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美 총기 소유율 25년 만에 최고치 경신
    [동포투데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에는 타살, 자살, 우발적 부상을 포함한 총기 피해는 1~19세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아프리카계이라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가 최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메디슨에 발표한 연구보고에서도 이 같은 결과를 반영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22년까지 CDC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총기 관련 사망자가 35% 증가했으며 그중 아프리카 청소년들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버드 대학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보건 정책 교수인 데이비드 헤맨웨이는 이 현상은 20년 동안 미국의 일부 주에서 총기 취득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결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지만 총기 자살은 전 세계의 35%, 총기 타살은 전 세계의 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총기에 사망할 가능성은 백인보다 12배 높다. 지난 25년 동안 총기 규제 법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바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NBC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총기 소유율은 최근 2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권자의 52%가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총기 소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하버드대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60%가 총기 소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범죄가 줄어들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유권자의 42%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고 21%만이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헤맨웨이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총기 사망자는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른 부유한 나라들의 평균 총기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미국은 지금 점점 다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6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실시간 뉴스홈 기사

  • 소유즈" TMA-08M 우주선이 바이코노르 우주기지 발사대로 이송중인 모습
    소유즈" TMA-08M 우주선이 바이코노르 우주기지 발사대로 이송중인 모습 3월 29일 우주인 크리스 캐시디(미국), 파벨 피노그라도프(러시아), 알렉산더 미수르킨(러시아)을 태우고 오는 29일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떠날 예정이다 Source: Ramil Sitdikov/RIA Novosti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13-04-01
  • “자장면이 뭐예요?”… 문화행사
