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7(금)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후티 반군, 국제구호요원 18명 납치
    [동포투데이] 예멘 후티 반군이 조직적인 작전을 통해 유엔 직원을 포함해 구호요원 10명 이상을 구금했다고 외교소식통과 예멘 비정부기구가 금요일(6월 7일) 밝혔다. AFP통신에 따르면 예멘 인권단체 마윤(Mayyun)은 유엔 직원 10명을 포함해 후티반군이 통제하는 4개 지역에서 최소 18명의 구호요원이 납치됐다고 전했다. 익명의 외교 소식통도 AFP에 유엔 직원을 포함해 구호 활동가 10명 이상이 납치됐다고 밝혔다. 예멘의 오랜 내전은 세계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 중 하나를 촉발시켰으며 이번 납치 사건은 그곳에서 구호 활동가들이 직면한 위험을 더욱 부각시켰다. 마윤은 "후티 반군이 자신들이 통제하는 4개 성에 있는 유엔과 기타 국제기구의 관저를 공격하고 이들 기관의 직원을 납치했다"고 주장했다. 마윤은 이번 납치가 유엔 직원들의 특권과 면책특권을 침해한 것이라며 이번 납치를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위한 갈취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 단체는 납치가 수도 사나, 호데이다의 주요 항구인 암란, 후티 반군의 전통적 거점인 사다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휴먼라이츠워치의 예멘 연구원 자파니아는 "후티 반군은 자신들이 장악한 영토에서 예멘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기보다는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인도주의 구호 활동가들을 잔인하게 학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2014년 예멘 내전이 발발한 이래 후티 반군은 유엔과 비정부기구 직원을 포함한 수백 명의 민간인을 납치하고 임의로 구금하고 고문했다. 지난해 자선단체 '세이브더칠드런'의 예멘 북부 직원 1명이 구속 중 숨지면서 열흘간 기관 운영이 중단됐다. 또한 같은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직원이 남부 도시 타이즈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무장괴한의 총에 맞아 숨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7
  • 덴마크 등 5개국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출
    [동포투데이] 유엔총회는 6일 덴마크, 그리스, 파키스탄, 파나마, 소말리아를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했다. 유엔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들 5개국은 에콰도르, 일본, 몰타, 모잠비크, 스위스의 뒤를 이어 오는 2025년 1월 1일부터 2년간 임기를 수행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총 15개 회원국으로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이 상임이사국이며 나머지 10개 회원국은 비상임이사국이다. 10개의 비상임 의석은 지역별로 할당된다. 아프리카 지역 3석. 아시아태평양 지역,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서유럽과 기타 지역 각각 2곳, 동유럽 지역 1곳이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은 유엔총회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고, 후보국은 총회 총투표수의 최소 3분의 2를 얻어야 선출하도록 규정돼 있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의 임기는 2년으로 매년 선거를 통해 5석씩 5개 지역구에서 교체되며 연임이 불가능하다. 안보리 15개 이사국이 돌아가며 1개월간 의장직을 맡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7
  • 도요타·마즈다, '인증 부정' 5개 모델 생산 중단... 3000여 협력업체 영향
    [동포투데이] 일본 도요타와 마쓰다 자동차는 6월 6일부터 인증 부정 5개 모델의 생산을 중단하기 시작했으며, 부품 공급업체도 감산에 돌입했다. 두 자동차 회사의 3,000개 이상의 협력업체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 영향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자동차는 이날부터 오는 28일까지 미야기 오히라 공장과 이와테 공장에서 '코롤라 필드', '코롤라 아이신', '야리스 크로스' 등 3개 차종의 생산을 중단했다. 마쓰다는 히로시마와 호후 공장에서 로드스터 RF와 마쓰다 2의 국내 생산을 중단했으며, 5월 30일부터 출하를 중단했다. 도요타에는 약 200개의 직접 공급업체와 1,000개 이상의 2차 공급업체가 있으며, 마쓰다에는 약 2,000개의 공급업체가 있다. 도요타는 2개 생산 라인에서 연간 약 13만 대, 마쓰다는 2개 모델에서 월 약 1700대 규모의 국내 생산을 중단했다. 두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 중단으로 인한 영향은 광범위하다. 도요타의 주요 차체 부품 공급업체인 후타바산업 주식회사도 6일부터 28일까지 이와테현 히라이즈미초에 있는 공장의 생산 라인 일부를 폐쇄하고, 직원들을 설비 점검 및 정비 또는 다른 생산 라인에 배치할 예정이다. 도요타의 협력업체에 대한 보상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일본 언론은 이번 일본 자동차업체 인증 부정 사건이 국토교통성이 인증을 받은 자동차·오토바이 제조사 등 85개 업체에 대해 자체 조사를 벌이도록 명령하면서 불거졌다고 전했다. 