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9(일)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유엔 총회, 6월 10일을 국제 문명 간 대화의 날로 제정
    [동포투데이] 제78차 유엔 총회에서는 중국이 제안한 '문명 간 대화의 날' 제정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은 모든 문명의 성과가 인류 사회의 공동 자산임을 분명히 하고, 문명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옹호하며, 세계 평화 수호, 공동 발전 촉진, 인류 복지 증진 및 공동 발전 실현에 있어 문명 간 동등한 대화와 상호 존중을 강조하며 6월 10일을 국제 문명 대화의 날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푸총 유엔 주재 중국 대표는 총회 전체회의에서 결의안 초안을 소개하면서 현재의 다중 위기 도전이 중첩되고 세계가 새로운 격동의 전환기에 접어들면서 인류사회가 다시 역사의 기로에 섰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배경에서 중국 측은 차별적 편견 해소, 이해 신뢰 증진, 민심 통합의 촉진, 연대 협력 강화에 문명대화의 중요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인류 사회가 연대하여 공동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기 위해 총회에 국제 문명대화의 날 제정을 제안하였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8
  • 후티 반군, 국제구호요원 18명 납치
    [동포투데이] 예멘 후티 반군이 조직적인 작전을 통해 유엔 직원을 포함해 구호요원 10명 이상을 구금했다고 외교소식통과 예멘 비정부기구가 금요일(6월 7일)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예멘 인권단체 마윤(Mayyun)은 유엔 직원 10명을 포함해 후티반군이 통제하는 4개 지역에서 최소 18명의 구호요원이 납치됐다고 전했다. 익명의 외교 소식통도 AFP에 유엔 직원을 포함해 구호 활동가 10명 이상이 납치됐다고 밝혔다. 예멘의 오랜 내전은 세계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 중 하나를 촉발시켰으며 이번 납치 사건은 그곳에서 구호 활동가들이 직면한 위험을 더욱 부각시켰다. 마윤은 "후티 반군이 자신들이 통제하는 4개 성에 있는 유엔과 기타 국제기구의 관저를 공격하고 이들 기관의 직원을 납치했다"고 주장했다. 마윤은 이번 납치가 유엔 직원들의 특권과 면책특권을 침해한 것이라며 이번 납치를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위한 갈취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 단체는 납치가 수도 사나, 호데이다의 주요 항구인 암란, 후티 반군의 전통적 거점인 사다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휴먼라이츠워치의 예멘 연구원 자파니아는 "후티 반군은 자신들이 장악한 영토에서 예멘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기보다는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인도주의 구호 활동가들을 잔인하게 학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2014년 예멘 내전이 발발한 이래 후티 반군은 유엔과 비정부기구 직원을 포함한 수백 명의 민간인을 납치하고 임의로 구금하고 고문했다. 지난해 자선단체 '세이브더칠드런'의 예멘 북부 직원 1명이 구속 중 숨지면서 열흘간 기관 운영이 중단됐다. 또한 같은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직원이 남부 도시 타이즈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무장괴한의 총에 맞아 숨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7
  • 덴마크 등 5개국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출
    [동포투데이] 유엔총회는 6일 덴마크, 그리스, 파키스탄, 파나마, 소말리아를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했다. 유엔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들 5개국은 에콰도르, 일본, 몰타, 모잠비크, 스위스의 뒤를 이어 오는 2025년 1월 1일부터 2년간 임기를 수행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총 15개 회원국으로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이 상임이사국이며 나머지 10개 회원국은 비상임이사국이다. 10개의 비상임 의석은 지역별로 할당된다. 아프리카 지역 3석. 아시아태평양 지역,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서유럽과 기타 지역 각각 2곳, 동유럽 지역 1곳이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은 유엔총회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고, 후보국은 총회 총투표수의 최소 3분의 2를 얻어야 선출하도록 규정돼 있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의 임기는 2년으로 매년 선거를 통해 5석씩 5개 지역구에서 교체되며 연임이 불가능하다. 안보리 15개 이사국이 돌아가며 1개월간 의장직을 맡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7