    ‘제6회 세계인의 날’을 맞아 서울시에서 후원하는 '외국인 커뮤니티 문화행사'가 오는 19일 오전 11시부터 5시까지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다. 중국조선족대모임(대표 허을진)과 한국외국인인권보호법률위원회(소장 이광종)가 공동주관하는 이날 행사는 “자장면이 뭐예요?”라는 주제로 ▲중국요리 먹거리 한마당, ▲한·중 문화공연, ▲중국 전통의상 체험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중국요리 먹거리 한마당’은 국내 최고의 중국요리 명장인 이면희 요리사가 현장에서 직접 요리하여 중국전통 요리의 다양하고 독특한 맛을 선보인다. 특별 코너로 마련된 한·중 김치문화 체험전은 한국의 대표 음식인 김치가 중국의 지리적·문화적 환경에서는 어떤 맛으로 변신했는지 맛보기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한·중 문화공연’은 중국의 대표 문화공연인 사자춤을 비롯해 소림무술, 태극권, 중국전통 노래·춤, 전통악기 공연 등으로 구성되어 볼거리와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댄스 공연과 한국 가수들의 축하 공연도 함께 펼쳐진다. 또한 중국 소수민족들의 전통 의상을 입어보고 사진으로 추억을 남길 수 있는 이색적인 ‘중국전통의상 체험’ 행사도 진행된다. 그밖에 당일 행사관련 사진을 블로그에 올리면 행운의 상품을 받을 수 있는 ‘블로그 공모전’도 준비돼 있다. 특히 이날 행사는 ‘케냐 대사관’, 이주여성 자조단체인 ‘톡투미(대표 이레샤)’와 함께 ‘2013 World in Seoul, Seoul in World’ 문화존을 꾸미고, 케냐와 스리랑카의 전통 춤·노래, 패션쇼, 마술, 모니카인형 만들기 체험 등 각 나라의 독특한 문화를 비교 체험할 수 있는 색다른 행사로 꾸며진다. 중국조선족대모임 허을진 대표는 “5월의 따사로운 햇살과 싱그러운 초록이 어우러져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하듯 서로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 공동체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문화
    2013-03-29
  • 서울시, 외국인 커뮤니티 17개 행사 지원
    서울시, 외국인 커뮤니티 17개 행사 지원 [한국인권신문] 서울시는 “2013 외국인 커뮤니티 문화행사 지원사업 공모”에 대한 심사 결과 17개 단체에서 제출한 문화행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주한 케냐 대사관의 ‘케냐 문화축제’ 행사를 비롯해 중국, 몽골, 필리핀, 프랑스, 네팔 등 각국을 대표하는 커뮤니티 단체들의 특색있는 다양한 문화행사가 선정되었다. 특히 중국조선족 동포들의 커뮤니티 모임인 ‘중국조선족대모임’(대표 허을진)과 ‘한국외국인인권보호법률위원회’(소장 이광종)가 공동기획한 “자장면이 뭐예요?”는 유일하게 전통요리를 선보이는 행사로 중국조선족을 대표하는 단체와 이주노동자의 인권보호와 증진 활동을 하는 한국민간단체가 공동으로 기획한 행사여서 주목을 받고 있다. “자장면이 뭐예요?”는 중국전통요리 먹거리 행사로 5월 11일(토) 광화문광장에서 무료로 중국전통요리를 맛볼 수 있는 행사다. 국민음식인 자장면을 중국음식으로 알고 있지만, 정작 중국에 가면 자장면을 볼 수 없다. 행사를 기획한 이광종 소장은 “우리가 중국음식으로 알고 즐겨 먹는 자장면, 짬뽕, 우동 등은 중국음식이 아닙니다. 본래 중국은 음식과 의약이 같은 것이라 여겨, 몸을 보신하고 병을 예방·치료하여 무병장수하기 위해 음식을 먹었습니다. 중국 먹거리문화 체험을 통해 중국음식의 다양하고 특유한 맛을 느껴보고 중국문화를 바르게 이해하는 시간이 되도록 준비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먹거리 행사 외에 중국전통의상인 ‘치파오’를 입고 사진으로 추억을 남길 수도 있다. 사진은 블로그 공모 이벤트를 통해 선정되면 푸짐한 상품도 받을 수 있다. 또한, 재한중국조선족 동포들의 문화공연 행사도 펼쳐질 예정이다. 공연팀(재한중국동포예술봉사단)은 생업에 종사하면서도 틈틈이 익힌 노래와 춤으로 지역 노인들을 위한 무료 공연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한편 2003년부터 시작해 열한 번째 열리는 이번 외국인 커뮤니티 문화행사는 서울시가 서울시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커뮤니티 활동과 문화행사를 활성화하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세계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선정된 문화행사는 3월부터 오는 11월까지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 서울숲, 서울대공원 등 시민들의 발걸음의 잦은 서울시 문화 장소에서 펼쳐지게 된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문화
    2013-03-18
  • 중화인민공화국 출경입경관리법 7월 1일부터 실행
