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中, 달 착륙 성공! 창어 6호 달 뒷면에 착륙
    [동포투데이] 6월 2일 6시 9분, 창어 6호가 달 뒷면의 남극 아이켄 분지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여 인류 탐사선이 처음으로 달 뒷면에서 샘플 채취 임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2일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창어 6호는 2020년 달 정면에서 샘플 회수에 성공한 창어 5호 미션과 비교해 달 역행 궤도의 설계 및 제어 기술에 돌파구를 마련했으며, 췌차오-2호 중계위성의 지원을 받아 달 귀환 지능형 고속 샘플링, 달 귀환 이착륙 등 핵심 기술 노드를 완성할 예정이다. 창어 6호 착륙선이 탑재한 탑재체는 계획대로 작동해 과학 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창어 6호의 국제 탑재물 중 ESA의 달 표면 음이온 분석기와 프랑스의 달 라돈 가스 탐지기는 곧 가동될 예정이며, 이탈리아의 레이저 각도 반사기는 배치를 완료했다. 궤도선·착륙선·상승선·재진입모듈 등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 창어 6호는 2024년 5월 3일 궤도에 진입한 이후 지구-달 이동, 달 근접 제동, 달 주변 비행, 착륙 및 하강 등의 과정을 거쳤다. 지난달 30일 창어 6호에서 분리된 착륙선과 상승기는 2일 새벽 하강을 시작해 착륙에 성공했다. 착륙선은 췌차오-2호 중계 위성의 지원과 지상 통제하에 태양날개와 지향성 안테나 전개 등 상태점검·설치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약 2일간 본격적인 채취작업을 시작해 드릴링과 로봇팔 채취 등 두 가지 방식으로 달표면 토양과 암석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동시에 달 뒷면 착륙 지점에 대한 현장 조사 및 분석, 달 토양 구조 분석 등 과학적 탐사를 진행해 달의 형성과 진화 역사에 대한 연구를 심화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중국군 고위장성 “‘대만 독립’은 곧 전쟁”
    [동포투데이] 엊그제 싱가포르에서 미·중 국방장관이 회담한 뒤 샹그릴라 대화에서도 양측은 계속해서 맞대결을 벌였다.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어제 연설을 통해 중국 인민해방군이 최근 새 민주진보당 정부를 징벌하기 위해 실시한 대만을 포위하는 훈련을 암묵적으로 비판하면서 미국 측은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계속 유지하고 대만 해협의 현상 유지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중국군은 즉각 기자회견을 열고 '대만 독립'은 전쟁과 다름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민해방군은 결코 훈련과 전쟁 준비를 멈추지 않을 것이며, 외세의 간섭을 막기 위해 결코 자비를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 서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지역 평화 안정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어제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에서 오스틴은 "유럽과 중동에서 전례 없는 분쟁이 발생하고 있지만 인도 태평양 지역은 여전히 우리의 최우선 무대이다. 아시아가 안전해야 미국도 안전하며, 이것이 바로 미국이 이 지역에 장기적으로 주둔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5월 31일 동쥔 중국 국방부 장관과의 회담을 언급하며 미국과 중국이 몇 달 안에 군사 전화 접촉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스틴은 분쟁은 협박이나 충돌이 아닌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면서 대만해협의 현상 유지와 남중국해에서 법치 유지를 지지한다"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오스틴의 발언이 중국이 "대만 독립 분리주의 세력"을 징계하기 실시 인민해방군의 최근 대만 주변 훈련에 대한 대응이라고 지적했다. 오스틴의 발언에 대해 대화회의에 참석한 중앙군사위원회 합동참모부 부참모장 징젠펑(景建峰)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대만해협 정세가 엄중한 가운데 라이칭더 일당은 조상을 잊고 '두 국가 이론'을 적나라하게 퍼뜨리고 있다"며 "군사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더 강력한 능력과 더 효과적인 수단, 더 확고한 결의를 발휘해 '대만독립'이라는 오만함을 타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만 독립은 전쟁이나 마찬가지"라며 "인민해방군은 전쟁 훈련과 준비를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며 외세의 간섭을 좌절시키는 데 결코 관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징젠펑은 또 오스틴이 이른바 '인도·태평양 전략'을 고취한 것은 미국의 패권을 계속 공고히 하고 이념으로 진영을 나눠 대결에 나서겠다는 의미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은 이 지역에 병력 배치를 늘리고 고도로 표적화 된 장기적인 훈련 활동을 수행하고 모든 방향에서 도발을 일으키고 힘을 과시하여 지역 평화와 안정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전날 동쥔과 오스틴은 18개월 만에 처음으로 미·중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다. 