도요타에 대한 조사는 6월 말까지 마무리한다는 목표 아래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가 일본 경제에 미칠 악영향은 예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최근 도요타, 마쓰다, 야마하 발동기, 혼다, 스즈키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양산 인증 신청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부정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일본 기업의 한 축인 도요타를 비롯한 자동차 업체들의 부정행위가 드러나면서 국내외에서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일본 자동차 산업, 나아가 일본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7
  • 하마스 “최신 휴전안, 바이든 발언과 불일치”
    [동포투데이] CNN방송에 따르면 6일(현지 시간) 하마스(팔레스타인 이슬람저항운동)는 가자 충돌 종식을 위한 휴전안을 받았는데 휴전안 내용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개 연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영구 휴전을 위해 억류자들의 석방을 위한 3단계로 나뉜 휴전안을 제시했다고 언급했다. 이 방안은 카타르를 통해 하마스에 제출되었다. 하마스의 사미 아부 주흐리 고위 관계자는 6일(현지시간) 하마스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가자 휴전안 의사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의 제안은 이스라엘의 제안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만큼 이스라엘 측의 영구 철군과 전면 휴전에 대한 언급이 없기에 하마스 조직은 이번 휴전안을 거절한다고 말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영구 휴전을 약속하고 군대를 모두 철수시키는 조건에서만 이스라엘과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고 못박았다. 반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휴전안은 이스라엘의 입장과 차이가 있으며 “완전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스라엘 측은 억류자 전원 석방, 하마스의 군사력 소멸 등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가자지구에서 영구적인 휴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 번 강조해 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7
  • 케빈 러드 "대만해협 전쟁, '천지개벽' 일으킬 것" 경고
    [동포투데이] 케빈 러드 주미 호주대사가 대만해협에서 전쟁이 발발하면 전 세계에 '천지개벽(天地開改变)'을 일으킬 것이며, 그 파장은 제2차 세계대전만큼이나 클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전문가 케빈 러드(Kevin Rudd)가 목요일(6일) 호놀룰루 연설에서 이달 71번째 생일을 맞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과 대만의 '최종 통일'을 원한다면 앞으로 10년, 80세가 되기 전에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언급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6월 15일은 시진핑의 생일이다. 두 차례 호주 총리를 지낸 케빈 러드는 "최근 군사 훈련 패턴을 포함해 점점 더 분명해지는 중국의 군사적 신호를 무시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중국이 행동할지 여부는 미국의 억지력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중국 본토는 대만이 중국 영토의 양도할 수 없는 부분이며 무력 통일을 포기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대만의 민진당(DPP)은 대만 해협의 양안은 서로 관련이 없으며 대만 국민만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7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미국 ‘총기 난치병’은 현대 문명의 오점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최근 미국 정부가 총기 제어 규정을 신설하자 뉴욕시의 한 지하철역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해 20여 명이 부상당했다. 미국에서 총기 난동은 그 어떤 위험보다도 더 심각하고 총기 난입이 미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으며 총기 난제는 ‘무해(无解)’의 난제로 남아 있다. 고질인 불치의 총격은 ‘인권’이라는 미국의 허위와 미국이 표방하는 민주정치의 무력함을 단적으로 보여줘 현대문명의 ‘오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갈수록 거세지는 미국의 총기 폭력은 이른바 민주와 인권을 넘어선 미국 이익집단의 ‘신통력’을 부각시키고 있다. 미국의 총기 제어가 ‘제자리 맴돌기’ 난제로 된 근본 원인은 총기 문제 배후에 있는 이익집단의 세력이 크기 때문이다. 총기 보유를 주창하는 수많은 단체 중 ‘꼭두각시’인 NAF는 500만 명이 넘는 회원과 탄탄한 자금력을 갖춘 미 최고의 유세그룹으로 미국 선거정치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총기운영 그룹의 방해로 미국은 20년 넘게 중요 총기규제법을 통과시키지 못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가 지난 11일 내놓은 총기규제 새 규정은 번호가 없고 추적이 어려운 ‘유령총’을 단속해 총기폭력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포석이다. 