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9(일)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유엔 총회, 6월 10일을 국제 문명 간 대화의 날로 제정
    [동포투데이] 제78차 유엔 총회에서는 중국이 제안한 '문명 간 대화의 날' 제정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은 모든 문명의 성과가 인류 사회의 공동 자산임을 분명히 하고, 문명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옹호하며, 세계 평화 수호, 공동 발전 촉진, 인류 복지 증진 및 공동 발전 실현에 있어 문명 간 동등한 대화와 상호 존중을 강조하며 6월 10일을 국제 문명 대화의 날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푸총 유엔 주재 중국 대표는 총회 전체회의에서 결의안 초안을 소개하면서 현재의 다중 위기 도전이 중첩되고 세계가 새로운 격동의 전환기에 접어들면서 인류사회가 다시 역사의 기로에 섰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배경에서 중국 측은 차별적 편견 해소, 이해 신뢰 증진, 민심 통합의 촉진, 연대 협력 강화에 문명대화의 중요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인류 사회가 연대하여 공동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기 위해 총회에 국제 문명대화의 날 제정을 제안하였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8
  • 후티 반군, 국제구호요원 18명 납치
    [동포투데이] 예멘 후티 반군이 조직적인 작전을 통해 유엔 직원을 포함해 구호요원 10명 이상을 구금했다고 외교소식통과 예멘 비정부기구가 금요일(6월 7일)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예멘 인권단체 마윤(Mayyun)은 유엔 직원 10명을 포함해 후티반군이 통제하는 4개 지역에서 최소 18명의 구호요원이 납치됐다고 전했다. 익명의 외교 소식통도 AFP에 유엔 직원을 포함해 구호 활동가 10명 이상이 납치됐다고 밝혔다. 예멘의 오랜 내전은 세계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 중 하나를 촉발시켰으며 이번 납치 사건은 그곳에서 구호 활동가들이 직면한 위험을 더욱 부각시켰다. 마윤은 "후티 반군이 자신들이 통제하는 4개 성에 있는 유엔과 기타 국제기구의 관저를 공격하고 이들 기관의 직원을 납치했다"고 주장했다. 마윤은 이번 납치가 유엔 직원들의 특권과 면책특권을 침해한 것이라며 이번 납치를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위한 갈취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 단체는 납치가 수도 사나, 호데이다의 주요 항구인 암란, 후티 반군의 전통적 거점인 사다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휴먼라이츠워치의 예멘 연구원 자파니아는 "후티 반군은 자신들이 장악한 영토에서 예멘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기보다는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인도주의 구호 활동가들을 잔인하게 학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2014년 예멘 내전이 발발한 이래 후티 반군은 유엔과 비정부기구 직원을 포함한 수백 명의 민간인을 납치하고 임의로 구금하고 고문했다. 지난해 자선단체 '세이브더칠드런'의 예멘 북부 직원 1명이 구속 중 숨지면서 열흘간 기관 운영이 중단됐다. 또한 같은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직원이 남부 도시 타이즈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무장괴한의 총에 맞아 숨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7
  • 덴마크 등 5개국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출
    [동포투데이] 유엔총회는 6일 덴마크, 그리스, 파키스탄, 파나마, 소말리아를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했다. 유엔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들 5개국은 에콰도르, 일본, 몰타, 모잠비크, 스위스의 뒤를 이어 오는 2025년 1월 1일부터 2년간 임기를 수행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총 15개 회원국으로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이 상임이사국이며 나머지 10개 회원국은 비상임이사국이다. 10개의 비상임 의석은 지역별로 할당된다. 아프리카 지역 3석. 아시아태평양 지역,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서유럽과 기타 지역 각각 2곳, 동유럽 지역 1곳이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은 유엔총회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고, 후보국은 총회 총투표수의 최소 3분의 2를 얻어야 선출하도록 규정돼 있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의 임기는 2년으로 매년 선거를 통해 5석씩 5개 지역구에서 교체되며 연임이 불가능하다. 안보리 15개 이사국이 돌아가며 1개월간 의장직을 맡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7
