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美국방장관 “중국과의 전쟁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
    [동포투데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31일에 있은 동준 중국 국방부 부장과의 회담이 만족스럽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오스틴의 발언은 미국과 중국 국방장관 간의 회담 직후에 나왔다. 그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 정상회의에서 "모든 논의가 유쾌하지는 않겠지만 서로 계속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오산과 오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계속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스틴은 또 "중국과의 전쟁이 임박한 것도 불가피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오스틴은 싱가포르 '샹그릴라 대화' 안보포럼 기간 중 중국 국방장관과 만났다. 펜타곤은 중국군의 최근 대만해협 훈련과 우크라이나 주변 정세,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 논의하면서 75분간 전문적이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오스틴이 중국의 러시아 군사 지원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은 그러한 지원이 계속된다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10개국 외무장관, 북한에 러시아로의 무기 수출 중단 촉구
    [동포투데이]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10개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이 우크라이나에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규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미국, 유럽연합 외무장관은 5월 31일 북한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우리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서방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과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재확인했지만 새로운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달 초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에 관여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은 부정확하며 러시아와 북한 관계는 제3국을 겨냥한 것도 아니고 지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북한에 모든 핵무기, 탄도 미사일 및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성명은 외교적 채널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10개국 외교 장관의 성명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훈련 중 단거리 탄도 미사일 18발을 발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휘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체는 북한군이 언제든지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에게 인식시키고 적의 대북 무력사용 시도에 대응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1
  • 야스쿠니 신사 돌기둥에 '화장실' 낙서… 경찰 수사 착수
    [동포투데이] 야스쿠니 신사 입구 근처 '야스쿠니 신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돌기둥에 '화장실'이라는 영문 글자가 빨간색으로 쓰여져 있는 것을 경찰이 현장에서 확인했다 1일 오전 6시쯤(현지시간) 일본 도쿄 야스쿠니 신사의 돌기둥에 낙서가 새겨져 있다는 행인의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경찰은 현장에서 '야스쿠니 신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야스쿠니 신사 입구 근처 돌기둥에 빨간색 스프레이 페인트로 영어로 '화장실'이라는 단어가 쓰여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경찰은 현재 이 사건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푸틴, 쿠데타에 직면? 전문가가 밝힌 징후
