구센터는 중국 최신 인력자원 추산 결과 보고서인 ‘중국 인력자원 보고서 2020’(이하 ‘보고서’로 약칭)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앙재정경제대학 특별 초빙교수인 미 조지아 이공대학 교수 리하이정(李海峥)의 주도로 집필, 중국 인력자원의 분포와 발전 동태를 통해 정량적 설명을 한 것으로 인력자원이 중국 경제발전 중의 작용을 탐구함에 있어서의 중요한 조건을 창조해 주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5년부터 2018년간 중국 노동인구(학생 포함)의 평균 연령은 32.2세로부터 38.39세로 상승하였다.
동북지역 ‘근로자’ 나이가 가장 많아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중국 내 노무시장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근로자들의 소속 성 순으로는 헤이룽장(黑龙江), 랴오닝(辽宁), 지린(吉林), 충칭(重庆), 후난(湖南), 저장(浙江), 네이멍구(内蒙古), 후베이(湖北), 장수(江苏), 허베이(河北)와 쓰촨(四川)이었다. 이 중 동북 3성이 앞자리 3위를 점했다. 평균 나이가 가장 많은 헤이룽장은 40.19살이었으며 중국에서 유일하게 노동력 평균 나이가 40살을 초과하는 성으로 되었다. 그리고 랴오닝과 지린 역시 39.7살을 초과하는 2―3위를 차지했다.
중국 내 노무시장에서 젊은층은 갈수록 적어지고 중년층은 갈수록 많아지는 현상을 보아낼 수 있다. 이 중 동북지역 노동인구의 외지 유출문제가 줄곧 주목을 받고 있다. 공개된 집계 자료를 보면 2019년 전국의 주요 장기거주 인구에서 동북 3성과 베이징(北京)은 장기거주 인구가 마이너스 기록을 보인 성과 시었다. 이 중 헤이룽장, 지린과 랴오닝의 장기거주 인구는 각각 21.8만 명, 13.33만 명과 7.6만 명이 감소하였다.
실제 상황으로 보면 2013년부터 동북지역의 장기거주 인구는 7년간 지속적으로 유출, 인구 유출 규모는 2013년의 0.79만 명으로부터 2019년의 42.73만 명으로 늘어났다. ‘21세기 경제보도’의 집계에 따르면 이 7년간 동북 3성에서 순 유출된 인구는 164만 명에 달했다.
헤이룽장성 하얼빈(哈尔滨)에서 태어난 징 씨 여성은 고중을 졸업하자 동북지역을 떠나 베이징에 가서 대학교를 다녔다. 그녀는 “동창들치고 그리고 외지에서 공부 한 친구들 치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간 친구는 거의 없다"라고 나서 “외지에 가서 공부하다 보면 무의식 간 하얼빈은 총체적으로 연해의 발달 지역보다 낙후하다는 것을 의식하게 된다. 그리고 북방지역은 몹시 추우며 동북의 겨울은 진짜 견디기 힘들 정도로 너무 매섭다"라고 말했다.
징 씨 본인 역시 하얼빈으로 다시 돌아갈 생각조차 하지 않는 여성이었다. 그녀는 인터페이스 직장(界面职场)에서 헤이룽장은 경제발전이 상대적으로 낙후하고 주력으로 되고 있는 기둥 산업이 없으며 취업 기회가 적다고 했다. 그리고 그녀가 대학에서 전공한 것은 연극 영화이기 때문에 하얼빈에서는 TV방송국 외에는 별로 알맞은 분야가 없었다.
“사업적으로 발전할 기회가 적고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헤이룽장 TV 방송국은 수준 상 제약성이 많으며 직업 발전 전망이 매우 암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만약 고향에서 발전하자면 오직 대외사업을 선택해야 한다. 집에서 타성이나 특대 도시에 투자하는 등으로 말이다. 하지만 이는 기필코 주요 발전 도시가 되어서는 안 되는 법이다.” 이는 징 씨의 말이다.
한편 징 씨는 하얼빈에서 대학에 간 친구들이 고향으로 돌아온 사례가 있다고 말한다. 이런 친구들을 놓고 볼 때 고향은 안전감이 더욱 높다고 한다. 부모가 주택을 사주기도 하고 자가용과 어느 정도의 인맥도 있기에 생활의 질은 외지에서 표류하기보다 더욱 높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필경 소수에 불과했다.
“4년간 대학에 다니다 보니 익숙한 친구와 생활권이 모두 여기에 있기에 이 도시를 선택하여 계속 발전하기로 했어요.” 이는 환고향을 꺼리는 징 씨의 어느 한 친구가 하는 말이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적지 않은 친구들이 동북지역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졸업한 후엔 비록 동북지역에 일정한 사회적 토대를 구축하였지만 여전히 동북지역에 남아 발전하기를 꺼린다는 것, 이것 또한 동북지역이 인재를 붙잡아 두지 못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동북지역의 지린대학(吉林大学), 하얼빈공업대학(哈尔滨工业大学)과 대련이공과대학(大连理工大学) 등은 모두 동북의 명문 대학으로 해마다 전국 각지로부터 모집하는 학생 수가 적지 않다. 지린대학에 따르면 2020년에 모집한 본과생은 1만 259명으로 전국 대학교의 학생모집 순위에서 앞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반대로 2019년 지린대학의 졸업생 취업 보고서에 따르면 본과 졸업생이 졸업한 후 단 17.7%만이 동북지역에 남아 계속 발전하기를 선택했으며 대부분이 베이징(北京), 광둥(广东)과 산둥(山东) 등 성과 대도시를 선택했다. 일부 동북지역 태생 외 동부 연해지역, 남부 연해지역과 북부 연해지역에서 온 졸업생들은 최종 그래도 고향이 있는 성이나 대도시의 소재지로 돌아갔으며 그 비율은 각각 73.7%, 65.42%와 64.87%가 되었다.