  • 도요타·마즈다, '인증 부정' 5개 모델 생산 중단... 3000여 협력업체 영향
    [동포투데이] 일본 도요타와 마쓰다 자동차는 6월 6일부터 인증 부정 5개 모델의 생산을 중단하기 시작했으며, 부품 공급업체도 감산에 돌입했다. 두 자동차 회사의 3,000개 이상의 협력업체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 영향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자동차는 이날부터 오는 28일까지 미야기 오히라 공장과 이와테 공장에서 '코롤라 필드', '코롤라 아이신', '야리스 크로스' 등 3개 차종의 생산을 중단했다. 마쓰다는 히로시마와 호후 공장에서 로드스터 RF와 마쓰다 2의 국내 생산을 중단했으며, 5월 30일부터 출하를 중단했다. 도요타에는 약 200개의 직접 공급업체와 1,000개 이상의 2차 공급업체가 있으며, 마쓰다에는 약 2,000개의 공급업체가 있다. 도요타는 2개 생산 라인에서 연간 약 13만 대, 마쓰다는 2개 모델에서 월 약 1700대 규모의 국내 생산을 중단했다. 두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 중단으로 인한 영향은 광범위하다. 도요타의 주요 차체 부품 공급업체인 후타바산업 주식회사도 6일부터 28일까지 이와테현 히라이즈미초에 있는 공장의 생산 라인 일부를 폐쇄하고, 직원들을 설비 점검 및 정비 또는 다른 생산 라인에 배치할 예정이다. 도요타의 협력업체에 대한 보상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일본 언론은 이번 일본 자동차업체 인증 부정 사건이 국토교통성이 인증을 받은 자동차·오토바이 제조사 등 85개 업체에 대해 자체 조사를 벌이도록 명령하면서 불거졌다고 전했다. 도요타에 대한 조사는 6월 말까지 마무리한다는 목표 아래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가 일본 경제에 미칠 악영향은 예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최근 도요타, 마쓰다, 야마하 발동기, 혼다, 스즈키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양산 인증 신청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부정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일본 기업의 한 축인 도요타를 비롯한 자동차 업체들의 부정행위가 드러나면서 국내외에서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일본 자동차 산업, 나아가 일본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7
  • 하마스 “최신 휴전안, 바이든 발언과 불일치”
    [동포투데이] CNN방송에 따르면 6일(현지 시간) 하마스(팔레스타인 이슬람저항운동)는 가자 충돌 종식을 위한 휴전안을 받았는데 휴전안 내용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개 연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영구 휴전을 위해 억류자들의 석방을 위한 3단계로 나뉜 휴전안을 제시했다고 언급했다. 이 방안은 카타르를 통해 하마스에 제출되었다. 하마스의 사미 아부 주흐리 고위 관계자는 6일(현지시간) 하마스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가자 휴전안 의사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의 제안은 이스라엘의 제안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만큼 이스라엘 측의 영구 철군과 전면 휴전에 대한 언급이 없기에 하마스 조직은 이번 휴전안을 거절한다고 말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영구 휴전을 약속하고 군대를 모두 철수시키는 조건에서만 이스라엘과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고 못박았다. 반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휴전안은 이스라엘의 입장과 차이가 있으며 “완전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스라엘 측은 억류자 전원 석방, 하마스의 군사력 소멸 등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가자지구에서 영구적인 휴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 번 강조해 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7