    제11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 27차 회의에서 통과된 “중화인민공화국 출경입경관리법”이 올해 7월 1일부터 실행하게 된다. 새롭게 제정된 이 법은 출입경관리, 특히는 외국인관리면에서의 많은 내용이 증감되였다. 우리 주 공민 및 우리 주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상술한 법을 자세히 료해할수 있도록 이번기부터 문답형식으로 새롭게 실행될 “출경입경관리법”에 대해 소개한다. -편집자-1. 새로운 "중화인민공화국 출경입경관리법(이하 “관리법”으로 칭함)"은 언제부터 실행합니까?답: 새로운 "중화인민공화국 출경입경관리법"은 2013년 7월 1일부터 실시합니다.2. 외국인이 중국에 입경하려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합니까?답: 외국인이 중국에 입경하려면 반드시 외국주재 중국의 사증(비자)발급기관 (대사관, 령사관 및 기타 사증대리기관)에 가서 사증을 받아야 입국할수 있습니다. 본법에서 별도로 규정한 것은 제외합니다.외국인이 사증신청을 할때 반드시 외국주재 중국의 사증발급기관에 본인의 려권 혹은 기타 국제려행증건과 신청유관자료들을 제출해야 하며 외국주재 사증기관의 요구에 따라 해당절차를 밟아야 하며 면접을 봐야 합니다.또한 외국인이 사증신청을 할때 중국국내의 단위거나 개인의 초청장을 제출할 경우 신청인은 반드시 외국주재 중국사증기관의 요구에 따라 초청장을 제출해야 하며 초청단위거나 초청인은 반드시 초청내용의 진실성에 대해 책임져야 합니다.3. 외국인에게 주는 사증은 몇가지 입니까?답: 외교나 공무로 입경하는 외국인에게는 외교, 공무사증을 발급해 주고 신분이 특수한 외국인에게는 례우사증(礼遇签证)을 발급해줍니다. 외교, 공무, 례우 등 사증의 발급범위거나 발급방법은 외교부에서 규정합니다.사업, 학습, 친척방문, 려행, 관광, 상무활동, 인재인입 등 비외교 공무사유로 입국하는 외국인에게는 종류에 따라 그와 상당한 보통사증을 발급합니다. 보통사증의 종류와 발급방법은 국무원에서 규정합니다.4. 사증(비자)이란 무엇이며 사증등록내용은 어떠합니까?답: 사증이란 외국인이 입경해야 할 시일과 입경후 규정한 체류시간을 말하는데 그 사증등록내용을 보면 사증의 종류, 소지인의 성명, 성별, 출생날자, 입경회수(入境次数), 입경유효시일, 체류기한, 발급날자, 발급한 곳, 려권 또는 기타 국제려행증건번호 등이 있습니다.落款:주공안국출입경관리국문의전화: 0433-2242108/조글로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3-11
  • 中국가기구지도자 이렇게 산생된다
    12기 전국인대 1차회의는 10일 제3차 전체회의를 거행했다. 회의는 가결을 거쳐 12기 전국인대 1차회의 선거 및 임명결정 방법을 채택했다.일정선거 및 임명결정 방법에 따라 선거 및 임명결정은 각기 아래와 같은 3차례 전체회의에서 이루어진다. 3월 14일, 제4차 전체회의에서 전국인대 상무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 비서장을 선거하고 전국인대 상무위원회 위원을 선거하며 국가주석, 부주석을 선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선거하게 된다.3월 15일, 제5차 전체회의에서는 국무원 총리 인선을 결정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위원 인선을 결정하며 최고인민법원 원장, 최고인민검찰원 검찰장을 선거하게 된다.3월 16일, 제6차 전체회의에서는 국무원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 부장, 각 위원회 주임, 중국인민은행 행장, 심계장, 비서장 인선을 결정하게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3-11
  • 중국조선족대모임 2013년 3.8 부녀절 기념모임
    중국조선족대모임 2013년 3.8 부녀절 기념모임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13-03-11
  • 中 해외에 정착하면 호적이 취소당하나?