  • 도요타·마즈다, '인증 부정' 5개 모델 생산 중단... 3000여 협력업체 영향
    [동포투데이] 일본 도요타와 마쓰다 자동차는 6월 6일부터 인증 부정 5개 모델의 생산을 중단하기 시작했으며, 부품 공급업체도 감산에 돌입했다. 두 자동차 회사의 3,000개 이상의 협력업체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 영향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자동차는 이날부터 오는 28일까지 미야기 오히라 공장과 이와테 공장에서 '코롤라 필드', '코롤라 아이신', '야리스 크로스' 등 3개 차종의 생산을 중단했다. 마쓰다는 히로시마와 호후 공장에서 로드스터 RF와 마쓰다 2의 국내 생산을 중단했으며, 5월 30일부터 출하를 중단했다. 도요타에는 약 200개의 직접 공급업체와 1,000개 이상의 2차 공급업체가 있으며, 마쓰다에는 약 2,000개의 공급업체가 있다. 도요타는 2개 생산 라인에서 연간 약 13만 대, 마쓰다는 2개 모델에서 월 약 1700대 규모의 국내 생산을 중단했다. 두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 중단으로 인한 영향은 광범위하다. 도요타의 주요 차체 부품 공급업체인 후타바산업 주식회사도 6일부터 28일까지 이와테현 히라이즈미초에 있는 공장의 생산 라인 일부를 폐쇄하고, 직원들을 설비 점검 및 정비 또는 다른 생산 라인에 배치할 예정이다. 도요타의 협력업체에 대한 보상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일본 언론은 이번 일본 자동차업체 인증 부정 사건이 국토교통성이 인증을 받은 자동차·오토바이 제조사 등 85개 업체에 대해 자체 조사를 벌이도록 명령하면서 불거졌다고 전했다. 도요타에 대한 조사는 6월 말까지 마무리한다는 목표 아래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가 일본 경제에 미칠 악영향은 예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최근 도요타, 마쓰다, 야마하 발동기, 혼다, 스즈키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양산 인증 신청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부정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일본 기업의 한 축인 도요타를 비롯한 자동차 업체들의 부정행위가 드러나면서 국내외에서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일본 자동차 산업, 나아가 일본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7
  • 하마스 “최신 휴전안, 바이든 발언과 불일치”
    [동포투데이] CNN방송에 따르면 6일(현지 시간) 하마스(팔레스타인 이슬람저항운동)는 가자 충돌 종식을 위한 휴전안을 받았는데 휴전안 내용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개 연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영구 휴전을 위해 억류자들의 석방을 위한 3단계로 나뉜 휴전안을 제시했다고 언급했다. 이 방안은 카타르를 통해 하마스에 제출되었다. 하마스의 사미 아부 주흐리 고위 관계자는 6일(현지시간) 하마스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가자 휴전안 의사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의 제안은 이스라엘의 제안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만큼 이스라엘 측의 영구 철군과 전면 휴전에 대한 언급이 없기에 하마스 조직은 이번 휴전안을 거절한다고 말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영구 휴전을 약속하고 군대를 모두 철수시키는 조건에서만 이스라엘과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고 못박았다. 반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휴전안은 이스라엘의 입장과 차이가 있으며 “완전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스라엘 측은 억류자 전원 석방, 하마스의 군사력 소멸 등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가자지구에서 영구적인 휴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 번 강조해 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7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중·미 고위층 전략회담 담론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미국 앵커리지에서 있은 중·미 고위층 전략 회담이 있은 뒤 중국 중앙 외사사업 위원회 판공실 양제츠(杨洁篪) 주임과 국무위원 겸 외교부 왕이(王毅) 부장이 매체의 취재를 접수, 이번 중미 회담에 대해 담론하였다고 20일, 앵커리지에서 중국 CCTV가 보도했다. 