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
연변, 자율주행 배송차 시범운행…스마트 물류 본격화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7 09:37
-
훈춘서 규모 5.5 지진…지상 피해 보고 없어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6 07:11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외국인 노동자는 소중한 이웃… 국적 이유로 한 혐오, 결코 용납 안 돼”
- 뉴스홈
- 경제
2025.10.23 07:41
-
‘한눈에 세 나라, 한마음의 고향’ — 백두산 품에 안긴 사람과 자연, 그리고 문화의 고향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2 14:39
-
“형님!” 외친 순간, 호랑이와 눈 마주쳤다… 장백산 국도서 야생 동북범 등장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1 11:39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8:07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7:32
-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7 18:50
-
연변 성악가 임향숙, 2025년 ‘시대의 품격’ 문예자원봉사자 선정
- 뉴스홈
- 국제
2025.10.14 19:09
-
‘보물 소도시’ 연길, 연휴 8일간 105만 명 몰렸다 — 관광수입 4200억원 돌파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4 10:52
-
아리랑 출신 김택남, 틱톡에서 다시 꽃피운 ‘감성 리바이벌’
- 연예·방송
2025.10.12 19:25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08 19:16
-
풍요의 노래 울리다 — 용정시 ‘조선족 백종절’ 성대 개막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7 23:09
-
가을의 들판에서 만난 전통의 숨결 — 연변의 추석, 문화로 익다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6 22:52
-
연변선봉국가삼림공원, 천년 고목과 청정한 공기의 숲속 여행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5 13:15
-
연변, 자율주행 배송차 시범운행…스마트 물류 본격화
[동포투데이]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연길시 도로에 최근 전기 무인배송차가 등장했다.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차량이 실제 도심을 달리며 물류의 자동화를 시험 중이다. 현지 정부와 기업들은 이번 시범운행을 ‘스마트 물류 시대의 출발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21일 오전, 연길 천지대교 인근에서 운...-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7 09:37
-
훈춘서 규모 5.5 지진…지상 피해 보고 없어
[동포투데이]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珲春)시에서 25일 저녁 규모 5.5의 지진이 발생했으나, 진원이 지하 560㎞로 깊어 지상에서는 진동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중국지진대망은 이날 오후 7시 45분(현지시간) 북위 43.08도, 동경 131.10도 부근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진원...-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6 07:11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외국인 노동자는 소중한 이웃… 국적 이유로 한 혐오, 결코 용납 안 돼”
[동포투데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외국인 노동자, 특히 중국 국적 노동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 여론에 대해 “국적이나 출신 지역을 이유로 한 증오 발언은 범죄이며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20일 서울외신기자클럽(SFCC)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모든 노동은 존중받아야 하며, 모든 노...- 뉴스홈
- 경제
2025.10.23 07:41
-
‘한눈에 세 나라, 한마음의 고향’ — 백두산 품에 안긴 사람과 자연, 그리고 문화의 고향
[동포투데이]중국 동북의 변방이자 조선족 자치의 중심지인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곳은 단순한 국경 지역이 아니라, 동북아의 역사와 인문,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거대한 생태·민속 박물관이다. 최근 현지 언론이 소개한 ‘연변의 23가지 숨은 이야기는 또 다른 연변의 얼굴을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2 14:39
-
“형님!” 외친 순간, 호랑이와 눈 마주쳤다… 장백산 국도서 야생 동북범 등장