    [동포투데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오랫동안 전쟁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양측 모두 군사 자원을 계속 고갈시키고 있고 러시아 경제는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다. 최근 쿠데타의 조짐을 감지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군 지도부의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뉴스위크는 최근 모스크바가 대규모 뇌물 수수 혐의로 다수의 고위급 군 장교를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러시아 제58군단 전 사령관이었던 이반 포포프 소장이 러시아 군을 비판한 후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 포포프의 체포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러시아군 병참을 연구한 적 있는 전 미 국방부 관계자인 트렌트 텔렌코는 5월 22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 올린 글에서 "남부군 제58군단의 포포프는 몇 안 되는 유능한 러시아 장군 중 한 명"이라고 밝혔다. 그는 푸틴이 그를 쿠데타로부터 막기 위해 보직에서 해임했다"라고 말했다. 고위층의 변화로 인해 제기된 우려에도 불구하고 체포 및 해임 발표 외에 쿠데타가 임박했다는 주장을 입증할 만한 실질적인 증거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4-06-01
  • 트럼프, 미 역사상 첫 유죄 평결받은 전 대통령
    [동포투데이]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에 따르면 30일(현지 시간)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성 추문 입막음 돈' 의혹 사건 형사재판의 배심원단 12명은 만장일치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34개 혐의에 대해 ‘유죄’라고 평결했다. 트럼프에 대한 형량은 7월 11일에 확정될 예정이다. 이로써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유죄 평결을 받은 첫 전직 대통령으로 되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포르노 스타 대니엘스가 2006년 트럼프와 불륜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당시 개인 변호사인 코헨을 통해 '입막음 돈'으로 13만 달러를 지급한 뒤 뉴욕주 및 연방 선거법 위반을 은폐하기 위해 해당 비용을 '변호사 수임료'인 것처럼 위장해 회사 업무 기록을 조작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트럼프의 중범죄 혐의 34건이 모두 유죄로 인정되면 최고 4년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트럼프 본인은 혐의에 대해 정치적 동기가 있다며 유죄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포르노 배우와 성관계를 한 적이 없으며, 가정 불화를 막기 위해 '입막음 돈'을 줬다고 주장해 왔다. 또 이는 대선과는 무관한 일이라는 입장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30일 평결 직후 이번 재판은 바이든 정부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지시한 것이라며 무죄를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5-31

실시간 뉴스홈 기사

  • 日 패전 75주년 기념일, 나루히토 천황 심각히 반성
    (사진=NHK 홈페이지 캡쳐) [동포투데이] 8월15일은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전패한지 75주년이 되는 날이다. 일본 정부는 도쿄의 낫폰부도칸에서 '전국전몰자추도식'을 가졌다. 나루히토 일본 천황이 추도식에 참석하고 연설했다. 그는 연설에서 과거의 역사를 심각하게 반성한다며 전쟁의 재난이 재연되지 않기를 기도했다. 나루히토 천황은 2015년 일본 전패 70주년 '전국전몰자추도식'부터 '심각히 반성한다'는 단어를 사용해왔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올해 행사에는 약 550명이 참가해 그 규모가 예년의 10분의 1밖에 안되었다. 아베신조 일본 총리도 이날 추도식에서 "전쟁의 참극이 절대로 재연돼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아시아 국가에 피해를 준 책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15