양제츠 주임은 우선 “지난 2일간 나와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브링컨 국무장관 및 설리번 보좌관과 장시간에 거쳐 전략적 소통을 하였고 각각 대내외 정책과 쌍방 관계에 대하여 솔직하고도 건설적인 교류를 가졌으며 이번 회담은 쌍방의 상호 요해 증진에 모두 유리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쌍방은 일부 문제에서 여전히 중요한 분규가 존재했는바 중국은 국가 주권, 안전과 발전 이익을 견정하게 수호했으며 중국의 발전 장대는 절대 막을 수 없다"라고 밝혔다. 양 주임은 또 “이번에 쌍방의 소통은 얼마 전 있은 시진핑(习近平) 주석과 바이든 대통령이 전화 통화에서 달성한 공감대를 관철하기 위해서였다. 우리는 쌍방이 각 영역에서 소통, 교류와 대화를 강화하고 충돌과 대항을 하지 말고 상호 존중과 협력 공생의 원칙으로 중미관계를 처리해야 하며 중미관계로 하여금 건강하고 안정된 궤도에서 앞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피력했다. 왕이 부장은 “이번에 중국 측은 성의를 갖고 회담에 참가했다. 총적으로 대화는 대항보다 유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화는 어쨌든 상호 존중하고 일치점은 취하고 부동점은 잠시 보류하는 출발선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일부 장기적으로 존재해오던 문제는 대화를 통하여 얼마든지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중국 측은 주권과 영토 완정은 중대한 원칙 문제라고 미국 측에 명확히 제기하였으며 미국 측은 중국 측의 국가 주권과 안전발전 이익을 수호하려는 결심을 절대 낮게 평가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미관계에 대한 중국 측의 태도는 명확하고 일관적이다. 희망하건대 미국 측 역시 이에 동행했으면 한다. 특히 핵심이익과 중대 관심사에 대해 존중해야 한다고 인정한다. 이 기초상 중국 측의 중미 사이 대화의 대문은 시종 열려 있는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이어 “중미 관계에 대한 중국 측의 태도는 명확하고 일관적이다. 희망하건대 미국 측 역시 이에 동행했으면 한다. 특히 핵심이익과 중대 관심사에 대해 존중해야 한다고 인정한다. 이 기초상 중국 측의 중미 사이 대화의 대문은 시종 열려 있는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한편 지난 19일,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 자하로바는 사회관계 망 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양제츠 주임이 중미 고위층 전략회담에서 미국의 무례한 언행에 반격을 가했다면서 이를 높이 평가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1
  • 中 농촌여성 마린훙의 치부(致富) 스토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올해 26살인 마린훙(马林红)의 집은 간수성 린샤 회족자치주 둥향족 자치현 다수향 난양와촌(甘肃省临夏回族自治州东乡族自治县大树乡南阳洼村)에 있다. 난양와촌 탈빈 부축 공장에 출근하는 마린훙은 연속 수개월 간 최우수 노동자로 되었고 월급은 달마다 6000위안 상하로 오르내렸다. 또한 그녀는 일명 보통 노동자로부터 일약 직장의 주관 책임자로 되었다. 이는 마린훙 그녀 자신도 생각하지 못했던 성과였다. “예전에는 그냥 집에서 밭을 가꾸고 집안을 거두고, 밥 하고 아이를 돌보고 수입이 없었으며 뭘 좀 사려고 해도 두 손 벌리고 남편한테 돈을 달라고 해야 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달라졌어요. 주관 책임자로서 전 전용자루를 생산하는 외에도 일상의 출근과 제품수량 통계 등을 책임지고 있으며 돈을 벌어서는 저의 화장품을 사고 아이와 집안 식구들에게 많은 선물을 사주기도 해요…” 둥향족 자치현은 일찍 중국 극빈 지역의 하나였다. 2019년 8월, 농촌빈곤 여성들의 취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랴오닝 팡다그룹(辽宁方大集团)과 현지의 상업무역회사는 합자하여 다수향 난양와촌에 탈빈 부축 공장을 설립, 주요 업무는 전용자루를 생산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되자 촌간부들의 설복으로 마린훙이 시험 삼아 온 곳이 이 탈빈 부축 공장이었던 것이다. 마린훙이 일을 해보니 전용자루를 만드는 것은 생각했던 것처럼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얼마 안 되어 일에 미립이 트면서 매일 40-50개의 전용자루를 생산, 매 한 자루에 6위안씩 계산하니 하루 수백 위안씩 벌 수 있었다. 마린훙에 따르면 그녀는 매일 근무시간 외에도 직장에서 집이 멀지 않으니 가끔씩 집에 다녀오며 아이와 집사람들을 돌볼 수도 있다. 마린훙과 마찬가지로 탈빈 공장에서 근무하는 여성 중 월수입이 6000위안에 달하는 여성이 적지 않았다. 집계에 따르면 랴오닝다팡그룹이 둥샹족 자치현에 투입한 자금은 누적 5.5억 위안, 낙착된 탈빈산업 항목은 27개이다. 활성화되어 운영되고 있는 공장은 31개로 취업인원은 9700여 명이나 된다. 탈빈 공장에서 근무하는 농촌여성들은 훈련을 통하여 점차 일터의 숙련공으로 되었으며 성과급 중심의 급여 시스템에서 많은 농촌여성들이 자신의 가치를 찾아가고 있다. 마린훙은 현재 저축한 예금이 3만 위안, 이제 계속 돈을 벌어서는 올해 내로 자동차 운전면허증을 따낼 계획이며 그리고 차를 장만할 돈이 모아지면 자가용을 구입해서는 아이와 집식구들과 함께 여행을 갈 것이라고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0