    【연변=동포투데이】“전 지금 외국에 있는데 아직도 제1세대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지금 제2세대 신분증으로 교체하고 싶은데 꼭 본인이 들어가서 수속해야 하는가요? 만약 교체하지 않으면 호적을 취소당하는가요?”… 이는 미국,일본,한국 등 해외에 오래동안 체류한 중국인들이 공동으로 관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얼마전 중국 공안당국은 “본인이 호적 소재지역의 공안파출소에 가서 신청해야 한다. 외국 국적에 가입했거나 해외에 정착했을 경우 본인 또는 가족이 여권 등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증서를 갖고 소재지역 공안파출소에 가 호적 취소 신청을 내야 하며 외국 국적에 가입했거나 화교(화교란 5년이상 해외에 장기체류, 영주권을 취득한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인)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호적 취소 신청을 내지 않을 경우 소재지역 파출소는 현급이상 공안국 출입국관리부문의 확인을 거쳐 호적을 취소할 수 있다”고 해명한바가 있다. 사실 해외에 정착했다고 해서 호적이 반드시 취소당하는 것은 아니다. 지난2003년 8월7일, 중국공안부는 “해외에 1년이상 정착할 경우 호적을 취소해야 한다”는 규정에 대한 철폐 결정을 내린바가 있다. 해외에 장기 체류할 수 있는 거주증을 가지고 체류 기한이 5년이상이 되면 공안당국이 본인의 신청 여부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호적을 취소할 수 있었지만 2003년부터 이들의 호적을 기본적으로 취소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1세대 신분증을 제2세대 신분증으로 교체하지 않으면 여전히 호적을 취소당할 수 있다. 제1세대 신분증을 반드시 제2세대 신분증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미처 신분증을 교체하지 못한 이들의 호적은 언제든지 취소당할 수 있다는게 공안당국 관계자의 해석이다. 2000년 이전에 출국해 지금까지 해외에 정착한 중국인들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제1세대 신분증을 제2세대 신분증으로 교체하지 않을 경우 호적을 일방적으로 취소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2000년 이전에 출국해 해외에 정착한 중국인들 상당수가 호적을 취소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적을 취소당한후 정착 신청은 어떻게? 외국 국적에 가입했거나 거주국의 영주권을 따낸 화교들이 귀국후 체류기간이 70일이 지나면 정착 신청을 낼 수 있다. 공안당국 관계자의 해석에 따르면 신청인이 중국내에서 출생했고 귀국후 원 호적 소재지역에서 1년을 단위로 연속 70일 이상 체류했을 경우 호적을 취소당한 화교는 정착 신청을 낼 수 있다.이밖에 “귀국화교정착신청준칙” 규정에 따라 신청인은 유효한 중국여권 또는 여권을 대체할 수 있는 유효한 증건, 정착 예정 지역의 파출소 주숙등기신청증명 자료와 정착 예정 지역의 부동산 소유권 증명서 복사본,화교의 해외 정착 증명자료 또는 합법적으로 5년이상 체류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등 12개 항목의 증명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교의 부동산 구입은 어떻게? “귀국화교정착신청준칙” 규정에 따르면 신청인은 반드시 부동산이 있어야 한다.이 때문에 십여년전 가족 모두가 출국해 해외에 정착했던 화교들이 귀국후 부동산이 없어 정착 신청을 내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여권도 신분증처럼 신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화교들은 여권으로 부동산을 구입할 수 있다고 한다. 호적을 취소당한후 은행계좌,보험 등은 어떻게? 외국 국적에 가입해 호적이 취소되면 은행계좌,보험 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첫째로 믿을 수 있는 대리인을 물색해 권한 부여 범위와 책임 및 이익을 미리 협의한후 권한 부여 증명서를 작성하고 필요시 서면으로 된 공증 절차를 밟아야 한다.둘째로 이민국의 국적 가입을 준비하지 않고 있어 여전히 중국 여권을 소지하고 있을 경우 호적을 취소당해도 여권으로 신분증을 대체하면 된다.그러나 이민국의 국적에 가입했을 경우 중국 법률에 따라 소지하고 있던 중국 여권은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 특히 이민국 국적 가입시 성씨 또는 이름을 바꿀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해 "저 사람이 바로 이 사람이다"는 증거 자료를 확보하는데 유의해야 할 것이다. 증거 자료 확보 방법은 매우 많다. 예를 든다면 증인의 증언,공증,대사관 혹은 영사관의 증명, 소지하고 있던 중국신분증 또는 여권,관련 사진 문서 등등이다. 세월이 많이 흘러 신원 확인에 어려움이 있을 때 이같은 증거물은 더더욱 필요한 것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3-10