  • 광복 75주년, 수원 출신 9명의 독립유공자 서훈
    [동포투데이] 유병기, 구현서, 박기서, 홍종갑, 장주문, 정청산, 차계영, 최경창, 홍종례 등 수원시가 발굴한 9명의 독립유공자가 광복 75년을 맞는 2020년 8월 15일 정부포상을 받으며 독립운동의 업적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수원시는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을 펼쳤던 수원 출신 9명의 투사가 올해 정부포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건국포장을 받는 유병기(1895.3.20.~미상)는 당시 수원군 성호면 출신으로, 1923년 8월 25일 월간잡지 ‘신천지(新天地)’에 ‘모든 약자 계급에 호소하여 단결을 재촉함’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쓰는 등 이른바 ‘신천지 필화사건’으로 징역 1년을 받고 옥고를 치른 항일운동의 공적을 인정받게 됐다. 또 1944년 조선 독립과 관련된 유언비어 유포로 징역 1년을 받은 수원군 반월면 출신의 구현서(1921~미상), 수진농민조합 사건으로 징역 2년 선고를 받고 옥고를 치렀던 수원군 양감면 출신 장주문(1904~미상), 용을소년회 활동 및 신건설사사건으로 1년 6개월의 징역을 받은 수원군 남수동 본적의 정청산(1909.6.13.~미상), 경성제국대학반제동맹사건으로 징역 1년 6개월을 받은 수원군 산루리 출신의 차계영(1913.9.23.~1946.6.10.)이 애족장을 받게 됐다. 대통령표창에는 군자금 모금 활동을 벌여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던 수원군 성호면 출신의 박기서(1891.5.23.~미상), 적색노조와 수원격문사건에 함께 해 징역 1년 판결을 받았던 수원군 성호면 출신 홍종갑(1901.11.28.~미상)이 포함됐다. 특히 이번 서훈에는 수원 출신 여성 독립운동가 2명이 이름을 올렸다. 조선공산당재건운동 사건으로 검거되었던 수원군 성호면 출신의 최경창(미상)이 애족장, 같은 사건으로 검거됐던 홍종례(1919~미상)가 대통령 표창 대상이다. 앞서 수원박물관은 3.1운동 100주년 기념 전시 '수원 여성의 독립운동'(2019.3.29.~6.9)을 통해 이들의 업적을 조명한 바 있다. 75주년 광복절을 맞아 당시 수원지역 출신의 9명의 숨은 독립운동가의 공로가 인정받은 데는 수년간의 수원시 노력이 뒷받침됐다. 수원시는 후손이 밝혀지지 않거나 개인이 진행하기 까다로운 포상신청에 어려움을 겪는 숨은 독립운동가 발굴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발굴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2017~2018년 수원박물관과 수원시정연구원 수원학연구센터가 공동으로 ‘경기도 독립운동 인물발굴 사업’을 벌여 113명의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의 행적을 발굴했으며, 이 중 지난해 8월 9일 국가보훈처에 포상을 신청했던 15명 중 9명의 공적을 인정받은 것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우리 후손들이 누리는 현재의 삶은 독립운동가들이 나라를 되찾겠다는 일념과 행동이 밑거름이 되었음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수원시는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의 발굴과 포상신청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원시는 수원박물관을 주축으로 ▲수원 기생들의 만세운동을 주도한 김향화 선생(2009년 대통령표창) ▲19살의 나이에 비밀결사 운동을 주도하다 순국한 수원의 유관순으로 불리는 이선경(2010년 애국장) ▲이선경과 함께 구국민단에서 비밀결사 운동을 벌인 최문순(2018년 대통령표창) 등의 독립운동가들의 유공자 표창을 이끌어 내는 등 독립운동 인물 발굴 노력과 성과를 올리고 있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8-15
  • ‘북한 사람은 카톡을 사용할까?’
    ▲'짤막 시리즈' 프로그램 구성 및 영상 장면 [동포투데이] 통일교육원은 딱딱한 소재와 긴 설명으로 되어 있는 통일교육 영상에서 벗어나 재미와 정보를 동시에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뉴미디어용 통일교육 영상을 새롭게 개발하였다고 14일 밝혔다. 통일교육원에 따르면 주로 △핸드폰 △간식 △여행 △화장법 △커피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소재로 5분 내외의 짧지만 재미있는 영상을 제작하였다. 신개념 남북 소통 챌린지 「짤막 시리즈」는 인터넷상에서 ‘짤’이라고 언급되는 재미있는 사진과 짧은 영상을 활용하여 제작되었고, 교육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8월 14일부터 매월 1편씩, 총 5편이 공개된다. 또한 올해 하반기 「짤막 시리즈」의 주요 내용을 담은 책자를 홍보 전단(리플릿)으로 제작하여 배포하게 되며 신규 개발된 영상들은 통일교육원 누리집(www.uniedu.go.kr)에도 게시하여 통일교육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8-14