[동포투데이] 중국 지린(吉林)성 장백산(長白山) 인근 국도에서 한 운전자가 야생 동북범(시베리아호랑이)과 불과 10m도 안 되는 거리에서 마주친 영상이 공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18일 밤, 연변조선족자치주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 부근 331국도를 달리던 한 운전자는 차 전조등 불빛에 비친...-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1 11:39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거리는 고요한 긴장감으로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8:07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7:32
-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동포투데이] ‘동북의 끝자락’으로 불리던 연변이 철도 하나로 운명을 바꿨다. 한때 중·러·북 3국 접경의 외딴 지역으로 불리며 ‘교통의 막다른 곳’이던 연변이, 이제는 동북아 물류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2015년 개통된 장춘–훈춘 고속철은 지난 10년간 8700만 명을 실어 날랐다. ‘동북에서 가장 아름다운...-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7 18:50
-
연변 성악가 임향숙, 2025년 ‘시대의 품격’ 문예자원봉사자 선정
[동포투데이] 연변의 조선족 성악가 임향숙(任香淑·연변가무단 1급 배우)이 중국문학예술계연합회(中国文联)가 주관한 2025년도 ‘시대의 품격(时代风尚)’ 문예자원봉사자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선정된 20명 중 동북 3성에서는 유일한 수상자다. 현장에서 시민과 함께 호흡해온 그의 오랜 문화 봉사 활동이 인정받...- 뉴스홈
- 국제
2025.10.14 19:09
-
‘보물 소도시’ 연길, 연휴 8일간 105만 명 몰렸다 — 관광수입 4200억원 돌파
[동포투데이] 중국 지린성(吉林省) 변방의 도시 연길이 또 한 번 ‘문화여행지의 숨은 강자’로 떠올랐다. 국경절과 중추절이 겹친 8일간의 ‘쌍절(双节)’ 황금연휴 기간 동안, 연길을 찾은 관광객은 105만 명을 넘었고, 총 관광수입은 21억4천만 위안(약 4천200억 원)에 달했다. 민속문화와 한식, 그리고 트렌디한 도시 감...-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4 10:52
-
아리랑 출신 김택남, 틱톡에서 다시 꽃피운 ‘감성 리바이벌’
[동포투데이] 한중 양국 무대에서 ‘아리랑’으로 이름을 알렸던 조선족 가수 김택남(金泽男·A Nan·46)이 최근 중국 틱톡(抖音)에서 감성 음악 크리에이터로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그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우아한 손짓과 진심 어린 감정선은 수십 년 전 무대의 여운을 디지털 시대에 다시 불러왔다. ...- 연예·방송
2025.10.12 19:25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짙은...-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08 19:16
-
풍요의 노래 울리다 — 용정시 ‘조선족 백종절’ 성대 개막
[동포투데이] 가을볕이 곱게 내려앉은 10월의 첫날, 용정시의 들녘에 황금빛 벼이삭이 넘실거렸다. 10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열린 ‘2025 용정시 제15회 조선족 백종절 민속문화축제’가 양전(良田)백세운동휴양지에서 다채롭게 펼쳐졌다. 올해 축제는 “감은대지(感恩大地)·기원풍등(祈愿丰登)·환경농락(欢庆...-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7 23:09
-
가을의 들판에서 만난 전통의 숨결 — 연변의 추석, 문화로 익다
[동포투데이] 가을 볕이 무르익은 10월 초, 황금빛 벼이삭이 물결치는 연변 화룡시 동성진 광동촌(光东村)이 들썩였다. 중추절(추석)을 맞아 ‘다채로운 연변·아름다운 비물질문화유산(非遗)’이라는 주제로 열린 2025년 중추절(추석) 비물질문화유산 시리즈 행사가 이 마을에서 성대히 펼쳐졌다. 이날 행...-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6 22:52
-
연변선봉국가삼림공원, 천년 고목과 청정한 공기의 숲속 여행
[동포투데이] 중국 동북부의 광활한 숲 속,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비경이 있다. 바로 연변 선봉(仙峰) 국가삼림공원이다. 도시의 소음과 일상을 벗어나 산과 계곡이 어우러진 이곳에서는 고목이 하늘을 찌르고, 시원한 계곡물이 흐르며, 공기 속에는 신선한 음이온이 가득하다. 자연이 만들어낸 ‘천연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5 13:15
-
연변, 자율주행 배송차 시범운행…스마트 물류 본격화
[동포투데이]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연길시 도로에 최근 전기 무인배송차가 등장했다.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차량이 실제 도심을 달리며 물류의 자동화를 시험 중이다. 현지 정부와 기업들은 이번 시범운행을 ‘스마트 물류 시대의 출발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21일 오전, 연길 천지대교 인근에서 운행 중인 한 무인배송차가 눈길을 끌었다. 차량에는 ‘자동운전, 차량 간 거리 유지’라는 문구가 붙어 있었고...-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7 09:37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7 09:37