실시간 뉴스홈 기사

  • 예비 며느리, 시아버지 돈 몰래 인출했다 '철창행'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공안국 용문파출소 형사수사대는 5시간 만에 은행카드 도난 사건을 성공적으로 해명했다고 현지 매체 연변일보가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오후, 용정시공안국 용문파출소는 관할 구역 내 노인 임 씨로부터 은행카드를 도난당해 5만5,900위안의 예금이 사라졌다는 신고전화를 받았다. 피해자 임 씨는 당일 오후, 그는 은행에서 보내온 문자메시지를 통해 누군가 두 차례에 걸쳐 그의 은행카드로부터 5만5,900위안을 인출, 카드 안에는 겨우 90위안밖에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였다. 그가 은행에 확인해보니 인출자가 뜻밖에도 아들의 여자 친구 조 씨였다. 임 씨는 즉시 조 씨와 전화 연락을 취했지만 전화는 이미 끊긴 상태였다.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즉시 조사에 착수하고 혐의자 조 씨의 은신처를 파악한 뒤 당일 저녁 8시에 검거했다. 경찰에 따르면 혐의자 조 씨는 임 씨의 아들과 연인사이로 지난해 12월 해외에서 귀국한 뒤 줄곧 임씨의 집에 거주했다. 그동안 임씨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아들에게 여러 차례 은행에 가서 돈을 찾아달라고 부탁했다. 조 씨는 남자친구가 은행에서 돈을 인출할 때 몰래 비밀번호를 적어두었다. 경찰 조사에서 조 씨는 4월 10일 오후, 남자친구와 임 씨가 모두 집에 없는 틈을 타서 임씨의 침대 옆에 둔 은행카드를 몰래 가져가 친구와 함께 은행에 들러 돈을 찾은 뒤 옷 한 벌을 사고, 식당에 가서 친구와 밥을 먹었다고 진술했다. 조 씨는 현재 형사 구류(拘留)중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10
  • 국내외 주문 쇄도, 연변 방역물자 생산에 박차
    [동포투데이] 코로나 19가 발생한 이래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의 방역물자 생산기업들에서는 국내외의 주문이 눈송이처럼 날아드는 데 대비해 전력을 다하여 방역물자를 불철주야 제작, 납품하여 전염병 예방통제에 조력했다. 사진은 노동자가 화룡시쌍호(双昊)고신기술유한회사 의료용 격리안대 생산직장에서 생산한 렌즈에 하자가 있는 지를 검사하는 장면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09
  • 87년 전 한 독일비행사 촬영한 생태 중국을 보면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올 들어 코로나 19 때문에 일절 다른 취미를 다 버리고 있다가 요즘 코로나 19 사태도 한풀 꺾이고 또 시간적 여유도 있어 두루두루 인터넷을 검색하던 중 지금으로부터 87년 전인 1933년 독일 비행사 카스텔이 중국에 와서 카메라로 중국의 원 생태풍경의 이모저모를 찍은 사진들이 눈길을 끌었다. 고층 빌딩들이 숲처럼 일떠서고 콘크리트에 포위되어 깔끔하게 정리된 오늘의 현대 문명의 도시에 비해 독일 비행사 카스텔이 찍은 중국의 면모는 초라하기 그지 없다. 하지만 그가 찍은 촬영 작품들을 보노라니 어쩐지 나 자신이 모순된 심태라고 고백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같다. 그제 날의 가난했던 시골생활을 생각하기만 해도 지긋지긋하다가 그것이 가끔씩은 그리워지는 모순된 심태라고 할까? 아니면 화려하게 살면서도 겉치레와 <비단보에 싼 개똥> 같이 요즘 사람들의 인정세태에 실망해서일까? 그러면서도 그젯 날의 그 생활로 되돌아가라면 그건 죽을 것만큼 싫어지는 나의 모순된 심태이다. 자, 그럼 이 얘기는 그만 하고 바로 87년 전 독일 비행사 카스터얼이 촬영했다는 중국의 생태모습을 담은 사진이나 보자. 우선 독일 비행사 카스텔은 1905년 한 귀족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중국에 대해 남다른 흥취를 가졌다. 1930년 그는 한 항공회사의 비행 조종사로 되었으며 3년 뒤 중국으로 파견되어 어릴 때의 자기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에 소개되는 카스텔이 찍은 사진- 과연 1930연대의 중국 모습은 어떠했을까? 1933년 카스텔이 촬영한 황토고원이다. 이는 카스텔이 카메라와 비행기를 가장 완미하게 결합한 촬영 작품이며 뛰어난 비행기 촬영 감각을 보여준 사진이다. 한편 그는 중국의 명승풍경을 잘 찍은 외 또한 전문 1930연대의 지각변동을 찍은 사진도 적지 않았다. 이는 카스텔이 촬영한 북경 고궁의 태화전(太和殿)이다. 이 사진은 지면과 50미터가 높은 고공에서 찍은 것으로 아주 완미하게 태화전의 면모를 담았다. 