  • 意 ‘코로나19 수난자 국가기념일’ 활동 거행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현지 시간으로 18일, 이탈리아의 첫 ‘코로나19 수난자 국가기념일’을 맞으면서 총리 드라기는 북부도시 베르가모에서 기념활동에 참가하여 수난자들에게 애도를 표하면서 백신공급을 확보하는 것으로 취약국민을 충분히 보호하겠다고 약속, 이는 당일 이탈리아 언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탈리아 국회는 지난 17일, 법안을 통과시켜 매년 3월 18일을 ‘코로나19 수난자 국가기념일’로 확정하였으며 기념일인 18일 전국에서 1분간 묵도했으며 모든 공공 건물에서는 반기를 내려 수난자들을 애도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3-20
  • 中·美 고위급 전략대화 3차례에 거쳐 앵커리지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미 고위급 전략대화가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개최되었다. 1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번 대화에서 쌍방은 각자의 대내외 정책, 미중관계 및 공동관심사로 되는 중대한 국제지역 문제를 둘러싸고 솔직하고도 깊이 있으며 그리고 장시간에 거쳐 건설적인 소통을 가졌다. 중국 측은 미국의 정치제도에 대해 중국은 간섭할 의도가 없고 미국의 지위와 영향력에 대해 도전하거나 대체할 의도가 없다고 표했으며 미국 측은 중국의 정치제도와 발전의 길에 대해 그리고 중국의 일련의 국정방침과 세계에 대한 중국의 영향에 대해 정확히 대할 것을 요구했다. 중국 측은 또 타이완(台湾) 문제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존이 걸린 문제이며 중국의 핵심 이익에 관련되어 있기에 그 어떠한 타협이나 양보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 미국 측에 중미 3개 공동보도문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타이완과의 모든 공식왕래와 군사연계 및 무기판매 등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미국 측이 국제법과 국제 관계의 기본 준칙을 기존하여 홍콩 특구 선거제도 개선에 관한 중국 전국인대의 결정을 존중하고 홍콩 사무와 중국 내정 간섭 중단 및 ‘홍콩독립’ 세력을 부추키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 측은 또 중국 관원 및 중국기구에 가해진 불법제재를 철회하고 더 이상 홍콩의 동란을 시도하는 것으로 중국이 추진하는 ‘일국양제(一国两制)’의 진전을 가로 막지 말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도에 따르면 중미 쌍방은 2일에 거쳐 3차례의 대화를 진행, 이는 미국의 새 정부 수립 이래의 첫 대면이었으며 중미 정상이 통화후의 첫 고위급 접촉이었다. 이번 대화에 중국 측에서는 중공중앙 외사사업위원회 판공실 주임 양제츠(杨洁篪),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왕이(王毅)가 참가했으며 미국 측에서는 미 국무장관 브린컨과 대통령 국가안보 보좌관 설리번이 참가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3-20
  • 中, 19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4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9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4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신규확진자 4명(광둥 2명, 장쑤 1명, 저장 1명) 모두 해외 입국자이다.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의심환자 1명 역시 해외 입국자로 상하이에서 발견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6명이고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465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9일 24시까지 확진자 162명(무중증), 누적 치유 퇴원자 8만5289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0087명 으로 집계됐다.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415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363명(퇴원 1만837명, 사망 203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8명(퇴원 47명), 타이완 지역은 1004명(퇴원 959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0