-
훈춘서 규모 5.5 지진…지상 피해 보고 없어
[동포투데이]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珲春)시에서 25일 저녁 규모 5.5의 지진이 발생했으나, 진원이 지하 560㎞로 깊어 지상에서는 진동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중국지진대망은 이날 오후 7시 45분(현지시간) 북위 43.08도, 동경 131.10도 부근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진원의 깊이는 560㎞로, 일반적인 얕은 지진(60㎞ 미만)과 달리 매우 깊은 ‘심발지진’이다. 지진 발생...-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6 07:11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6 07:11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외국인 노동자는 소중한 이웃… 국적 이유로 한 혐오, 결코 용납 안 돼”
[동포투데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외국인 노동자, 특히 중국 국적 노동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 여론에 대해 “국적이나 출신 지역을 이유로 한 증오 발언은 범죄이며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20일 서울외신기자클럽(SFCC)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모든 노동은 존중받아야 하며, 모든 노동자는 보호받아야 한다”며 “노동의 가치에는 국경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정 국가 사람을 향한 적대감...- 뉴스홈
- 경제
2025.10.23 07:41
- 뉴스홈
- 경제
2025.10.23 07:41
-
‘한눈에 세 나라, 한마음의 고향’ — 백두산 품에 안긴 사람과 자연, 그리고 문화의 고향
[동포투데이]중국 동북의 변방이자 조선족 자치의 중심지인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곳은 단순한 국경 지역이 아니라, 동북아의 역사와 인문,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거대한 생태·민속 박물관이다. 최근 현지 언론이 소개한 ‘연변의 23가지 숨은 이야기는 또 다른 연변의 얼굴을 생생히 보여준다. 연변 동단의 훈춘시 방천촌(防川村)은 중국에서 유일하게 중국·러시아·북한 세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2 14:39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2 14:39
-
“형님!” 외친 순간, 호랑이와 눈 마주쳤다… 장백산 국도서 야생 동북범 등장
[동포투데이] 중국 지린(吉林)성 장백산(長白山) 인근 국도에서 한 운전자가 야생 동북범(시베리아호랑이)과 불과 10m도 안 되는 거리에서 마주친 영상이 공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18일 밤, 연변조선족자치주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 부근 331국도를 달리던 한 운전자는 차 전조등 불빛에 비친 커다란 동북범을 발견하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영상 속에서 그는 “현지인이에요, 형님!”이라고 외쳤...-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1 11:39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21 11:39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거리는 고요한 긴장감으로 가득 차 있었다. 가장 먼저 찾은 곳은 대성중학교 옛터였다. 일제강점기 수많은 조선 청년들이 이곳에...-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8:07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8:07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1900년대 초, 조선에서 건너온 이주민들은 가난과 추위 속에서도 먼저 예배당을 세웠다. 교회는 학교이...-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7:32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19 07:32
-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동포투데이] ‘동북의 끝자락’으로 불리던 연변이 철도 하나로 운명을 바꿨다. 한때 중·러·북 3국 접경의 외딴 지역으로 불리며 ‘교통의 막다른 곳’이던 연변이, 이제는 동북아 물류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2015년 개통된 장춘–훈춘 고속철은 지난 10년간 8700만 명을 실어 날랐다. ‘동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속철’이라는 별명처럼, 이 노선은 장백산과 훈춘 방천 등 주요 관광지를 잇고 있다. 관광객은 하루 만에...-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7 18:50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7 18:50