미국 측은 해방군의 최근 대만해 훈련에 우려를 표명했고, 중국 측은 미국이 '대만 독립 세력'을 향해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에 단호히 반대했다. 대만 담강대학교 린잉유 조교수는 중앙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미국 국방장관이 각각 레드라인을 그었고 어떤 라인을 지나치게 자극해서는 안 되는지 상대방에게 알려줬다고 말했다. 동쥔은 어제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 기하라 미노루 일본 방위상과 회담했다. 동쥔은 중국과 일본 국방부가 서로가 협력 파트너이며 서로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는 정치적 공감대를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하라 미노루는 댜오위다오 등을 포함해 일본과 중국 사이에 많은 안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러 전문가 “미·중 국방장관 회동 군사분야 균형 유지 목표”
    [동포투데이]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 러시아의 저명한 동방학자이자 외교관인 블라디미르 자하로프는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중 국방장관 회동은 각자의 국가전략정책을 수행하는 방향 중 하나일 뿐 군사 분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대만은 워싱턴이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전략적 수단의 일부일 뿐, 대만의 군사적 충돌을 말할 시기는 아직 무르익지 않았으며, 대만 주변의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자하로프는 "워싱턴의 전반적인 전략 노선은 중국에 대한 글로벌 압박이며, 대만은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수단의 일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대만 해협의 상황이 긴박하긴 하지만 충돌이 임박한 상황은 아니다. 자하로프는 "양측이 아직 정치적, 군사적 측면에서 적절한 잠재력을 축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충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측은 대규모 군사 훈련부터 협상까지 다양한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방부 장관들은 현재로서는 넘을 수 없는 레드라인을 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만 지역 지도자 라이칭더가 5월 20일 이른바 '취임' 연설을 했고, 사흘 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등의 병력을 조직해 대만섬 주변에서 '합동 검-2024A' 훈련을 벌였다. 군사훈련이 끝난 지 48시간도 되지 않아 미국 대표단이 대만을 찾았다. 미국 측은 또 대만과의 관계법에 따라 대만에 대한 방어용 무기를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하로프는 "대만 주변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며 "미국은 이 섬에 무기를 제공하고 국회 대표단을 파견해 분리주의자들과 양안 통일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격려했다고 지적했다. 현지시간 5월 31일 오후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고 중국 관영 CCTV가 보도했다. 미·중 국방장관이 직접 만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회담에서 양국 국방장관은 미중 양국의 양국 관계, 대만 문제, 남중국해 문제, 우크라이나 위기,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충돌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회담에서 동쥔은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 측의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동쥔은 미국이 라이칭더의 '취임'을 축하하고 대표단을 보내 '취임식'에 참석한 것에 대해 대만 문제는 순전히 중국 내정이며 외부 세력이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측이 실수를 제대로 바로잡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무력으로 대만독립을 돕지 말라'라고 촉구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美국방장관 “중국과의 전쟁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동포투데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31일에 있은 동준 중국 국방부 부장과의 회담이 만족스럽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오스틴의 발언은 미국과 중국 국방장관 간의 회담 직후에 나왔다. 그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 정상회의에서 "모든 논의가 유쾌하지는 않겠지만 서로 계속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오산과 오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계속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스틴은 또 "중국과의 전쟁이 임박한 것도 불가피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오스틴은 싱가포르 '샹그릴라 대화' 안보포럼 기간 중 중국 국방장관과 만났다. 펜타곤은 중국군의 최근 대만해협 훈련과 우크라이나 주변 정세,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 논의하면서 75분간 전문적이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오스틴이 중국의 러시아 군사 지원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은 그러한 지원이 계속된다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10개국 외무장관, 북한에 러시아로의 무기 수출 중단 촉구
