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동질성 회복을 위한 민간교류 확대
-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이행 전략 구체화
- 통일 친화적 사회 지향,평화통일 문화네트워크, 통일 문화주간 제정 등 추진
-‘행복통장(가칭)’ 제도 도입 등 탈북민 자립 기반 마련
-'나진-하산 물류사' 지원을 시작으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통일부는 2.6(목) 오전 10:00부터 국방부에서 박근혜 대통령께 <2014년 통일부 업무계획>을 보고하였다.
통일부는 “통일 대박” 실현을 위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본격 가동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사업과 방안들인 ▲북한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농축산·산림협력 추진▲이를 위한 국제 NGO와의 협력 강화▲(가칭) 평화통일 역사재단 설립 ▲정부·민간·연구기관 등 협업을 통한 평화통일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박근혜 정부 2차년도인 금년에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실질적 성과를 거둠으로써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통일시대를 열어나갈 계획이다.
류길재 통일부장관은 업무보고에서 한반도 통일시대의 기반을 구축해 나가기 위해 ‘신뢰와 협력을 통한 평화통일의 기틀 마련’을 정책목표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이 3대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구축 : 튼튼한 안보를 토대로 남북간 대화와 협력을 통한 신뢰형성 노력을 계속하고, 북한의 비핵화와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을 통해 평화의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본격 가동 : 북한주민의 인도적 문제 해결과 인권 개선에 노력하는 한편, 남북 모두에게 이익이 되고 동질성 회복에 기여하는 방향에서 남북교류를 추진한다.
셋째 한반도 통일시대 준비 : 통일인식 제고 등을 통해 통일친화적 사회로 전환하고, 범정부적·범사회적 통일준비 협업체계 구축 등 대내외 통일 기반을 구축해 나간다.
이러한 3대 전략을 바탕으로 통일부는 올해(2014년) 다음과 같이 9대 중점과제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핵미사일·스텔스 전투기 총출동…세계 언론, 중국 열병식 충격 보도”
[동포투데이] 중국 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열병식이 3일 오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자, 세계 주요 외신들이 이를 일제히 주목했다. 열병식 시작 전, 미국 CNN은 “이번 열병식에서 첨단 무기가 대거 공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CNN 기자는 현장에서 “광장에는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中, 9월 3일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 지정 배경은?
[동포투데이] 중국은 오는 9월 3일 베이징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열어 중국인민항일전쟁과 세계반파시즘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한다. 일본이 항복을 선언한 날짜는 1945년 8월 15일이지만, 중국은 왜 9월 3일을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로 정했을까. 1945년 9월 2일 오전, 일본의 항복 조인식이 도쿄만... -
장춘 조선족 민속마을, 논 위에 피어난 ‘이야기하는 그림’
[동포투데이] 장춘의 한 조선족 민속마을에서 수만 평 논이 거대한 예술 작품으로 탈바꿈했다. 서광 조선족 민속마을의 4만㎡ 논에는 7가지 색 벼가 심겨, 장관을 이루는 대지 예술을 완성했다. 왼쪽 논에는 조선족 여성 아마니의 치마자락이 바람에 펄럭이고, 진달래꽃이 논 물결 사이로 피어나며, ...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동포투데이] 중국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관광지의 쓰레기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온라인 공간에서는 “쓰레기의 주범은 일본 관광객”이라는 주장까지 등장해 눈길을 끈다. 이는 오래된 반중 정서가 이번에는 다른 나라로 옮겨 붙은 사례라는 지적도 나온다. 환경부의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