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20여 명 UN 전문가, 각국에 팔레스타인 인정 촉구
    [동포투데이] 3일 유엔 전문가 20여 명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모든 국가들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유엔 국제 질서문제의 독립 전문가인 조지 카터루갈로스, 1967년 이후 점령된 팔레스타인의 인권상황에 대한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 건강권 특별보고관 테라렌 모포켄을 포함한 20여 명의 유엔 전문가들은 공동성명에서 140개가 넘는 유엔 회원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들이 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팔레스타인이 생존 능력과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능력, 안전하고 보장된 민족으로서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 충분한 결정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팔레스타인과 중동지역 전체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가자지구에서 즉각 휴전을 선언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남부도시 라파에 대한 군사침략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수년간 팔레스타인의 국가 수립에 제동이 걸렸지만 팔레스타인은 하나의 국가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지난 5월 28일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 3국 정부가 각각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고,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바하마 등도 이에 앞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다. 지난 5월 10일 제10차 유엔총회 긴급 특별회의는 찬성 143표, 반대 9표, 기권 25표로 팔레스타인이 유엔헌장에 규정된 유엔 회원국 자격에 부합하며, 유엔 회원국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남아프리카 이스턴케이프, 홍수로 최소 10명 사망
    [동포투데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지역에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정부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 지역에서 심각한 홍수로 넬슨만델라베이시티에서만 10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넬슨만델라베이시티 외에도 이스턴케이프주의 다른 많은 지역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보도 시점 현재 카리아가(Cariaga), 게베르하(Geberha), 이스트런던(East London) 등지에서 홍수로 인한 사망자 수는 10명에 이르렀고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5월 31일 이후 이스턴케이프주에서 폭우로 인한 홍수로 교통사고가 여러 건 발생하고 최소 10명이 사망했다. 이스턴케이프 주정부 대변인 요나스 빈크스는 계속되는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지고 가시성이 낮아져 이동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현재 주 비상대응부는 피해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재해 지역에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실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 2022년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에서 홍수가 발생해 8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고 461명이 사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美 현직 대통령 아들 '불법 총기 소지' 재판 시작
    [동포투데이] CNN,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은 3일(현지 시간) '총기 불법 구입 및 소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죄명이 모두 확정되면 최고 25년의 징역형, 75만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올해 미국의 대선 기간 사상초유의 법정공방이 오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정치적 포커스는 미 역사상 처음으로 유죄 평결을 받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 아들로 넘어가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은 헌터 바이든을 허위로 서류를 작성하여 마약중독자임을 속이고 권총을 구매하여 불법소지한 혐의로 기소했다. CNN방송은 "미국과 미국 대통령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그동안 어떤 미국 대통령도 자신의 자녀가 재판을 받는 것을 지켜보면서 나라를 관리한 적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복수의 미 언론들은 이번 재판이 바이든 부통령에게 '무거운 부담'이 되어 재선 레이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헌터 바이든과 트럼프의 법적 딜레마는 미국 정치 제도에 대한 시험이다. 헌터 바이든의 재판이 유권자들에게 트럼프 사건의 '해독제'로 비칠지, '유사품'으로 비칠지는 지켜봐야 한다. 한마디로 이는 미국 정치의 분열과 추악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4
  • 호주 총리 “중국은 주요 무역 파트너... 무역 재개에 전념”