  • 안산시청 앞 평화의 소녀상을 기억해주세요
    [동포투데이] 안산시는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인 14일 시청 앞 분수대에서 소녀상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제막식은 윤화섭 안산시장과 김남국 국회의원, 시의원, 건립추진위원회 등 관계자 20여명만 참석한 가운데 간소하게 진행됐다.(사진제공 : 안산시청)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8-14
  • 세계 코로나19 확진 사례 2000만 건 선 돌파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3일, 제네바에서의 중국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지난 12일까지 세계의 코로나 19 누적 확진 사례가 2000만 건 선을 돌파, 누적 사망사례는 73만 건을 초과했으며 이 중 미국이란 나라가 세계에서 코로나 19 사태가 가장 엄중한 나라로 누적 확진사례가 세계 총 확진사례의 4분의 1로 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 19의 확산세는 다음과 같은 특점이 있었다. 코로나 19의 만연이 여전히 가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6월 29일, 세계위생조직(WHO)의 보고에 따르면 세계 코로나 19의 확산세가 첫 확진사례가 보고되어서부터 누적 1000만 건에 이르기까지 6개 월이 걸렸다면 확진사례가 누적 1000만 건으로부터 2000만 건에 이르기까지는 근근히 44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다음 세계위생조직의 사이트가 통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세계에서 매일 확진되는 코로나 19 사례가 여전히 높은 건수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지난 한 주간 평균 매일 확진사례가 약 25만 건씩 달했다. 세계 코로나 19의 하루 확진사례가 지난 7월 3일에 처음으로 20만 건을 초과한 이래 단 4일만 20만 건 이하로 내려갔고 최고 기록을 보여준 8월 1일에는 27만 7000건을 보여주기도 했다. 세계에서 누적 확진사례가 <100만 건 급>을 초과하는 국가로는 미국, 브라질, 인도로 각각 503만 건, 305만 건과 232만 건을 초과했다. 이 중 코로나 19 사태가 가장 심각한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 질병 통제 및 예방 센터에서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7월 24일, 미국의 하루 확진사례는 7만 4818건을 기록, 그 뒤 하루 확진사례 데이터가 내려갔다가 지난 한 주에는 평균 하루 확진사례가 5.3만 건에 이르렀다. 이어 미국의 버금으로 확진사례가 높은 나라는 브라질, 브라질 위생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29일, 브라질의 하루 확진사례가 6만 9074건에 달했고 8월 2일부터 8일까지의 한 주일 간 평균 하루의 확진사례와 사망사례는 각각 4만 3505건과 988건이었다. 유럽은 일찍 코로나 19의 <심각 구역>이었다가 최근 각종 조치로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은 셈으로 현재 유럽의 많은 나라들에서는 봉쇄해제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12일까지 유럽의 누적 코로나 19 확진사례는 세계위생조직에서 획분한 6개 구역 중 2위를 기록, 364만 건에 달하고 있다. 동남아 구역은 또 하나의 코로나 19의 <100만 건 급> 나라인 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지난 12일까지 동남아 구역의 누적 확진사례는 275만 건, 이 중 인도의 누적 확진사례는 232만 건으로 절대 다수를 점하고 있다. 지난 8월 이래 인도의 하루 확진사례는 5만 건을 초과할 정도로 급상승, 전문가들은 도시 빈민굴의 감염 율이 높고 넓은 농촌지역에도 만연되고 있으며 코로나 19 통제와 경제의 유지가 평형을 이루기 어려운 등 현재 인도는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하고 있는 상황으로 분석하고 있다. 