당시는 말대 황제 부의가 자금성을 떠난 지 9년이 되는 해로서 바닥에 적지 않은 잡초가 자라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 사진은 1933년 카스텔이 촬영한 북경의 환구단(圜丘坛)이다. 이 사진은 지면에서 약 100미터가 되는 고공에서 촬영한 것이다. 환구단은 천단(天坛)의 남쪽에 위치, 봉건시기 제왕이 햇빛 아래에서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이 사진은 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하남성 언성(郾城)의 모습으로 대부분 건물들이 홍수에 훼손되었음을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사진 오른쪽에 한 갈래의 검은 색으로 된 선이 보인다. 그 선이 바로 정주-낙양 철도이다. 이는 당시 하남 성 정주 지구에서 사화활동(社火活动-집단적 명절놀이의 일종)를 하는 장면이다. 사람들은 춤추고 노래하면서 새로운 한 해의 도래를 경축하고 있다. 사진으로 보이는 것은 사천의 제전(계단식으로 만든 논)이다. 당지에서는 논을 지형에 맞게 만들었으며 한 계단, 한 계단씩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 멀리서 보면 진짜 오르내리는 건물의 계단을 방불케 하고 있다. 항일전쟁 시기, 사천은 중국의 대 후방이었다. 당시 수백만 명에 달하는 사천적 군인들은 고향을 떠나 항일전에 투신하면서 항일구국의 장엄한 서사시를 엮었었다. 사진은 1930연대의 옛 상해 모습이다. 당시 상해는 중국의 제1의 대도시이었으며 이 사진은 약 2500의 고공에서 촬영한 것이다. 사진이 보여주다 싶이 당시의 옛 상해는 번화한 대도시로서 도시 가운데로는 거대한 강ㅡ 황포강이 흐르고 그 양안으로는 호화건물들이 들어앉아 있었다. 사진은 1933년 광서성 의 한 작은 마을이다. 광서의 산은 아름답기 그지 없다. 사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광서의 계림(桂林)은 아름답기를 유명하여 <계림산수 갑천하(桂林山水甲天下)>란 이름까지 갖게 되었다. 위에서 언급하다 싶이 카스텔이 촬영한 사진들을 보면 지금의 사진처럼 칼라가 아니고 흑백이다 보니 그닥 화려하지 못하다. 말 그대로 그냥 중국의 생태를 그대로 복사해 낸 것처럼 원 모습 그대로이다. 하지만 나는 이 사진들은 아름답다고 말하고 싶다. 여기서 화려하다는 것과 아름답다는 것은 조금, 아주 조금은 다른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 같다. 화려하다는 것이 겉치레와 꾸밈의 과시라면 아름다움이란 원 모양 그대로인 소박이란 그 자체라는데서 더욱 그렇다는 생각이다. 워낙 이 글은 번역만 해서 기사화 하는 것에 그치려고 했으나 다시 생각하고 원 기사에 기자의 생각을 좀 보태여 잡문 비슷한 글로 만들었다. 시체적인 말로라면 뭔가 좀 시도해 본 것이다. 그냥 1930연대 독일 비행사 카스텔이 촬영한 사진을 보여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진들을 지금 다시 보면서 느낀 점들을 나열한 것이다. 완벽하지 못하다. 부족한 것이 많다. 한편 2015년 주중 독일대사관에서 <중국을 날아예다(飞越中国)>란 제목으로 된 도편 전시회를 개최, 전시회에 선보인 카스텔의 촬영 작품은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고 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09
  • 中 창장 유역서 첫 천톤 급 전동화물선 시험운항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8일 11시, 중국 창장(长江) 유역에서의 첫 전동화물선 <중천전운 001(天电运001)>호가 장수 창저우(江苏常州)에서 시험운항에 성공하였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이 전동화물선은 리튬 배터리(锂电池)와 슈퍼축전기로 <이중> 시동이 가능한 선박으로 전기 용량은 1458킬로와트에 달하는바 4대의 전동자동차의 전기용량과 맞먹고 2.5시간 충전하면 50킬로미터를 항행할 수 있게 된다. 리야우훙(李瑶虹) 중국 국가전력망 장수전력(江苏电力) 영업부 부장에 따르면 천톤 급 순 전동운수선박의 성공적 시험운항은 내륙하 수로운수 선박(内河水路运输散货船)에 대한 일대 기술혁신으로 향후 회사는 화물선의 <기름원료를 전력으로 바꾸기(油改电)> 사업을 계속 추진할 것으로 이렇게 되면 선박의 오염물 배출량을 줄이고 창장의 환경보호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09