  • [유래상식]3.8부녀절의 유래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3월 8일은 부녀절(三八妇女节)이다. 중국의 ‘3.8 부녀절’의 유래는 ‘세계 여성의 날’에서 시작된다. 매해 3월 8일에 기념을 해서 3.8 부녀절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이날의 원래 공식적인 명칭은 "연합국부녀권익과 국제평화일(联合国妇女权益和国际和平日)"이란 긴 이름을 갖고 있다. 중국에서는 1922년부터 ‘3.8 여성의 날’을 기념하기 시작했고 1924년 중국여성들의 첫 기념행사가 광저우에서 열렸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후 3월 8일을 ‘부녀절’로 결정했다. 서양에서는 3월 8일을 계기로 여성인권 신장을 위해 시위를 벌이도 하지만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중국에서는 진정 여성을 위한 기념일이다. 이 날 중국의 직장에서는 여성들에게 휴가를 주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종일 휴가를 주는 곳도 있지만 대개는 반나절 일하고 퇴근하게 된다. 축하행사에 선물까지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비슷한 또래끼리 모여 음식을 만들고 마작을 즐기면서 하루를 보내고, 도시에서 회사를 다니는 여성들은 간단한 기념품에 회식을 하기도 한다. 잘나가는 회사의 여성들은 1000위엔 가량의 기념품을 받기도 해 어떤 명절보다 기대에 차있기도 한다. 또한 이날에는 ‘3.8 부녀절’을 겨냥해 할인관광, 여성의 날을 맞아 주택가격 우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미용이벤트 등 ‘여성’을 타깃으로 한 많은 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기도 한다. 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행사나 축하행사가 회사 차원에서 열리기도 한다. 회사에서 여성들에만 오전에 근무하고 오후에는 휴식하도록 배려하는가 하면 기념품을 주기도 하며 축하파티도 열어주는 축하형식도 천차만별 다양하다. 학교에서도 여성교원들에게 휴가를 주는 등 ‘여성의 날’답게 여성들에게 각종 ‘특혜’가 주어지기도 한다. 3.8부녀절 축하 메시지 世界因有了女人,显得分外美丽!祝三八节永远年轻漂亮! shì jiè yīn yǒu nǚ rén,xiǎn dé fēn wài měi lì ! Zhù sān bā jié yǒng yuǎn nián qīng piāo liàng !!세상은 여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아름답습니다! 3.8절을 축하드리며 영원히 젊고 아름답기를! 三八节,是你的日子。我赚的钱都归你,家里的活都归我。(남편이 아내에게)sān bā jié, shì nǐ de rì zǐ. Wǒzhuàn de qián dōu guī nǐ, jiā lǐ de huó duō guiī wǒ? 3.8절은 당신의 날입니다. 내가 번 돈은 모두 당신의 것, 집안 일은 내 몫. 我决定做一天你的公仆,全心全意为你服务,这将是我无上的光荣!(남편이 아내에게)wǒ jué dìng zuò yī tiān nǐ de gōng pū, quán xīn quán yì wèi nǐfúwù, zhè jiāng shì wǒ wú shàng de guāng róng!나는 하룻동안 당신의 하인으로 성심성의껏 당신을 위해 봉사하려 합니다. 이것은 곧 나의 영광입니다. ※. 三八부녀절의 유래 국제부녀절은 세계 각국 부녀들이 평화, 평등, 발전을 쟁취하는 명절으로써 매년 3월8일 개최된다. 1857년 3월8일 미국 뉴욕에서 복장 및 방직분야의 여직원들이 비인도적인 작업환경과 12시간의 업무제도와 월급에 대하여 항의를 하였다. 1908년 3월8일 1500여명으로 조직된 부녀들이 뉴욕시에서 시위행진하여 업무시간을 단축시키고 봉급을 향상하고고 선거권을 가질수 있게 하며 미성년 고용을 금지 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들의 구호는 “빵과장미”인데 빵은 경제를 보장하고 장미는 보다 좋은 생활의 질은 상징한다. 1910년 독일 사회학자ClaraZetkin이 미국 복장분야의 공인들 파업일을 기념으로 “국제부녀절”이라는 명절을 제출하였다. 이 제출은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부녀사회학자회의에서 통과하였으나 구체적 시간은 정하지 않았다. 1977년 12월 연합국에서 3월8일을 국제부녀절로 결정지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3-08
  • 선생님, 어머니 명절 축하해요!