“동북지역은 취업 기회가 적고 발전 전경도 별로 없어요.” 이는 지린대학 졸업생 한 명이 인터페이스 직장(界面职场)에서 들려준 말이다. 그에 따르면 지린대학을 놓고 보면 학생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우수한 교수들도 연해지역 혹은 대도시로 빠져나간다고 한다. 예하면 지린대학의 명함장이라고 할 수 있는 법률 학부는 말 그대로 지린대학은 ‘5대 학원, 4대 학부’의 대표적인 명문 학부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년 간 유출된 인재들을 조합하면 기필코 하나의 최정상급 법률 학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구 유출을 통제할 수 없는 동북지역이다. 동북지역 출생률과 자연 성장률은 중국 내에서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지역에 속한다.
국가통계국 집계에 따르면 2019년 헤이룽장, 지린과 랴오닝 각 성의 인구 출생률은 각각 6.73%, 6.05%와 6.45%였고 인구의 자연 성장률은 각각 - 1.01%, - 0.85%와 -0.8%였으며 전국에서 3개밖에 안 되는 인구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한 3개성이었다.
더욱 많은 인재로 하여금 동북지역에 남게 하고 동북지역의 진흥 발전을 위해서는 동북지역의 산업 고리 중 과학과 시장이란 2개의 고급 자원의 부족한 분야를 많이 미봉하고 거기에 동북지역의 무역 발전을 많이 강화해야 하며 이 외 동북지역 진흥의 중요한 개혁과 중대 항목이 뒤떨어지지 말아야 한다고 동북아 경제 연구원 왕훙 정(王洪章) 원장은 제기하고 있다.
그는 또 동북지역의 국유기업 및 시장화를 향도 하는 혼합 소유제 개혁을 심화하고 동북에 토지, 인구와 환경을 주체 내용으로 하는 종합개혁 시험 구를 건립하여 선양(沈阳), 창춘(长春)과 하얼빈(哈尔滨) 등 3개 중심도시의 지역 경제 일체화 발걸음을 다그쳐야 하며 다롄(大连) 국제 자유항으로 하여금 동북아 지역 경제 일체화로 되게 하는 가능성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광둥의 ‘현장 근로자’ 가장 젊어
동북과는 반대로 광동의 노동인구 연령이 보편적으로 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집계에 따르면 시짱(西藏), 구이저우(贵州), 하이난(海南), 신장(新疆)과 광둥(广东)의 노동인구 평균 연령이 37세로 나타났다.
시짱, 구이저우, 하이난과 신장 이 2개 성, 2개 자치구는 줄곧 인구 출생률이 비교적 높은 지방으로 일정한 정도로 인구 노령화 문제가 심각하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경제발전이 빠른 지역일수록 여성의 생육 욕망과 출생률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예하면 베이징이나 상하이의 실례가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반대로 경제발전이 비교적 낮은 지역 특히는 농촌지역 여성의 생육 욕망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양자 사이는 절대적 관계가 아니며 부동한 작용은 부동한 영향을 산생하기 마련이다.
예하면 광둥은 경제가 발달한 성에 속하지만 전통적인 생육 관념의 영향으로 인구의 자연 성장률은 전국의 평균 수준을 초과한다. 2019년 광둥성의 인구 증가율은 8.08%로 전국 총 인구의 자연 성장률에 비해 4.74%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외 이 광둥의 노동인구로 유입되는 대량의 청장년의 연령구조도 비교적 젊다. 광둥성 통계국 집계에 따르면 2019년 연말 광둥의 장기거주 인구는 1억 1521만 명, 전년 대비 175만 명이 증가했다. 집계가 보여주다시피 광둥은 이미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성으로 되었다. 그리고 새로 증가된 광둥의 175만 명의 인구 중 광둥 자체의 자연 성장 인구 92.38만 명을 제외하면 2019년에 광둥으로 유입된 인구는 82.62만 명이었다.
최근 5년간 광둥에는 매년 대규모의 인구가 유입되었다. 2015년, 2016년, 2017년엔 각각 51.65만 명, 68.72만 명, 68.47만 명이 유입됐고 2018년에는 무려 84.24만 명이 유입되었다.
후 씨는 후난(湖南) 사람이다. 그녀는 중산대학(中山大学) 석사생으로 졸업하자 광저우(广州)에 남았다. 그녀에 따르면 광저우를 놓고 볼 때 한편으로는 고향이 비교적 가깝고 이 외 경제가 비교적 활성화되어 취업 기회가 많으며 자기발전에도 더욱 유리하다는 점이다.
지난대학교(暨南大学) 공공관리학원 교수 후강에 따르면 광둥이 지속적으로 외래인구를 흡인할 수 있게 되는 데는 첫 째, 민영기업이 많은데서 취업 기회가 많으며 취업흡수 능력이 매우 강하다. 다음 광저우와 선전(深圳)이라는 양대 일선도시가 있다. 목전 이 양대 일선도시의 인구정책은 4개의 일선도시 중에서 상대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거기에 광둥의 기후와 환경 조건이 우월하고 문화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개방되고 포용되고 있다. 이 역시 인구집결을 흡인하는 다른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되고 있다.
BEST 뉴스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