    [동포투데이]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10개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이 우크라이나에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규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미국, 유럽연합 외무장관은 5월 31일 북한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우리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서방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과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재확인했지만 새로운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달 초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에 관여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은 부정확하며 러시아와 북한 관계는 제3국을 겨냥한 것도 아니고 지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북한에 모든 핵무기, 탄도 미사일 및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성명은 외교적 채널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10개국 외교 장관의 성명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훈련 중 단거리 탄도 미사일 18발을 발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휘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체는 북한군이 언제든지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에게 인식시키고 적의 대북 무력사용 시도에 대응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1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허난성, 화재로18명 사망, 16명 부상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25일 허난(河南)성 저청(柘城)현 인민정부 신문판공실에 따르면 2021년 6월 25일 오전 3시쯤 저청현 원양(遠陽)진 베이제(北街)의 한 무술관에서 화재가 발생해 18명이 숨지고 4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12명이 경상을 입었다. 사고 직 후 성·시·현의 주요 간부가 이미 현장에 출동했다. 화재는 진압됐고 무술관 관계자는 경찰에 의해 통제됐다. 사고 원인은 조사 중이고 관련 상황은 곧 사회에 공개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6-25
  • 美 언론, “미·중 양국 특별한 시기 맞을 것”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미국 CNN 방송은 21일 퇴임 선언을 한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중국대사가 미국을 떠나면서 양국 관계에 특별한 시기를 맞을 것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기사는 미국은 지난해 10월 브랜스태드 주중 미국대사가 퇴임한 이후 새로운 주중 대사를 임명하지 않고 있다며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중국대사가 떠나면서 중국과 미국은 어느 나라에도 대사가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같은 이례적인 외교관계의 공백이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 관계인 현재의 미중 관계가 잘못되었음을 다시 한번 반영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기사는 미중 관계가 왜 이런 국면에 빠졌는지 이유를 트럼프 당국이 무역, 과학기술, 지정학적, 국방적으로 중국과 끊임없이 충돌한 데 이어 바이든 당국이 중국을 ‘서방 민주국가’의 적수로 지목하면서 동맹국들을 끌어들여 중국이라는 ‘권위주의 국가’에 맞서기 때문이라고 간단히 설명했다. 기사는 바이든의 행보가 양자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어 미중 양국의 잠재적 차기 대사 인선을 점쳤다. 기사는 국무부 외사처에서 수년간 근무하며 그리스 주재 미국 대사와 나토 주재 대사를 지낸 니콜라스 번스가 후임으로 거론된다고 전했다. 그러나 바이든 정부는 현재까지 주중 대사 인선을 공식 발표하지 않고 있다. 