그러나 곧바로 공화당 일각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고 일부 총기 통제를 반대하는 기구는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전국소총협회는 바이든 대통령이 ‘또 하나의 공허한 계획’을 하고 있다고 비꼬았다. 갈수록 거세지는 미국의 총기 폭력은 미국식 민주정치의 허위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미국식 민주’는 국민의 생명을 보호할 수 없다. 미국에서 총기난사라는 말이 광범위한 민의를 대변하지만 아무리 강한 민의도 소수 이익그룹 앞에서는 여전히 대수롭지 않게 여겨질 때가 많다. 총기 사건 때마다 미국 사회에서도 논란이 일었지만 인차 평온으로 돌아가곤 했다. 일부 정치인도 총기 통제를 강화하려 했지만 태사복중이거나 백지화되는 것이 현실이다. 또 득표 앞에서 미 정치인들은 이익집단의 미움을 사지 않으려고 멀쩡하던 생명이 숨지는 것을 외면한다. 미국의 공화·민주 양당은 ‘민주’라는 명목으로 서로 공격하면서 총기 문제 등에서도 서로 발목을 잡고 있으며 결국 국민의 생명을 ‘매장’을 시키곤 한다. 갈수록 거세지는 미국의 총기 폭력은 미국 정치통치의 부재를 부각시켜 미국 사회의 포악함을 증폭시키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코로나19와 인종 갈등에 따른 사회 불안 등 영향으로 2020년 이후 미국의 총기 폭력 문제가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총기폭력파일’ 웹사이트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총기폭력으로 인해 올해 미국에서는 최소 1만1896명이 숨지고 9486명이 부상당했다. 그리고 2021년은 미국에서 20여 년 만에 총기폭력이 가장 심한 해로 현재 추세라면 2022년에는 재차 그 기록을 경신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갈수록 거세지는 미국의 총기 폭력은 미국 총기문화와 현대문명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1791년에 통과된 미국 헌법 제2조 개정안은 시민에게 총기 소지 권을 부여하고 있으며 총기 소지 자유는 미국 개인의 가장 중요한 권리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200여 년이 지나면서 사회 생태계는 물론 무기 살상력도 급변했다. 미국 내 국민의 대립이 커지고 사회적 균열이 심화되면서 총기가 평안을 지키기는커녕 점점 더 많은 참극을 빚는 시대에 뒤떨어지고 위험한 총기문화를 되새겨지고 있다. 미국에서 총기로 인한 불치병은 현대 문명의 큰 오점이다. 무고한 목숨이 대량으로 사라지는 것조차 제어하지 못한다면 이른바 미국 민주주의의 ‘성색’이 과연 어느 정도인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분명한 것은 이익구도나 정치통치에서 근본적인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미국 국민들은 총기폭력의 공포 속에서 계속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2-04-17
  • 상하이 택배기사들 코로나19에 걸렸나요?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상하이 정부는 17일 현재 시 관내 택배기사 중 상당수가 코로나19 양성이라는 소문을 반박했다. 16일 인터넷에는 20여 명의 택배기사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소문이 돌았다. 은신(殷昕) 상하이시 정부 대변인은 "상하이시 방역판공실은 생필품 공급 보장에 관련해 업무계획을 발표했다"며"택배기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택배기사들은 매일 항원 검사를 받고 하루 간격으로 핵산 검사를 받아야 할 정도로 이동성이 높다"고 말했다. 은 대변은 또 "기업이 전염병 예방 및 통제 조치를 시행하는 데 있어 주된 책임을 져야 하고 택배기사는 자신과 타인의 건강을 책임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만약 누구든지 간에 양성 반응을 보였지만 검사 결과를 숨기고 계속 일한다면 법적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16일 상하이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238명, 무증상 감염자 21582명이 추가 발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7
  • 中 ‘선저우 13호’ 유인 우주선 착륙 성공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 유인우주국(CMSA)에 따르면 베이징시간 2022년 4월 16일 9시56분(현지시각) '선저우 13호' 유인 우주선 귀환 캡슐이 둥펑 착륙장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현장에 대기하고 있던 의료진은 우주인 자이지강, 왕야핑, 예광푸의 몸 상태가 양호하며 '선저우 13호'의 유인 비행 임무가 완전한 성공임을 확인했다. 9시 6분 베이징 항공우주비행관제센터는 지상계측통제소를 통해 귀환 명령을 내렸고, '선저우 13호' 유인 우주선의 궤도 모듈과 귀환 모듈이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이어 9시 30분께 우주선이 브레이크 엔진으로 돌아가 점화하면서 귀환 모듈이 추진 모듈과 분리됐다. 귀환 캡슐이 성공적으로 착륙한 후 수색 회수 임무를 맡은 수색구조대는 적시에 목표물을 발견하고 가장 먼저 착륙 현장에 도착했다. 귀환 캡슐의 문이 열리자 의료진은 우주인들의 건강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했다. 유인우주국 지휘 본부 관계자들이 둥펑 착륙장에서 우주인들을 맞이했다. '선저우 13호'는 2021년 10월 16일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후 톈허 코어 모듈과 도킹하여 결합체를 형성했다. 3명의 우주인이 핵심 모듈에서 6개월간 머물면서 중국 우주인의 연속 궤도비행 기록을 세웠다. '선저우 13호' 유인 비행 임무의 완전한 성공은 우주 정거장의 핵심 기술 검증 단계를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 중국 우주정거장은 곧 건설 단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7