  • WHO 단결하여 코로나 19 항격할 것을 호소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제네바에서 신화통신이 전하는데 따르면 8일 세계위생조직(WHO)은 전 세계에서 천연두(天花) 퇴치 40주년을 맞으면서 각 국은 일심단결하여 공동으로 코로나 19에 항격할 것을 호소하였다. 세계위생조직 사무총장 탄데세(Tedros)는 이 날 있은 영상 보도브리핑에서 40년 전의 오늘 즉 1980년 5월 8일, 세계위생대회에서는 전 지구적 범위 내에서 천연두를 소멸했다고 정식으로 선포했다고 언급하고 나서 백신은 천연두를 소멸함에 있어서 아주 중요했지만 단지 백신에 의거해서만이 아니고 결정적인 인소는 전 지구적 단결이 천연두를 소멸할 수 있게 했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또 인류가 천연두를 전승한 역사는 각 국이 단결하여 공동으로 대응하기만 하면 이번의 코로나 19도 능히 전승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코로나 19는 천연두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공공위생에 대한 <과건적인 도전>이며 또한 도전이기도 하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세계로 하여금 전 지구의 건강상황을 개변할 수 있는 기회로 되고 있으며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더욱 건강하고 더욱 안전하며 더욱 공정한 세계를 건립하려는 세계 위생조직의 최초의 꿈ㅡ 전민건강을 이루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날 브리핑에서 탄데세는 세계가 단결하여 천연두를 소멸한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유엔 우정관리국과 세계 위생조직은 공동으로 기념우표를 발행하게 된다고 선포하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05-09
  • 런던대학 연구팀, 코로나19 작년 말 전파 가능성 제기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영국 런던대학교가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19가 지난해 말 이미 전 지구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8일 중국의 인민망이 보도했다. 이 대학교에서는 수석학자가 인솔하는 연구팀을 구성해 갖고 전 세계의 코로나 19 감염자들한테서 7500개 바이러스 유전자 그룹의 데이터를 분석 연구, 연구일꾼들은 바이러스 유전자 그룹 중 198개의 바이러스가 반복적으로 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통하여 바이러스가 인간 군체 중에서 어떻게 연변(演变)하고 아울러 점차적으로 인간 군체 내에 자리를 잡는가를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이 코로나 19와 공유하고 있는 동일한 원종이 2019년 말에 나타났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밝혔다. 런던대학교에 따르면 이 연구 성과는 코로나 19의 조기단계 바이러스 전파 경로에 대해 선색을 제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백신과 약물을 개발하는 연구에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었다. 연구일꾼들은 이런 바이러스의 변이된 분포가 부동하고 바이러스의 유전자 그룹 중 일부는 큰 변이가 없기에 백신과 약물의 연구 및 개발에 아주 좋은 표적이 되고 있다고 표했다. 한편 이 보고서의 주요 작자이며 런던대학 교수인 프랑수아 발루는 바이러스와의 대항 중 주요한 도전은 곧 바이러스가 일단 변이되기만 하면 백신 혹은 약물도 더 이상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5-08
  • 中 초대형 쉴드머신 모스크바서 선보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모스크바에서의 신화통신에 따르면 지난 5일, 중국에서 자체로 연구제작한 초대형 쉴드머신(굴착기) <승리호>가 러시아 모스크바의 지하철 공사장에서 선보이었다. 당일 오전, 둔중한 기계의 동음과 함께 직경이 10.88미터에 달하는 <승리호>가 모스크바의 시구역에 나타났다. 이 대 직경 쉴드머신은중국철도 주식유한회사에서 자주적으로 연구제작한 것으로서 이번에 모스크바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것만이 아니라 전반 유럽에서 처음으로 선 보이면서 사용에 투입된 것으로 된다. 이 날 중국철도 건설유한회사 모스크바 지하철 제3 환승 환선(换乘环线) 동단의 작업장에 이 초대형 쉴드머신이나타나 정식으로 굴착작업에 나섰다. 이 항목은 2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그 총 길이는 2.947킬로미터에 달했다. <승리호> 초대형 쉴드머신의 총 중량은 1700톤으로 중국철도 건설유한회사에서 처음으로 연구제작한 것이다. <승리호>는 2019년 6월에 총 조립단계에 들어가 9월에 완공되어 중국 상하이에서 선박에 실려 수에즈 운하를 경과해 북쪽으로 항행, 48개의 주야를 거쳐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 그 뒤 각각 수상운수 및 육지 운송으로 지난해 12월 말에 모스크바에 도착했으며 목전 모스크바 지하철 제 3 환승환선 동단의 현장에 투입되었던 것이다. 모스크바 지하철 제3 환승환선 동단의 건설은 중국철도 주식 유한회사가 2019년 2월에 따낸 것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08
  • 통일부 “남북통합문화센터”, 13일 온라인 개관