    [동포투데이] 호주 언론 보도에 따르면 5월 30일 호주 농무부 장관 머레이 와트는 중국 시장으로 육류 제품 수출이 중단됐던 호주 5개 소고기 판매업체가 중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회복했다고 확인했다. 중국은 5월 29일 밤 그전에 수입 중단 결정이 내려졌던 5개 기업에 대해 해당 결정을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본토는 여전히 호주 소고기의 세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다. 중국은 지난 15년 동안 호주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 하지만 2020년 스콧 모리슨 호주 전 총리 재임 중, 호주 정부가 맹목적으로 미국을 따라 중국과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파괴하면서 양국 관계가 바닥으로 떨어졌고, 호주의 대중 무역도 큰 영향을 받았다. 중국은 호주의 보리와 와인에 금지성 관세를 부과하고 여러 호주 소고기 공급업체의 수출 자격을 중단했다. 호주 현 정부가 5월 30일에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중국의 제한 조치로 호주 수출액은 206억 호주달러 감소했다. 2022년 노동당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있다. 알바니즈 현 호주 총리는 "중국은 호주의 주요 무역 파트너"라며 "중국과의 무역 재개에 전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발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호주-중국 정상회담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이후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이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중국을 방문한 것도 '긍정적 발전'이라고 밝혔다. 샤오첸(肖千) 호주 주재 중국 대사는 올해는 중국과 호주가 전면 전략 파트너 관계를 수립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며 중국과 호주 관계의 발전이 중요한 기회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3월 캔버라에서 열린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의 제7차 중국·호주 외교전략대화에서 "중국·호주 경제는 상호보완적이고 잠재력이 크다"며 "지난해 양국 무역액은 성장했고 호주 대외 무역 흑자 중 80% 가까이가 대중 무역에서 나왔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4
  • 젤렌스키 “트럼프 집권하면 우크라이나 희생시킬 수도”
    [동포투데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 우크라이나를 희생시키면서 전쟁을 끝내는 데 동의할까 봐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 경우 트럼프가 '실패한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5월 초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분쟁의 평화적 종식을 위한 세부 계획을 세웠지만 미국 대선 이후까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영토 양보를 통해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시키려는 트럼프의 의도에 대한 가디언의 질문에 젤렌스키는 "그가 정말로 실패한 대통령이 되기를 원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고 했다. 젤렌스키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어 우크라이나를 희생해 전쟁을 끝내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해 보자. 예를 들어 대화에서 푸틴의 확인을 받고 그만하라고 하면 그게 전부다. 우크라이나인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는 우리에게 어떤 지지도 주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의 새 대통령은 세상에 어떤 사람으로 보일까?”라고 말했다. 가디언은 젤렌스키가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제도적인 측면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제로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젤렌스키는 "미국은 더 이상 강대국이 아닐 것이다. 그 결과 다른 나라의 지도자들이 무대에 오를 것이며 제3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4-06-03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美, 코로나19 확진자 재 급증, 방역당국 우려 심각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미국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다. 현지 시간으로 3월 30일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가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그 전번 주에 비해 22% 증가했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가 일전 발표한 코로나19 최신 집계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전역의 코로나19 평균 신규 확진자는 6.57만 명으로 그 전번 주에 비해 22% 증가, 일평균 사망자는 989명, 이 두 가지 데이터가 3월 23일 올 들어 가장 낮은 데이터를 나타낸 후 다시 상승세를 보였으며 지금까지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3100만 명을 초과했고 누적 사망자는 56만 명을 초과하여 모두 세계에서 1순위에 올라 있다. 한편 로셸 월렌스키 미 질병예방통제센터 국장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무서운 것은 영국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가 미국에서 급속도로 전파되는 것”이라며 “비록 미국에서 접종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이 이 변이 바이러스 대응에 효과적이지만 확산을 효과적으로 저지시키지 못한다면 앞으로 더욱 무서운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지난 3월 30일, CNN 보도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전역에서는 최소로 10여 명의 주지사들이 코로나19 확진자의 감소와 백신 접종 추진을 이유로 3월에 통제 규제 완화를 선언했다. 이 중 델라웨어주 주지사 존 카니는 4월 1일부터 외부 집회 인원수와 외부 장소 수용 인원수에 대한 제한 규제를 풀어주기로 선포했고 앨라배마주 주지사 케이 아이비는 대변인을 통해 4월 9일부터 강 ‘마스크 착용 령’을 취소할 타산이라고 했다. 지난 3월 30일 아칸소주 주지사 아사 허친슨은 ‘강제 마스크 착용 령’을 취소한다고 선포했다. 이를 두고 로셸 월렌스키 국장은 “미국의 코로나19 양상은 몇 주 전 일부 유럽 국가들과 유사하며 이들은 상황이 좋아지면 방역을 늦추기를 번복하였다”면서 “하지만 프랑스, 독일과 이탈리아 등 국가에서는 새로운 확산세에 직면하자 역시 새로운 봉쇄 대책을 실시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엄청 무섭지만 미국은 이 국면을 돌려세울 자신이 있다”면서 “지속적으로 백신 접종을 추진하는 동시에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 두기 유지와 경상적인 손 씻기 그리고 밀접장소 피하기 등 방역조치를 잘 지키면 얼마든지 될 수 있다"라고 장담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4-02
  • [중국문화] 중국 4대 전통명절 청명절은?