기사는 또 중국 측은 그동안 친강 외교부 부부장이 주미 대사로 부임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가 대사직을 맡은 적이 없고 추이톈카이처럼 미국에 대한 직접 경험도 없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친강에게 있어서 미중 관계의 교량 구축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며 이는 미 의회 양당 모두 중국에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환구시보는 CNN이 언급하지 않은 것은 차기 주중 미국대사 역시 '어려운' 국면을 맞을 있다는 점이이라고 지적했다. 왜냐하면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부의 행동으로 인해 중국 사회는 더 이상 미국이 급부상하는 중국을 우호적으로 대할 수 있다는 환상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이것이 바로 젊은 세대의 중국 외교관들이 미국과 일부 동맹국에 대해 더 강인한 이유이라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이를 못 본 CNN은 다른 서방 언론처럼 중국의 젊은 세대 외교관을 무슨 ‘전랑 외교’라고 몰아붙이고 추이톈카이와 비교하면서 추이톈카이를 ‘베테랑’ 외교관이라며 말투와 어휘를 매우 잘 고려해서 표현한다는 등.. 이는 중국의 젊은 세대 외교관들을 폄훼하는 것이며 추이티엔카이에서 젊은 세대 외교관에 이르기까지 달라진 것은 그들의 말투와 표현이 아니라 중국에 대한 미국의 사고방식이라고 꼬집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6-25
  • 中, 24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유입 24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24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24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 24명(상하이 6명, 광둥 6명, 쓰촨 2명, 윈난 2명, 베이징 1명, 톈진 1명, 저장 1명, 후난 1명, 간쑤 1명) 모두 해외 입국자이며 추가 사망자는 없다. 의심환자 7명(해외 유입)으로 상하이에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30명이고 의학관찰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1133명이다. 중증환자는 전날보다 1명 줄었다. 현존 해외 유입 확진자는 392명(중증환자 9명)이고 의심환자는 9명이다. 누적 확진자는 6501명, 누적 퇴원환자는 6109명이며 사망자는 없다. 24일 24시 기준 기존 확진자 486명(중증 14명), 누적 퇴원환자 86571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1693명과 9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됐다. 누적 밀접 접촉자는 1054578명, 현재 의학 관찰 중인 밀접 접촉자는 19000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은 무증상 감염자 20명(해외 유입), 당일 확진자 전환 2명(해외 유입), 당일 의학관찰 해제 18명(해외 유입), 의학관찰 중인 무증상 감염자 463명(해외 유입 443명)을 신고했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26347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1905명(퇴원 11621명, 사망 210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53명(퇴원 51명), 타이완 지역 확진자는 14389명(퇴원 9288명, 사망 605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6-25
  • 美 마이애미 한 아파트 건물 붕괴.. 3명 사망, 99명 실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24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데이든카운티 서프사이드시 한 아파트 일부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이 아파트는 마이애미 해변에서 북쪽으로 약 9km 떨어진 해변 마을에 위치해 있다. 서프사이드시에는 1980년대 지어진 100여 개의 아파트 단지가 있는데 사고 당시 3분의 1이 이미 만원이었다. 24일 오후 다니엘라 레빈 카바 마이애미 시장은 아파트 붕괴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건물이 무너진 뒤 수색·구조대는 102명을 발견해 안전을 확인하고 있으며 3명이 사망하고 최소 99명이 여전히 실종되었다고 밝혔다. 마이애미 경찰은 아파트 부분 붕괴의 원인을 알 수 없다며 경찰이 사고 경위를 계속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붕괴 아파트의 주민 대다수는 외국인 것으로 알려져졌다. 베네수엘라·우루과이·파라과이 등 국가는 사고 직후 연락이 끊긴 국민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중 파라과이 외무부는 실종자 중 한 명이 파라과이 퍼스트레이디의 자매라고 밝혔다. 한편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사고 직후 발표한 공개 성명에서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지원이 "준비됐다"며 론 드 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면 즉시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은 또 정부가 적시에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료들에게 연방정부 지원에 개입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6-25