  • 中, 3억 이상 인구 수면장애에 시달려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오는 3월 21 일은 세계 수면일이다. 현재 중국에는 3억 이상의 인구가 각종 수면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의 한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운동을 즐기는 사람일수록 수면 장애가 있으며 그 비중은 10% 정도, 그리고 소득이 많은 사람일수록 수면 부족이 존재하고 있다. 18일, 중국 수면연구회가 베이징에서 발표한 ‘2021 운동 및 수면 백서’에 따르면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사람들 중 월 소득 3000위안 및 그 이하의 사람들의 수면시간은 평균 매일 8.19시간이었고 월 소득이 2만 5001위안으로부터 3만 위안에 이르는 사람들의 수면시간은 평균 매일 7.73시간이었다. 변호사, 기업의 고급 임원과 의사 등은 늘 야간근무로 늦게 잠자리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서는 또 중국 기업가의 수면시간은 매일 평균 6시간 49분 정도이며 73%에 달하는 중국 기업가들이 과도한 실면 상태에 있으며 대부분 중산계층 역시 수면건강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리고 56%에 달하는 인터넷 사용자들도 자기가 수면장애가 있다고 표시, 사업 압력이 수면에 영향을 주는 첫 번째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서 백서는 광둥성(广东省)에 운동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이 최고인 동시에 광둥인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7-8시간으로 전국에서 가장 길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9
  • 中, 3개 부처 18개 ‘신흥 직업’ 공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9일,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국가통계국은 앞으로 인기가 있을 18개 종류의 새 직업을 공개했다고 당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그 18개 종류의 새 직업들로는 집적회로 공정기술자(集成电路工程技术人员), 컴플라이언스 전문가(企业合规师), 기업금융 컨설턴트(公司金融顾问), 바터(易货师), 중고차 중개인(二手车经纪人), 자동차 구조원(汽车救援员), 조음사(调饮师), 식품안전 관리 엔지니어(食品安全管理师), 서비스 로봇응용기술자(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 전자데이터 포렌식 분석가(电子数据取证分析师), 직업 트레이너(职业培训师), 암호기술 응용사(密码技术应用员), 건축 커튼월 디자이너(建筑幕墙设计师), 탄소배출권 관리원(碳排放管理员), 관람 유지 보수 인력(管廊运维员), 주류 디자이너(酒体设计师), 스마트 하드웨어 코디네이터(智能硬件装调员), 산업용 비전 시스템 트레이너(工业视觉系统运维员) 등이다. 상기 18개종 새 직업 중 바텐더는 매우 주목을 받고 있는 직업이다. 단, 조음사란 바텐더(调酒师)가 아니라 바로 제작사인 것이다. 생활 모식이 개변 및 빨라진 생활 절주로 인해 최근 년 간 원래의 차, 우유 혹은 플레인 요구르트(酸奶) 등 음료는 소비자의 다양화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기에 최근 들어 차, 우유와 청과류 등을 배합해 개발한 입맛에 맞고 건강한 음료가 출시, 광범한 소비자 특히는 젊은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로 하여 조음사란 이 신흥 직업은 취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차‧우유‧청과류 등 산업 발전을 이끌고 있다. 최근 년래 중국 인사 부처는 많은 새로운 종류의 직업이 출범, 2020년 생방송 휴대품이 무척 인기를 끌어왔고 인사부 등 부서에서는 인터넷 마케팅 등을 통해 부단히 ‘생방송 마케터(联网营销师)’ 등 직종을 추가해 왔다. 이 중 ‘생방송 마케터’ 직업은 그 산하에 ‘생방송 판매원’ 직종을 증설하기도 했다. 이는 리포터들의 정식 직종이 되면서 이른바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다음 게임 시장이 부단히 확대됨에 따라 e스포츠 선수(电子竞技员) 역시 새로운 직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최근 e스포츠 선수에 관한 국가 직업기능 표준이 정식으로 출범되기도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9
  • 재중동포 작가 김혁의 중문 미니시 ‘2020 중국미니시 랭킹’에 입선