    3.8절을 앞두고 선생님께 꽃을 달아드리는 학생들 친구들의 축하공연을 즐겁게 지켜보시는 선생님들 <선생님, 그동안 참 고마웠습니다> 담임선생님께 마음이 담긴 편지를 전해드리는 학생 어머니, 선생님께 드릴 선물을 열심히 만들고있는 학생들 하고싶은 말들을 예쁜 종이에 또박또박 적어넣는 학생들 <평소에 아껴모은 용돈을 이번에 엄마께 드릴거예요.> 3.8절선물 준비 끝! 오늘 연길시 공원소학교 5학년 3학급에서는 <3.8절>맞이 특별활동을 조직했습니다.학생들은 자신만의 개성이 넘친 선물로 선생님들께 미리 명절의 기쁨을 드렸습니다. 점심시간을 리용해 <3.8절> 축하메시지로 벽보란까지 멋지게 장식해 교실은 명절의 분위기로 들끓었습니다.친구들은 또 현장에서 어머니나 할머니를 위한 선물을 만들고 이쁘게 포장까지 했습니다. 그들은 너도나도 자신이 준비한 특별한 선물들을 미리 공개하고나서 3월 8일에 명절을 맞는 분들께 뜻밖의 기쁨을 안겨드릴것을 약속했습니다.활동을 마친후 김춘희 담임선생님은 몰라보게 성장한 학생들의 모습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면서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사진/글: 연변인터넷방송 최미화 기자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13-03-07
  • 고통의 불법체류 7년… 남은 것은 병든 몸뿐!
    [한국인권신문=한국외국인인권보호법률위원회] 지난 25일 오후 10시경, 평소 알고 지내던 중국동포분 여성으로부터 다급한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아는 동생의 남편이 불법체류로 출입국직원들에게 체포돼 목동출입국관리소로 잡혀갔다는 것이다. 갑자기 벌어진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알려 달라며 도움을 요청했다. 늦은 시간이라 다음 날 아침에 만나기로 약속하고 일단 통화를 마쳤다. 그런데 다음날 이른 아침에 전화가 다시 걸려왔다. 체포된 남편이 오후 1시쯤 목동관리소에서 화성 외국인보호소로 이송된다는 내용이었다.그날 저녁 부인을 만나 자세한 내용을 들어보기로 했다. 안내받은 주소로 찾아가보니 대한극장 뒤편에 작은 쪽방이었다. 서울에서 40년 넘게 살아온 나는 대한극장에서 여러 편의 영화도 보고, 주변 식당에서 수차례 식사도 했지만, 뒤편 골목에 쪽방촌이 있을 것이라고는 상상을 못했다. 부인 역시 중국조선족동포였다. 부인은 한눈에 봐도 몸이 불편해 보였다. 나이는 50대 중반 정도. 어제 벌어진 상황이 얼마나 당황스러웠을지 얼굴빛에서 그대로 읽을 수 있었다. 초조하고 불안해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그녀는 이야기 내내 눈시울을 붉혔다.2003년 입국한 남편, 이(57세) 씨는 돈벌이가 되는 일이라면 가리지 않고 했다. 그녀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착한 남편이자 두 아들에게는 자상한 아버지였다고 부인은 말했다. 부인은 짧은 시간이었지만 눈가에 눈물 섞인 미소를 지어 보였다. 성실했던 이들 부부에게 시련의 그림자가 찾아온 것은 2006년, 그해 남편, 이 씨는 십이지장 염증 때문에 대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그의 체력은 급격히 떨어져 집에서 쉬는 날이 많았다. 결국, 다니던 직장도 잃고 일용직, 파트타임으로 전전해야 했다.설상가상으로 부인마저 무릎에 류마티스 관절염이 찾아와 서 있기조차 힘들었다. 밤이면 통증이 심해져 차라리 다리를 절단하고 싶었다. 몸이 날로 쇠약해져 일주일에 한두 번 정도 식당 파트일을 해야 했다.부부에게는 21살, 29살 된 두 아들이 있다. 특히 의과생인 첫째 아들은 박사과정 중으로 1년만 있으면 수료를 끝마치고 당당히 의사가 된다. 둘째 아들은 대학생이다. 현재 중국에서 80을 넘긴 노모가 두 손자들을 돌보고 있다.