    [동포투데이] 청명절은 중국 4대 전통명절 중의 하나로 자연과 인문 두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청명은 24절기 중의 하나이고 또 중화민족이 전통적으로 성묘하고 추모하는 날이다. 2006년 청명절은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재 명록에 등재됐다. 버드나무 가지 고대 중국인들은 청명에 버드나무 가지를 머리에 쓰고 사악함을 물리치고 행복을 빌었으며 연륜을 기념하는 의미도 있었다. 연날리기 중국 고대인들은 청명이면 재앙과 질병을 연에 적어 날려 보내면 화를 피할 수 있다고 믿으며 한해 평안과 순조로움을 기원했다. 성묘 중국인들은 청명절에 성묘하면서 고인을 추모하고 효도의 정을 전하며 가족의 기억을 되새긴다. 나들이 청명절은 봄풍경이 아름다운 시기이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야외에 나가 봄나들이를 즐긴다.이런 풍속은 25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청명음식 청단 청단은 전통 음식이다. 청명에 청단을 식음하는 풍속은 중국에서 10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02
  • 中, 2035년 인당 GDP 2만 3000달러
    [동포투데이] 중국이 향후 15년간 년평균 5~6%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게 되는 가운데 2035년에 이르러 인당 GDP가 2만 3000딸라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지난 3월 20일에 열린 ‘2021년 중국발전고위층포럼’에서 베이징대학 신구조경제학연구원(北京大學新結構經濟學研究院) 원장 린이푸(林毅夫)는 현재 중국의 생산력 평가기준으로 인당 GDP는 1만 4129딸라이라고 밝혔다. 또한 2035년까지 우리 나라는 9% 정도의 성장잠재력을 지녀 년평균 5~6%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린 원장은 2025년 중국 인당 평균 GDP는 1만 2353딸라를 초과해 고소득 국가의 문턱을 넘어 고소득 국가에 진입할 것이며 2030년에는 세계 최대 경제체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2035년 인당 평균 GDP는 2020년의 두배인 2만 3000딸라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울러 ‘14.5’계획에서 중국은 하나의 구체적인 경제 목표를 설정하진 않았지만 2035년에는 GDP 혹은 인당 GDP가 2020년의 두배에 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국은 2020년부터 2035년까지 매년 4.7%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향후 성장동력은 여전히 강력하기 때문에 이 같은 성장률 달성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02
  • 中, 1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4명...해외 입국자 5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9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 9명 중 5명(상하이 2명, 후난 1명, 쓰촨 1명, 산시 1명)은 해외 입국자이며 4명은 본토(윈난)에서 발생했다.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의심자는 2명으로 상하이(해외 유입)에서 발견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8명이고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72명이다. 중증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1일 24시까지 확진자 188명(중증 2명), 누적 퇴원자 8만5402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226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564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480명(퇴원 1만1108명, 사망 205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8명(퇴원 48명), 타이완 지역은 1036명(퇴원 983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02
  • 日, 앞당겨진 벚꽃 개화시일 유사 이래 최초 기록 작성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4월 1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올 들어 일본의 많은 지방들에서 벚꽃 개화 시간이 많이 앞당겨졌다. 이는 기후변화가 그 주요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이 기상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 3월 26일, 교토기상대는 일본은 곧 벚꽃 만개 계절을 맞이하게 되었다고 선포, 이는 최근 30년래 벚꽃 개화시일이 평균 10일 앞당긴 셈이었고 1953년 일본 기상청이 관련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일찍 벚꽃이 피기 시작한 한 해로 되고 있다. 일본 기상 전문가의 설법에 따르면 지난 3월 16일 벚꽃이 피기 시작한 이래 냉기후 침습이 없었고 고온 기온이 왕년의 평균 수준보다 높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벚꽃이 일찍 개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3월 30일, BBC 보도에 의하면 일본 오사카부립대학 생태기상학 연구팀이 교토의 궁중자료, 일기와 시집 등 기록을 조사해본 결과 가장 일찍 벚꽃 개화를 발견한 해는 서기 812년, 역사상 가장 일찍 벚꽃이 만개한 구체적인 날짜는 3월 27일이었으며 이는 각각 1236년, 1409년과 1612년이었다. 그리고 1800년 이래 교토에서 벚꽃이 개화된 시기는 4월 중순으로부터 4월 상순으로 앞당겨졌다. 또한 올해 교토 외 일본의 10여 개의 도시에서도 벚꽃의 개화시간이 현지 사상 가장 일찍한 기록을 작성하였다. 일본 기상청의 한 관계자는 벚꽃은 기후변화에 아주 민감, 벚꽃 만개시기와 관련된 데이터는 기후변화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벚꽃 개화의 시기가 앞당겨지면 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기상청이 제공한 벚꽃 개화시기와 관련된 정보에 따르면 일본 전반 지역에서 58그루의 벚꽃나무를 모델로 벚꽃 개화기를 관측한 결과 40그루의 벚꽃나무가 이미 개화기 절정에 달했다. 또한 일본 기상청은 올 3월 11일 히로시마에서 처음으로 벚꽃 품종인 소메이요시노(染井吉野)가 개화된 것을 발견, 이는 2004년 3월 19일에 관측된 최초 개화기록을 갈아치웠다. 일본 기상청의 자료에 따르면 1953년 교토의 월평균 기온은 8.6도였지만 2020년 교토의 월평균 기온은 10.6도였으며 올해 일본 전국 3월 평균 기온은 약 12.4도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02