    ▲남북주민 소통문화프로그램 제안 발표회 진행.ⓒ남북통합문화센터 [동포투데이] 북한이탈주민과 지역주민 간 소통과 화해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인 ‘남북통합문화센터’ 개관식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를 감안해 오는 13일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남북통합문화센터에 따르면 「남북주민 소통문화 프로그램」사업을 위탁받은 KC대학교(총장, 이길형)는 지난 3월부터 통일운동 민간단체인 ‘(사)새롭고하나된조국을위한모임(이하 새조위)’와 평화교육에 특화된 비영리법인 ‘피스모모’와 함께 본격적으로 사업을 준비해왔다. 남북주민 소통문화 프로그램」은 문화를 통한 남북한 상호이해를 공동 목표로 하고 있다. 운영과정은 KC대학교의 ‘생활밀착형 소통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면서 새조위의 ‘남북생애나눔대화’, 피스모모의 ‘문화적 소통 프로그램’을 통하여 남북주민들이 서로의 삶을 공유하고 음악과 미술, 영화와 사진, 음식문화, 부모교육, 체육과 건강, 역사와 문학 등 다양한 생활·문화·예술을 매체로 하는 상호교류와 이해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사업의 총괄책임자 박영희교수(KC대 사회복지학과)는 KC대학교 남북통합지원센터의 센터장을 수행하고 있으며 30년 간 사회복지분야에서 활동하며 통일 및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프로젝트 및 자문활동을 수행해 온 전문가이다. 또한 최정헌교수(KC대 상담심리학과)는 생활밀착형 소통 부문 책임자로 참여하게 된다. KC대학교의 복지분야와 상담심리 분야가 융합적으로 참여하게 된 본 사업에 대해 박영희교수는 “ 복지와 상담에서 더 나아가 우리 대학의 간호, 식품,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탈북민과 일반주민의 문화적 교류를 활성화함으로써 평화통일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5-08
  • 中 윈난 워이산 고산 생태차 풍년 들어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6일 인민망에 따르면 훙허(红河)의 발원지인 중국 윈난성 다리 바이저우 자치저우 워이산 이족• 회족 자치 현(云南省大理白族自治州巍山彝族回族自治县)에서는 2.36만 아르에 달하는 고산 생태 차잎(茶叶)을 따기 시작, 당지의 차농(茶农)들은 분분히 생태차원에 들어가 시간을 다투어가며 테관인(铁观音) 차와 우룽 차(乌龙茶) 등을 따는 것으로 자기들의 치부꿈을 실현하고 있다. 사진은 워이산 현 칭화향 칭민촌(青华乡箐民村)의 이족 차농들이 지리차원(吉立茶园)에서 생태 차잎을 따면서 웃음꽃을 피우고 있는 장면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08
  • 김병지-오윤아-추승균, 화훼농가 돕는 '부케 챌린지' 동참
    [동포투데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 화훼농가를 응원하는 '부케 챌린지'에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대중 스타들 및 SNS 팔로워들과 함께 동참한다고 8일 밝혔다. 현재 화훼농가는 코로나19로 인해 졸업식과 입학식이 대부분 취소됐고, 특히 결혼식까지 많이 연기되고 있어 큰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자신이 직접 꽃다발을 구매하여 주변 지인들에게 선물하는 방식으로, 릴레이 형식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꽃을 구매한다면 화훼농가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오늘(8일)은 어버이 날, 15일은 스승의 날, 21일은 부부의 날 등 5월은 행사가 많은 달인지라 지역 꽃집에서 꽃을 구매한다면 소상공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먼저 축구 스타 김병지 이사장과 농구 스타 추승균 전 KCC 감독에게 꽃다발을 선물했다. 이후 김 이사장은 탁구 스타 유승민 IOC 위원을 지목했고, 추 전 감독의 지목을 받은 배우 오윤아는 꽃다발을 배우 엄지원에게 선물했다. 이에 서 교수는 "많은 대중 스타들이 함께 동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SNS를 통해 많은 네티즌들이 함께 참여한다면 '부케 챌린지'가 더 의미있게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한편 서경덕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해 운영이 어려워진 러시아 우스리스크의 '고려인 민족학교'를 돕는 모금운동 전개 등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외 상황을 돕고자 꾸준히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5-0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