동 지중해 구역에는 5개의 <10만 건 급> 국가가 있으며 이런 국가들로는 각각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이라크와 카타르로 지난 12일까지 이런 국가들의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는 각각 33만 건, 29만 건, 28만 건, 15만 건과 11만 건이었다. 이 구역의 일부 국가는 코로나 19 통제와 전란이라는 이 중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나라들은 검측 능력이 엄중하게 부족한데다 거기에 전란까지 겹치어 국가의 실제 감염 율은 정부가 발표한 데이터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아프리카 구역에서는 코로나 19 확진사례가 가장 많은 나라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누적 확진사례가 56만 건에 달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질병 예방 통제 센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아프리카의 54개 국가에서 모두 코로나 19 확진사례가 나타났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 코로나 19 사태가 비교적 엄중한 국가들로는 나이지리아, 가나 등 국가이다. 현재 코로나 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프리카의 30개 국가에서 <변경을 전면 봉쇄>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까지 서 태평양 구역은 코로나 19 확진사례가 세계위생조직에서 획분한 6개 구역 중 확진사례가 제일 적은 지구이다. 하지만 최근 일본과 호주 등 코로나 19가 한 시기 잘 통제되던 국가들에서 재 확산의 조짐을 보이면서 지난 주 이 구역의 코로나 19 확진 및 사망 사례의 증가폭이 비교적 컸다. 그리고 이 구역에서 필리핀은 유일한 <10만 건 급> 나라로 되고 있으며 지난 12일까지 누적 확진사례가 13만 9000건으로 되고 있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08-14
  • 이재명, 경기도 모든 종교시설에 집합제한 행정명령
    [동포투데이] 코로나19가 교회 소모임 등에서 다시 확산되자 경기도가 교회를 포함한 모든 종교시설에 정규 예배·미사·법회 등을 제외한 각종 모임과 행사를 금지하는 집합제한 행정명령을 발동한다. 집합제한명령이 중단된 pc방, 다방, 목욕장업, 학원, 교습소 등에도 예방수칙 준수 집합제한 명령이 내려진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4일 경기도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7월 27일부터 8월 13일까지 도내에서 210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37%에 달하는 78명이 종교시설에서 발생해 유감스러운 상황”이라며 “특히 종교모임 후 단체로 식사하는 행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 성가대 연습 등 동일한 위반사례 반복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8월 15일부터 30일까지 2주간 종교시설 집합제한 행정명령을 발동한다”고 밝혔다. 처분대상은 도내 1만5,778개 종교시설로 기독교시설은 1만3,707개이며 천주교시설 399개, 불교시설 1,481개, 원불교·유교·이슬람교 등 기타 191개다. 이에 따라 도내 종교시설은 ▲정규 예배․미사․법회 등을 제외한 종교시설 주관의 각종 대면 모임 활동 및 행사 ▲정규 예배․미사․법회 시 찬송, 통성기도 등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말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정규 예배·미사·법회 등은 ▲음식 제공 및 단체 식사 금지 ▲전자출입명부 설치 및 이용 ▲출입자 증상 확인 및 유증상자 등 출입 제한 ▲방역관리자 지정 ▲마스크 착용 ▲종교행사 전후 시설 소독 및 소독대장 작성 ▲시설 내 이용자 간 2m 간격 유지 등 핵심방역수칙을 준수하면 정상 진행할 수 있다. 앞서 도는 지난 3월 17일부터 2주 동안 감염예방수칙을 준수하지 않고 집회예배를 실시한 교회 137곳을 대상으로 주일예배 밀접집회 제한 행정명령을 발동한 바 있다. 이후 3월 29일 20개 교회, 4월 5일 2개, 24일 1개 교회 등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은 일부 교회를 대상으로 2주 동안 행정명령을 내린바 있다. 이후 7월 1일에는 종교시설 소모임으로 인한 확진자가 늘고 있다며 모임 자제를 당부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PC방(7,297개소), 다방(1,254개소), 목욕장업(897개소), 학원·교습소(3만3,091개소) 등에 대해서도 철저한 예방수칙 준수를 조건으로 하는 집합제한 명령을 내렸다. 