  • 中, 16일 코로나19 지역 확진자 3504+22512명 추가 발생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1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6일 (0~24시) 중국의 31개 성(자치구, 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29명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 중 해외유입환자는 26명(광시 12명, 쓰촨 4명, 광둥 3명, 상하이 2명, 랴오닝 1명, 저성 1명, 푸젠 1명, 산둥 1명, 광시(무증상 감염자) 1명)이다. 지역 확진자는 3504명(상하이 3238명, 길림 167명, 헤이룽장 32명, 광둥 29명, 저장 10명, 산시 9명, 칭하이 5명, 허난 3명, 산시 3명, 장쑤 2명, 푸젠 2명, 산둥 2명, 랴오닝 1명, 후난 1명)이며 이중 1224명이 무증상 감염자에서 확진자로 전환됐다. 추가 사망자와 의심환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완치 퇴원자는1600명, 의학 관찰에서 해제된 밀접 접촉자는 3만0170명이며 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4명 늘었다. 무증상 감염자는 2만2626명이 보고됐다. 이 중 해외 유입 114명, 지역 감염자는 2만2512명(상하이 21582명, 지린 525명, 장쑤 85명, 안후이 58명, 윈난 51명, 산시 36명, 헤이룽쟝 28명, 푸젠 21명, 산동 21명, 저장 20명, 허난 19명, 광시 17명, 후베이 12명, 광동 11명, 랴오닝 7명, 칭하이 7명, 5건 허베이 5명, 장시 3명, 내몽골 2명, 산시 2명)이다. 4월 16일 24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2만7885명(중증 78명)으로 집계됐고 누적 완치 퇴원자는 14만9770명, 누적 사망자는 4638명, 누적 확진자는 18만2293명(무증상 감염자 포함되지 않음), 의학관찰 중인 밀접접촉자는 43만5266명이다. 이 외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누적 확진자는34만2473명으로 통보됐다. 이중 홍콩 특별행정구는 30만9186명(퇴원 6만6230명, 사망9110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82명(퇴원 82명), 타이완(台湾)지역은 3만3205명(퇴원 1만3742명, 사망 854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7
  • 日 정부, 윤석열 취임 후 한·일 고위급 대화 추진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일본 정부가 5월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취임 후 교착 상태에 빠진 한일 고위급 대화 재개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 소식통은 이날 과거사 문제를 놓고 '일본과 대립각을 세우는' 문재인 현 대통령에 비해 한국 보수파 출신인 윤석열이 한일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일본은 한·일 협력 강화 외에도 북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한·미·일 3국의 긴밀한 협력도 염두에 두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이 5월 10일 열리는 한국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기 위해 고위 인사들을 파견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 측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정부가 고위 인사들을 보내기를 바라는 분위기다. 일본 정부는 기념식에 참석하기에 누가 적합한지 결정하기에 앞서 윤석열의 대일 태도를 파악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장관은 15일 기자회견에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수준에서" 한국 새 정부와 소통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 소식통은 한국 대통령의 취임식에 기시다 후미오 혹은 하야시 요시마사 참석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라고 밝혔지만, 양국 정부는 4월 14일 한국 서울에서 참모회를 열어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5월 하순 방일 전에 먼저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고 외교 소식통이 전했다. 교도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의 방일이 성사될 경우 긴장한 한일 관계를 언급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기시다는 바이든에게 한·일 관계 개선에 주력할 용의가 있다고 말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한국 대통령 취임식에는 일본 총리가 참석했다. 2008년 2월 이명박 한국 대통령 취임 당시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가 참석했다. 2013년 2월 박근혜 한국 대통령 취임 당시에는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이 참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7