이 씨 부부는 한 달 수입의 80%를 중국으로 보내야 했다. 노모와 두 아들의 생활비와 학비 때문이었다. 20만 원의 쪽방 월세와 최소 생활비를 제하고 나면 병원비는 엄두도 내지 못했다. 염증이 심해져 배를 움켜쥐고, 류마티스 통증에 잠 못 들어도 참고 이겨내야만 했다. 부부에게는 두 아들이 강한 진통제였다.이후 일하는 날은 더 줄어들었고 매달 중국에 보내야 할 돈을 마련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생활비를 더 줄여야 했다. 부족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아픈 내색 없이 늦은 새벽까지 일을 해야 했다. 병세는 더 악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 씨 부부에게는 또 다른 고통이 늘 따라다녔다. 남편의 불법체류였다. 숨 쉬는 것조차 조심해야 했다. 심지어 집안에서도 소리 죽여 생활했다. 하루에도 몇 번을 먼저 죄송하다고 고개 숙여야 했다. 그렇게 보낸 세월이 7년.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일을 하다 보니 체류연장 신청기간을 넘긴 것이 악몽의 시작이 되어 버린 것이다.이 씨의 경우 구제할 방법이 없었다. 불법체류 기간이 7년이나 되고 비록 몸이 불편해 병간호가 필요한 상태지만, 중국에 성인 자녀들이 있어 그대로 강제출국을 받아들여만 했다. 그나마 최선의 방법은 병간호를 이유로 법원에 공탁금을 걸고 2∼3개월 정도 체류기간을 임시 연장하는 것이었다. 만약 이 씨가 불법체류 기간이 짧고 중국에 있는 자녀들이 미성년자였다면, 병간호를 이유로 법원에 선처를 호소하는 소송을 제기하는 방법을 권해 볼 만 했다. 인도적 차원에서 중국에 돌볼 사람이 없으니 부인이 있는 한국에 남아 부인에게 병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호소하는 것이다. 물론, 이 방법도 성공확률은 보장할 수 없다.1시간가량의 상담을 마치고 부인의 결정을 기다렸다. 잠시 후 그녀는 굳은 결심을 했다는 듯이 편안한 얼굴로 그냥 출국하겠다고 말했다. 이제는 지긋지긋한 불법체류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는 것이 그녀의 말이었다. 아마도 보호소에 있는 남편도 자신과 같은 생각일 것이라고 했다. 나는 그녀에게 현명한 판단이라고 격려했다. 비록 강제출국 후 재입국까지는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고 그동안 경제적으로 힘들겠지만, 불법으로 숨죽여 살아가는 것보다 그것이 덜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그녀에게 말했다. 쪽방골목을 벗어나 뒤돌아 보니 멀리 고개숙여 인사하는 그녀의 모습이 보였다. 마음이 찹찹했다. “60을 바라보는 부부에게 삶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녀의 얼굴에서 언제 다시 미소를 볼 수 있을지. 만신창이가 되어 버린 몸으로 병원치료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한 부부. 온통 자식을 위한 삶으로 채워진 부부의 삶이다. 나의 어머니와 아버지, 우리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삶도 그러했었다. 큰길에 접어드니 오색의 불빛과 화려한 옷차림의 사람들이 오가고 있었다. 바쁜 걸음을 재촉하는 사람, 팔짱을 낀 연인들, 한껏 멋을 낸 여성들, 엄마와 아빠 손을 잡고 걷는 꼬마 녀석. 그들은 뒤편 골목의 쪽방에서 눈물 짓는 그녀의 모습을 알리가 없었다. 나 역시 그녀를 만나기 전에는 그것을 알지 못했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13-03-0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