도는 PC방에 대해 지난 4월 8일부터 5월 5일까지, 다방과 목욕장업은 4월 10일부터 5월 5일까지, 학원·교습소는 3월 18일부터 4월 6일까지 집합제한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 ( )숫자는 행정명령을 내릴 당시의 숫자로 현재는 일부 다를 수 있음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집합금지로 조치가 강화된다. 또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80조 제7호에 따라 3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아울러 집합제한 명령을 위반해 확진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검사·조사·치료 등 방역비용이 구상 청구될 수 있다. 이 지사는 “이번 종교시설 집합제한 행정명령은 종교의 자유 침해가 아닌 감염병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종교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도는 물류시설·콜센터·장례식장·결혼식장 총 1,586개소와 유흥주점·감성주점·콜라텍·단란주점·코인노래연습장 8,376개소에 별도 해제시까지 방역수칙준수를 권고 중이다. 또, 다단계·후원방문판매·방문판매 4,849개소에는 17일까지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린 상태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8-14
  • 모유수유- 아기의 2살 및 그 이상까지
    [동포투데이 화영기자] 일전 중국 국가 위생 및 건강 위원회는 <영유아 건강교육 핵심정보(婴幼儿喂养健康教育核心信息-이하 <핵심정보>로 약칭)> 반포했다고 14일, <중국청년보>가 보도했다. <핵심정보>에 따르면 모유는 영아한테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천연식물로서 0 - 6개월 되는 영아한테는 순 모유수유를 제창하며 6개 월부터의 영아한테는 첨가 보조식을 제공해야 하지만 모유수유는 여전히 영아가 2세가 될 때까지 혹은 그 이상을 지속하여 영아가 충분한 영양소와 에너지를 공급받도록 보장해야 하는 걸로 알려지고 있다. <핵심정보>는 또 모유에 풍부한 영양소, 면역력 활성물질과 수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0 - 6개 월 되는 영아의 발육에 수요되는 전부의 영양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그 어떤 배비된 우유와 양젖 등은 모유를 대체할 수 없다고 소개했다. 그리고 6개 월 이내의 건강한 영아한테는 순 모유수유를 제창하며 물과 기타 식물의 첨가가 필요 없다고 밝혔다. 모유수유는 경제적이고 편리하며 위생적이어서 영아가 안전하게 성장 발육하고 건강상태를 보장하는 데 있어서 유조, 조산아 그리고 저 체중아한테는 더욱 모유수유가 권장된다고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14
  • 푸틴: 러시아의 첫 코로나19 백신 국가 위생부 등록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러시아 국가 위생부가 본국에서 처음 연구 개발한 코로나 19 백신을 등록했다고 11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표시, 푸틴은 자신의 딸도 이미 코로나 19 백신을 접종했고 아울러 감각이 양호하며 오래지 않아 대량 생산이 될 것을 희망했다고 모스크바에서 중국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당일 푸틴은 모스크바에 있는 대통령 관저에서 정부관원들이 참가한 영상회의를 열고 “이 백신은 <카마레아(Gamaleya)> 유행병 및 미생물학 국가연구 센터(이하 <카마레아> 센터로 약칭)에서 아데노 바이러스(Adenovirus)를 캐리어(carrier)로 연구 제작했다고 소개, 백신은 이미 필요한 검험에 통과되었고 충분히 유효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인체에서 안정하게 항체가 생기게 한다”라고 밝혔다. 자신의 딸이 백신시험에 참가한 상황을 두고 푸틴은 “딸이 두 번 백신주사를 맞았는데 첫 주사를 맞았을 때는 체온이 38도까지 올라갔지만 두 번째에는 37도를 좀 넘겼으며 체온이 인차 정상으로 되면서 감각이 아주 좋았다. 체내의 항체력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많은 백신시험에 참가한 사람들도 백신 접종 후 체온이 정상이었다”고 설명했다. 