  • 미 의원들, 러-우 전쟁 앞두고 무기 관련 주식 매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러우 충돌 이후 세계 증시가 폭락했지만 미국의 여러 방산업체 주가는 급등했다. 공교롭게도 충돌 직전에 이들 급등주를 사들인 미국 의원들이 적지 않다. 일부 의원들은 심지어 전쟁은 우리 지도자들에게 큰 사업이라고 말한다. 미국 정치인, 펜타곤, 무기 거래상 등으로 구성된 "미국 방산 복합체"의 분업이 명확하다. '가상의 적'을 조작해 불을 지펴 기름을 붓고 갈등을 부추기고 전쟁을 일으켜 주문을 받고 무기를 만들어 수출한다. 결국, 그들은 돈을 가득 벌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가져오려 하지 않고 끝없는 충돌과 이익을 원한다. 미 의회 전문지 '더 힐'에 따르면 현지 시간으로 4월 7일 미 의회는 '의원들이 주식 투기를 더 제한해야 하는지 여부'를 주제로 특별회의를 열었다. 이 문제에 대해 참가자들 사이에 합의가 없었다. 주식거래 금지가 "유능한 인재의 출마를 막을 수 있다"며 의원들의 '자유시장사회 참여권'을 박탈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무소속 감시단체인 워싱턴 시민윤리위원회 이사인 조던 리보위츠는 "의원과 그 배우자의 주식 거래를 금지해야만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의원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 있는지 아니면 당신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 있는지 의심할 필요가 없이 공직자가 연루되면 이해충돌의 결과가 전쟁처럼 나빠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2-04-17
  • 中, 첫 분기 무역 수출입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첫 스타트 안정’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14일, 리쿠이원(李魁文) 중국 국가 세관본부 대변인인은 “중국의 대외무역 수출입은 7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으며 올 1분기에는 작년 동기 대비 10% 이상 성장하는 등 ‘첫 스타트의 안정’을 이뤄내면서 연간 목표 달성에 좋은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중국 세관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의 화물무역 수출입 총액은 9조4200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7% 증가, 수출은 5조2300억원으로 13.4% 증가했고 수입은 4조1900억원으로 7.5% 늘었다. 중국은 상위 5대 무역상대국인 아세안, 유럽연합, 미국, 한국과 일본의 수출입이 각각 8.4%, 10.2%, 9.9%, 12.3%, 1.8% 늘어나면서 전체 수출입 증가를 4.8%포인트 견인했다.     안정한 대외무역 정책조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중국의 대외무역 시장 주체의 활력을 힘있게 불러일으켰다. 1분기에 중국의 수출입 실적이 있는 대외무역기업 수는 43만2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하였다. 그 중 민영기업 수출입이 14.1% 증가하면서 대외무역의 전체 증가속도에 비해 3.4%포인트 증가하여 대외무역의 6.6%포인트 증가를 견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올 1분기 수출입의 주요 5대 특징은 ▲일반무역 수출입 비중 증가 ▲주요 무역상대국과의 수출입 증가▲무역경영주체의 수출입 근성 충분▲주요 대종품 수출의 좋은 태세 유지 ▲기전제품, 농산물 수입의 원활 등이다.    올 1분기 중국의 대외무역 수출입이 안정적으로 개국된 원인에 대해 리 대변인은 “중국 경제의 근성이 강하기에 대외무역 성장에 견고한 버팀목을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세계 경제 전반은 여전히 회복 태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제 시장은 중국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 중국 국가 관세청이 발표한 3월 중국 수출입 데이터에 따르면 달러화 기준으로 지난 3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5047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고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2760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0.1% 감소한 2287억달러, 무역흑자는 473억8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저우마오화(周茂华) 중국 광다은행(光大银行) 금융시장부 연구원은 “3월 중 무역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속도가 둔화되고 국지적인 코로나19 산발사태로 에너지 및 원자재 상품 시장의 변동성이 심해져 지난해에도 높은 지수가 발목을 잡았다”고 밝혔다. 