  • 美, 백신 접종 목표 달성할 수 어렵다고 확인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2일, 미국 언론 ABC에 따르면 당일 짐 츠 미국 백악관 코로나19 대응조정관은 “미국은 7월 4일 독립기념일 전까지 성인 70%에게 코로나19 백신 최소 1차를 접종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7월 4일 독립기념일 전가지 성인 70%에게 최소 1차의 백신 접종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5월 초에 밝힌 것이다. 하지만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자료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백신 접종 진도가 둔화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층의 접종의식이 박약해져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현재 접종 진행대로라면 7월 4일까지 미국 성인의 약 67.2%가 코로나19 백신을 최소 1제 이상 접종할 것이라고 ABC는 전했다. 이는 기존의 접종 목표보다 약 710만 도스의 차이가 난다. 짐츠 부장관은 이날의 백악관 코로나19사태 브리핑에서 “현재 미국에서 30세 이상 연령층의 70%가 최소 1차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쳤으나 젊은 층의 백신 접종 의식이 낮은데서 델타 변종 코로나19가 미국에서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며 젊은 층은 빨리 백신을 맞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 웹사이트에 따르면 22일 현재 미국 전역에서 1차 백신 접종을 마친 인구는 약 1억7800만 명으로 미국 전체 인구의 약 53.5%를 차지하고 2차 접종까지 마친 인구는 약 1억5000만 명으로 미국 인구의 약 45.3%를 차지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6-25
  • 인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3000만 명 초과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23일, 외신에 따르면 인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3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미국에 이어 또 한 번 3000만 명을 넘어선 국가가 됐다. 인도는 반 개월 넘게 코로나 19 확산의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었지만 신종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했으며 백신 접종 비율도 낮은 편이다. 거기에 봉쇄 해제에 따른 대량 이동 등으로 인도의 미래는 여전히 어둡기에 전문가들은 인도에 제3의 코로나19 확산사태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6-25
  • 中, 스마트 고속열차 '푸싱호' 청두- 충칭 구간 첫 운행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2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23일, CR400AF '푸싱호(复兴号)' 스마트 고속열차가 충칭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CR400AF '푸싱호' 스마트 고속열차는 이날 중국철도 충칭차량 팡시동차소에서 정식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완전한 중국의 독자적 지식재산권을 가진 푸싱호는 2019년 12월에 먼저 베이징 - 장자커우(北京 -张家口)고속철에 투입, 이달 25일에는 푸싱호 스마트 고속열차는 베이징 - 상하이(上海), 베이징 -광저우(广州),베이징 - 하얼빈(哈尔滨), 쉬저우 - 란저우(徐州 - 兰州) 및 청도 - 충칭(成都 - 重庆) 고속철로 확대 운행된다. 차체 외관은 중국 전통 문화의 롱펑 토템에서 영감을 얻은 "서룡지행(瑞龍智行)" 방안을 채택한 것으로 기술 혁신이 중국의 부흥을 이끌고 중국 고속철이 인류를 위해 세계를 이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푸싱호' 표준버전과 비교해 자판기, 배리어 프리 열차칸 등 설비의 완성도가 높아졌고, 열차 내 모든 좌석이 인적요소공학 기반으로 최적화됐으며, 유에스비(USB) 충전 인터페이스, 조절형 헤드레스트, 전기 레그 레스트 등이 추가됐다. 또한 지능형 운영 및 유지보수 수준이 한층 향상됐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6-25
  • 中 쓰촨, 무인 자동화 도로포장 장비로 고속도로 건설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23일, 인민망에 따르면 현재 중국 쓰촨(四川)성 바중(巴中)시 퉁장(通江)현 경내에 있는 전광(鎮廣)고속도로 왕핑~퉁장(王坪 - 通江) 구간에서는 신형 무인자동화 도로포장 장비로 공사가 한창이다. 전광고속도로는 산시 진바(陝西鎮巴)에서 쓰촨 광안(四川廣安)으로 이어지는 고속도로이며 친바산(秦巴山)과 촨산(川山)의 노 혁명 근거지에 위치해 있어 ‘홍색 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이 고속도로는 쓰촨성이 계획한 11개 성 간의 연락 통로 중 하나로 되고 있다.(사진울처 : 인민망)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6-25