푸틴은 또 코로나 19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오래지 않아 대량 생산되어 주사 백신을 요구하는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일, <카마레아> 센터 사무장인 긴즈버그는 이번의 백신은 아데노 바이러스를 캐리어로 만들었기에 인체에 주입하면 코로나 19에 대한 가시돌 단백(刺突蛋白)의 면역 응답이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러시아에서는 17개 연구기구들에서 26종에 달하는 코로나 19 백신을 연구 제작, 이 중 <카마레아> 센터의 코로나 19 백신의 연구 제작의 진도가 가장 빨랐다. <카마레아> 센터의 이 백신은 제 1기와 제 2기의 임상시험을 거쳐 진행, 각각 지난 7월 15일과 8월 3일에 결속되었으며 러시아에서 정한 안전 및 유효 표준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이 센터에서는 이 달 내로 향 후 5개월을 기준으로 하는 제 3기 임상시험 단계에 진입, 약 2000명이 성년이 백신 접종을 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8-13
  • 中 산둥서 갑룡 류 공룡의 새로운 종속 발견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의 고 생물연구 전문가들이 최근 산둥 주청시(山东诸城市)에서 비교적 완정한 갑룡 장골화석(甲类肠骨化石)을 발견, 이것으로 갑룡류 공룡의 새로운 종속서류를 건립했고 아울러 이를 <중국 주청 갑룡>으로 명명했으며 또한 이번의 발견으로 주청 공룡 동물 군체 중 공룡의 다양화 가능성이 증가하였다고 12일, 중국관영 신화통신이 지난(济南)에서 보도했다. 당일, 주청시 공룡문화 연구 센터에 따르면 중국 국내의 권위성적인 학술지 <지질통보(地质通报)>는 최근 주청시 공룡문화 연구센터의 왕커버(王克柏), 장옌샤(张艳霞), 천수칭(陈树清), 왕페이예(王培业) 및 산둥성 지질과학 연구원 천쥔(陈军) 등이 합작 집필한 <산둥 주청지구의 만백악세 시기의 새로운 갑룡류 공룡(山东诸城地区晚白垩世一新的甲龙类恐龙)>이란 글을 게재, 산둥 주청 장자좡(臧家庄)의 만백악 통왕씨 군체에서 수집한 비교적 완정한 갑룡류의 우측 장골화석은 갑룡류의 새로운 대표로 판정했다고 하면서 그것을 <주청 중국 갑룡>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주청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만백악세 공룡화석 산지로 이전에 압취용류(鸭嘴龙类), 섬각용과(纤角龙科), 각룡과(角龙科), 석각류(蜥脚类), 폭룡과(暴龙科), 절단룡류(窃蛋龙类) 등 화석재료가 발견되었으며 주청은 중국 갑룡의 발견에 주청 공룡 동물 군체 중 공륭의 다양성을 증가해 주었다. 한편 주청지구에서 발견된 공룡의 물종은 북미에서 발견된 일부 공룡 종류와 매우 비슷했다. 즉 산둥 주청지구의 압취룡과 공룡은 북미주의 아나토티탄룡 사이에 비교적 긴밀한 친연관계가 있다는 것, 주청 장자좡의 화석점에서 발견된 거형의 주청폭룡을 폭룡과로 대형 육식성 공룡은 북미 패왕룡의 근친 물종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자료에 따르면 갑룡류 공룡은 네발로 걷는 식식성(植食性) 공룡으로 조둔류(鸟臀类) 공룡 중의 유갑류(有甲类)에 속했다. 갑룡에 제일 먼저 나타난 것은 일찍 중 쥐라세(中侏罗世) 시기었고 만백악세 시기에 와서 가장 번성했다고 한다.    주청시 공룡문화 연구 센터 부 연구원 장옌샤에 따르면 주청 중국 갑룡은 공룡족 군체 중 제일 마지막에 사라진 군체로 이에 대한 발견은 주청 공룡 동물 군체 중 공룡의 다양성을 증가시켰고 북미 지구의 만백악세형 공룡과의 조합과 비교할 수 있으며 만백악세 공룡 동물 군체와의 상호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가 있었다. 또한 진일보 공룡생활의 장소를 복원함에 있어서 더욱 많은 의거를 제공하고 있다. 주청은 중국의 중요한 대형 압취룡류를 대표로 하는 만백세 공룡화석 산지로 화석의 매장면적은 1600 평방킬로미터에 달한다. 1964년 8월 원 중국 국가 지질부 연구인원들은 주차이(诸莱) 분지에서 고찰하면서 처음으로 공룡화석을 발견, 이를 계기로 공룡화석 군체에 대한 면사포가 점차 열리게 되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13
  • 싱가포르 밀수 상아 9톤 소각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12일, 싱가포르에서의 중국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당일, 싱가포르 경찰은 해외에서 밀수입되었다가 압수된 9톤에 달하는 상아를 소각하는 것으로 해외와 결탁하여 수입금지품을 밀수하는 범죄자들에게 호된 타격을 주었다. 사진은 지난 11일,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상아소각 현장, 상아 쪼각들이 분쇄기에서 콘베이어를 통해 떨어지고 있는 장면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1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