특히 3월에 들어 수입은 한 달 전보다 0.1% 줄어 2020년 9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원빈(温彬) 민생은행 수석연구원 또한 “대규모 상품 수입가격이 어느 정도 올랐음에도 중국의 수입금액이 하락하는 것은 국내 수요가 여전히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최근 여러 가지 상황 반등이 기업의 정상적인 생산 경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3월의 수입 PMI 지수는 전월 대비 1.7%포인트 하락한 46.9%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았다.   향후에 대한 전망을 두고 원 연구원은 다음 단계에서도 중국의 수출은 여전히 근성은 있지만 스트레스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작년 중국의 연간 수출 증가율은 30%에 육박했고 매달 증가 속도는 기본적으로 20% 이상이며 높은 기저 수치는 올해 수출 증가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였다. 동시에 주요 경제국들이 완화정책에서 손을 떼면서 3월 JP모건체이스 글로벌 종합 PMI지수는 52.7%로 하락했고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소비자 심리지수가 2011년 이후 최저치인 59.4로 하락해 외국에 대한 수출 견인차 역할 약화를 예고하기도 했다.     원 연구원은 “아직도 국내의 경기 하락 압력이 큰 점을 감안하면 내수 확대와 함께 수출도 안정돼야 한다”면서 “거시정책은 안정이란 목표를 내세워 안정적인 발전을 견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에너지와 원자재 공급에서 안정정책을 계속 실시해야하며 물류 유통을 지원하고 산업고리 공급 망을 안전하게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6
  • 中 지린성, ‘제로 코로나’ 실현…조업 재개 추진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15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 지린성(吉林省)에서 마침내‘제로 코로나’를 실현하고 모든 분야에서의 조업재개를 추진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초를 기점으로코로나19가 지린성에서 급속히 확산됐다. 이번 사태는 지린성에서 가장 빠르게 전파되고 가장 광범위하게 감염되었으며 통제하기 어려운 돌발 공중보건사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45일간의 악전고투 끝에 4월 14일 지린성은 각 시와 주가 ‘제로 코로나’ 목표를 달성하고 순차적으로 조업 재개를 추진하게 되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6
  • 러시아, 전함 미사일로 키이우 외곽 군수공장 파괴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러시아 위성망에 따르면 현지 시간으로 4월 15일 코나셴코프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측의 최신 전투 피해를 발표했다. 코나셴코프는 러시아군이 특별 군사작전을 실시한 이후로 우크라이나 항공기 132대, 헬기 105대, 방공미사일 시스템 245대, 무인비행기 456대, 탱크 등 기갑전차 2213대, 다연장로켓포 249대, 야포·박격포 966문, 특수군용차량 2110대 등을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러시아 군함이 "구경" 미사일을 사용하여 키이우 외곽의 군수공장을 공격하여 장거리 대공 미사일 시스템과 대함 미사일의 생산 및 유지 보수 작업장을 파괴했다고 말했다. 러시아 매체에 따르면 러시아 방공군이 14일(현지시간) 러시아 브리안스크 주택가를 공격한 우크라이나 미-8 헬기를 격추했다. 이밖에 러시아 전략 로켓 부대가 우크라이나 하르코프주에서 공습을 벌여 최대 30명에 달하는 폴란드 용병을 사살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2-04-16
  • 中, 15일 코로나19 지역 확진자 3867+20813명 추가 발생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16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5일 (0~24시) 중국의 31개 성(자치구, 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896명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 중 해외 유입은 29명이고 지역 확진자는 3867명이다. 추가 사망자와 의심환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완치 퇴원자는2818명, 의학 관찰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3만4002명이며 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2명 줄었다. 무증상 감염자는 2만0895명이 보고됐다. 이 중 해외 유입 82명, 지역 감염자는 2만0813명이다. 4월 15일 24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2만5956명(중증 74명)으로 집계됐고 누적 완치 퇴원자는 14만8170명, 누적 사망자는 4638명, 누적 확진자는 17만8764명(무증상 감염자 포함되지 않음), 의학관찰 중인 밀접접촉자는 43만8472명이다. 이 외 홍콩·마카오·대만 지역 누적 확진자는34만1058명으로 통보됐다. 이중 홍콩 특별행정구는 30만9119명(퇴원 6만5422명, 사망9069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82명(퇴원 82명), 타이완(台湾)지역은 3만1857명(퇴원 1만3742명, 사망 854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04-16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