-
연변 성악가 임향숙, 2025년 ‘시대의 품격’ 문예자원봉사자 선정
[동포투데이] 연변의 조선족 성악가 임향숙(任香淑·연변가무단 1급 배우)이 중국문학예술계연합회(中国文联)가 주관한 2025년도 ‘시대의 품격(时代风尚)’ 문예자원봉사자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선정된 20명 중 동북 3성에서는 유일한 수상자다. 현장에서 시민과 함께 호흡해온 그의 오랜 문화 봉사 활동이 인정받은 결과다. 임향숙은 “문예는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신념으로 지역 곳곳을 누비며 문화의 온기를 전해...- 뉴스홈
- 국제
2025.10.14 19:09
- 뉴스홈
- 국제
2025.10.14 19:09
-
‘보물 소도시’ 연길, 연휴 8일간 105만 명 몰렸다 — 관광수입 4200억원 돌파
[동포투데이] 중국 지린성(吉林省) 변방의 도시 연길이 또 한 번 ‘문화여행지의 숨은 강자’로 떠올랐다. 국경절과 중추절이 겹친 8일간의 ‘쌍절(双节)’ 황금연휴 기간 동안, 연길을 찾은 관광객은 105만 명을 넘었고, 총 관광수입은 21억4천만 위안(약 4천200억 원)에 달했다. 민속문화와 한식, 그리고 트렌디한 도시 감각이 결합된 연길은 여행 플랫폼 마펑워(马蜂窝)가 발표한 ‘2025 국경절 인기 보물 소도시 TOP10’에서 5위...-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4 10:52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14 10:52
-
아리랑 출신 김택남, 틱톡에서 다시 꽃피운 ‘감성 리바이벌’
[동포투데이] 한중 양국 무대에서 ‘아리랑’으로 이름을 알렸던 조선족 가수 김택남(金泽男·A Nan·46)이 최근 중국 틱톡(抖音)에서 감성 음악 크리에이터로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그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우아한 손짓과 진심 어린 감정선은 수십 년 전 무대의 여운을 디지털 시대에 다시 불러왔다. 김택남은 감성 발라드와 클래식 리메이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감정형 음악 크리에이터’다. 2025년 ...- 연예·방송
2025.10.12 19:25
- 연예·방송
2025.10.12 19:25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짙은 초록의 덩어리 같지만, 한 걸음 들어서는 순간 전혀 다른 세계가 열린다. 공기는 더없이 맑고 서늘했...-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08 19:16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5.10.08 19:16
-
풍요의 노래 울리다 — 용정시 ‘조선족 백종절’ 성대 개막
[동포투데이] 가을볕이 곱게 내려앉은 10월의 첫날, 용정시의 들녘에 황금빛 벼이삭이 넘실거렸다. 10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열린 ‘2025 용정시 제15회 조선족 백종절 민속문화축제’가 양전(良田)백세운동휴양지에서 다채롭게 펼쳐졌다. 올해 축제는 “감은대지(感恩大地)·기원풍등(祈愿丰登)·환경농락(欢庆农乐)”, 즉 ‘땅에 감사하고 풍년을 기원하며 농악을 즐기자’는 주제로 열렸다. ‘백종전(展百种)·경백종(庆百...-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7 23:09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7 23:09
-
가을의 들판에서 만난 전통의 숨결 — 연변의 추석, 문화로 익다
[동포투데이] 가을 볕이 무르익은 10월 초, 황금빛 벼이삭이 물결치는 연변 화룡시 동성진 광동촌(光东村)이 들썩였다. 중추절(추석)을 맞아 ‘다채로운 연변·아름다운 비물질문화유산(非遗)’이라는 주제로 열린 2025년 중추절(추석) 비물질문화유산 시리즈 행사가 이 마을에서 성대히 펼쳐졌다. 이날 행사는 연변조선족자치주 문화방광국과 화룡시 정부가 공동 주최했다. 벼 냄새가 감도는 들판 한가운데, 전통...-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6 22:52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6 22:52
-
연변선봉국가삼림공원, 천년 고목과 청정한 공기의 숲속 여행
[동포투데이] 중국 동북부의 광활한 숲 속,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비경이 있다. 바로 연변 선봉(仙峰) 국가삼림공원이다. 도시의 소음과 일상을 벗어나 산과 계곡이 어우러진 이곳에서는 고목이 하늘을 찌르고, 시원한 계곡물이 흐르며, 공기 속에는 신선한 음이온이 가득하다. 자연이 만들어낸 ‘천연 산소 바’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길림성의 핵심 생태 보호구역 중 하나인 선봉공원은 풍부한 동...-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5 13:15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5.10.05 1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