    [동포투데이] 재중동포 작가 김혁이 중문으로 쓴 미니시 6수가 ‘2020. 중국 미니시 랭킹(2020.中国微型诗排行榜)’에 입선되었다. 전국 각지의 150명의 시인들이 순위에 오른 가운데 김혁 작가의 ‘담담한 나날(恬淡生活)’, ‘수묵화 그리기(水墨画)’, ‘첼로를 켜다(大提琴)’ 등 6수의 중문시가 입선되었다. 미니시는 간결한 언어와 함축된 사유를 요하는 4행 이내의 시쟝르를 가리켜 말한다. 5.4운동 이후 호적의 백화시 창작의 주장과 빙심이 ‘봄물’이라는 짧은 시를 발표하면서 미니시는 새로운 장르로 등장했고 일본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주작인이 일본 하이쿠 시의 영향으로 정형화하면서 중국 문단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한동안 침체 되였던 미니시는 빠른 절주의 시대에 걸맞게 새로운 쟝르로 급부상하고 있다. 소설가라는 타이틀로 활동하고 있지만 김혁 작가는 픽션과 논픽션 여러 장르를 다루고 있으며 일찍 시 350여수를 발표하면서 시 작품으로 ‘장백산’문학상, ‘아리랑’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몇 해 전부터 중문 창작을 시작, 중문 시작품이 중국 문단의 여러 시간행물 플랫폼에 실렸고, 그중 중문시 ‘냉면’은 중문판 ‘자치주 성립 65주년 기념문집’에 선정되기도 했다. 김혁 작가는 “글로벌 시대 문단의 협소한 지리적 형국과 사유에서 벗어난 다종 언어 창작은 필수, 늦깎이 지만 우리말 창작과 병행해 중문 창작에 노력을 기울여 보련다”라고 하면서 중문 시집과 번역시집을 출간할 의향을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9
  • 中, 18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1명...해외 입국자 10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8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11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중 10명(상하이 5명, 광둥 3명, 톈진 1명, 후난 1명)은 해외 입국자 이고 1명은 본토에서 나왔다.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의심환자 1명은 해외 입국자로 상하이에서 발견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16명이고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696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8일 24시 현재 확진자 164명(무중증), 누적 치유 퇴원자 8만5283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0083명 으로 집계됐다.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396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350명(퇴원 1만824명, 사망 203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8명(퇴원 47명), 타이완 지역은 998명(퇴원 958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9
  • 미국-멕시코 국경, 20년 만에 최대 불법이민 러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6일, 미국 국토 안보부 장관 알레한드로 마요 카스는 성명을 발표하여 미국 - 멕시코 국경에 불법 이민자가 20년래 최고 규모에 달한다며 대다수 성인 불법 이민자는 추방하지만 보호자가 없는 불법이민 아동은 추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마요 카스에 따르면 미국정부는 현재 불법이민 아동 수용 시설을 건설, 멕시코와 합작하여 미국에서 추방된 불법 이민자 가족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망명 신청자에 대한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마요 카스는 바이든 정부의 목표는 ‘안전적이고도 합법적이며 질서적인 이민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경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법에 의해 불법이민 아동의 애로를 해결하여 그들로 하여금 가족과 만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미국은 미국 - 멕시코 국경에서 10만 여명에 달하는 불법이민을 추방, 2019년 이래의 월당 최고 기록을 작성했다. 현재 미국 - 멕시코 국경에서 억류되어 있는 불법이민 아동은 4200명을 초과하고 있으며 이 중 3000명은 이미 72시간이란 법정기한을 초과, 이 두 가지 모두 역사의 새로운 기록을 작성하였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 멕시코 국경의 불법이민은 주로 멕시코 및 중남미의 엘살바도르, 과테말라와 온두라스 등 국가에서 온 이민들이다. 미국 - 멕시코 국경에서 재차 몰려들고 있는 이민 물결에 직면하여 미국 공화당은 바이든 정부의 완화된 이민정책이 미국 - 멕시코 국경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고 질책했고 바이든 정부는 불법 이민 원천국의 '빈곤·폭력·부패'와 코로나19 및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3-1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