  • 英 언론, 미국 난민 긴급 대피소 실상 충격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24일 외신에 따르면 최근 몇 달 새 미국과 멕시코 국경으로 이민자들이 몰리고 있다. 미 정부에 따르면 올해 160개국이 넘는 이민자가 100만 명을 넘었고, 그 중에는 보호자가 없는 미성년자도 많았다. 앞서 미 정부는 인근에 버려진 석유 노동자 캠프를 10여 개의 긴급 대피소로 만들어 난민 중 미성년자를 수용했다.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대량 난민 유입이 미 행정부에 큰 골칫거리라며 수천 명의 아동을 관리하는 것은 큰 도전이라며 이들 긴급 대피소를 관리할 인력을 충분히 고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미국 현지 주정부로부터 긴급 대피소에 있는 아동들의 아동 성범죄 신고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레그 애벗은 "이 대피소는 한마디로 건강과 안전의 악몽"이라며 "바이든 정부는 반드시 폐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HHS는 대피소의 모든 형태의 성학대, 성희롱, 부당성 행위에 대해 무관용 조치를 취하고 모든 아동의 건강, 복지, 안전에 대해 지속적으로 조사해 징계, 해고를 포함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처리 방식을 내놨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영국 BBC는 6월 23일(현지 시간) 미국과 멕시코 국경 난민 대피소의 실상을 "가슴이 찢어진다"고 폭로했다. 미국과 멕시코 국경의 대피소는 투명화 관리를 내세웠지만 영국 취재진의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영국 기자는 모종의 루트로 피난처에 대한 자료를 입수했다. BBC에 따르면 보호를 요청하는 수많은 난민 아동들이 여러 개의 텐트 안에 빽빽하게 들어차 있으며 이 중 한 텐트에는 수백 명의 아동이 수용돼 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앞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비닐 칸막이로 분리된 대피소의 실상을 담은 사진을 게재한 바 있다.적지 않은 아동은 이런 환경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되기도 했다. 대피소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아동들을 일괄 안치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의료적 배려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부 아동들은 재활 후 붐비는 텐트로 돌아가 생활하다 다시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혼잡함은 물론 대피소의 식사와 생활 여건도 좋지 않았다. 한 15세 소년이 대피소 급식은 대부분 먹을 수 있지만 가공되지 않은 음식으로 생닭고기처럼 처리 없이 대피소 아동들에게 나눠주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나눠준 음식이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이미 썩은 경우도 있다.이 소년은 생닭고기가 처리되지 않았으며 고기에는 혈액이 남아 있었다며 이 닭고기를 먹어 병이 났다고 밝혔다. BBC는 앞서 미국과 멕시코 국경의 피난처가 수많은 난민 아동들을 관리할 때 취한 조치가 화가 난다고 보도한 바 있다.한 스태프는 아동들이 먹을 것이 부족하다고 호소한다고 전했다. 일부 아동들은 거의 온종일 대피소에 머물며 하루 한두 시간 활동만 한다고 한다. 피난소 직원들은 수감자를 대하듯 이들을 관리했다. 생리적 고통 외에 적지 않은 아동들이 심리적 고통에 직면해 있다. 일부 아동은 심각한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미 여러 건의 아동이 자결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이런 문제에 대응하겠다고 하면서도 취재진의 취재를 금지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6-24
  • 시진핑, 베이징대학 유학생들 편지에 답장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1일 베이징대 유학생들에게 답장을 보내 "진실한 중국을 더 깊이 이해하고, 생각과 체험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며, 각국 국민의 민심 소통에 적극 노력하자"고 독려했다. 시 주석은 답장에서 "중국 국정과 공산당 역사를 스스로 이해하는 것이 중국의 과거·현재·미래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익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분들은 중국 공산당이 경제 발전과 빈곤 퇴치에 힘쓰고, 다른 나라의 코로나19 대응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언급했다”면서 “중국 공산당이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중국 인민을 위한 정당이자 인류의 진보적 사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분투하는 정당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에는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는 말이 있다”면서 “여러분들이 중국 각지를 다니면서 진실한 중국을 더 깊이 이해하는 동시에 여러분들의 생각과 느낀 바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해 각국 국민들의 민심 소통 촉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32개국에서 온 베이징대 유학생 대표 45명은 최근 시 주석에게 편지를 보내 중국공산당의 100년 탄신을 축하했다. 편지는 중국에서의 생활습득을 다룬 것으로, 중국 공산당의 강인한 지도 아래 중국이 위대한 업적을 이룩한 데 대해 진심으로 되는 찬사를 보내고, 중국 공산당의 인민중심적 사상에 대해 높은 공감을 표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6-24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