  • 홍콩, 연속 3일 코로나19 본토 확진 사례 1건씩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3월 31일, 홍콩특별행정구 위생서(署) 위생방호센터가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당일 0시까지 홍콩에서 보고된 코로나19 신규 감염 사례는 6건으로 이 중 1건은 본토 사례이고 5건은 해외 유입 사례이다. 이로써 홍콩은 최근 연속 3일간 본토 감염 사례가 1건씩 나타나는 데 그쳤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지난 3월 31일 현재 홍콩의 코로나 19 누적 확진 사례는 1만 1467건이다. 그리고 3월 30일까지 홍콩 주민 49만 200명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으며 이 중 1차 접종을 마친 주민은 45만 5900명에 달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01
  • 영국 약 50% 주민 코로나19 항체 보유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3월 30일, 영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현재 영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약 50%에 달하는 주민이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신화통신과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3월 14일까지 한 주간 잉글랜드에서 진행된 조사에서 보면 약 54.7%에 달하는 가정 구성원이 코로나19 항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났다. 웨일스와 북아일랜드 지역에서는 각각 50.5%와 49.3%를 나타냈으며 스코틀랜드에서는 5분의 2(42.6%)에 달하는 주민들이 항체검사에서 양성을 보였다. 코로나19 항체가 형성 되었다는 것은 과거 코로나19에 감염되었었거나 이미 백신을 접종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견딜 수 있는 항체를 보유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영국 국가 통계국이 발표한 이 집계는 가정 구성원을 대상한 것으로 병원이나 요양원에 있는 인구는 포함되지 않았다. 영국 국가통계국은 또 잉글랜드에서는 80세 이상의 가정 구성원 중 86%에 달하는 인구가 향후 코로나 19 항체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웨일스에서는 79.2%, 스코틀랜드에서는 74%의 가정 구성원 중에 나타날 것이며 북아일랜드에서는 70세 이상의 가정 구성원 중 76.2%가 코로나19 항체검사에서 양성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4-01
  • 中, 31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6명...해외 입국자 10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31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16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 16명 중 10명(상하이 3명, 광둥 3명, 장쑤 2명, 네이멍구 1명, 산둥 1명)은 해외 입국자이며 6명은 본토(윈난)에서 발생했다. 추가 사망자와 의심환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9명이고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99명이다. 중증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31일 24시까지 확진자 187명(중증 2명), 누적 퇴원자 8만5394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217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545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467명(퇴원 1만1095명, 사망 205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8명(퇴원 48명), 타이완 지역은 1030명(퇴원 981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01
  • 中 ‘중국 천안’ 전파망원경 세계에 개방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3월 3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3월 31일부터 구경 구면이 500 미터가 되는 전파망원경(FAST) ‘중국 천안(中国天眼)’이 전 세계 천문학자들을 대상으로 관측 신청을 공모했다.모든 해외 신청은 통일적인 심사평가를 거치며 심사 결과는 오는 7월 20일에 발표될 예정이다. 공모에 선정되면 8월부터 이 전파망원경을 통해 우주를 관찰할 수 있다. ‘중국 천안’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단구경 전파망원경으로 100억 광년 이상 떨어진 곳의 전자기 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자주적인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중국 천안’은 2020년 1월 국내에서 개방된 이래 운행이 안정하고도 믿음직하며 이미 300여 개의 펄사(脉冲星)를 발견, 쾌속 전파폭풍 등 연구 분야에서 큰 돌파구를 마련하기도 했다. 중국과학원 국가 천문대 관계자는 "‘중국 천안’을 세계에 전면 개방하는 것은 중국과 국제과학계의 충분한 협력 이념을 과시했다"며 "개방과 합력을 통해 중국 과학 중장비가 더욱 효능을 발휘하여 중대 과학기술 성과의 산출을 추진할 것이며 우주에 대한 전반 인류의 탐색과 인식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31
  • 中,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규모 세계 1위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3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당일 중국 국무원 판공실에서 마련한 브리핑에서 중국 에너지국 장젠화(章建華)국장은 중국의 재생 에너지 개발 이용 규모가 세계 1위를 지키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원의 녹색 저탄소에로의 전환을 위해 강력한 버팀목으로 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2020년 말까지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총 규모는 9.3억 킬로와트로 총 발전 설비의 42.4%를 차지, 2012년에 비해 14.6% 증가하였다. 그리고 재생에너지 이용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 2020년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2억 킬로와트에 달해 전반 사회 전력사용량의 29.5%를 차지했으며 2012년에 비해 9.5% 증가하였다. 장 국장은 “중국에서는 비교적 완비한 재생에너지 기술 산업시스템을 형성했다”면서 “이 중 수력발전 영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100만 킬로 와트짜리 수력발전기 자체 설계 제조 능력을 구비하고 있고 저 풍속 풍력발전기 영역에서도 세계의 앞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의 풍력발전기의 90% 이상은 국산풍력발전기로 대체, 태양광 발전기술, 배터리 전환효율 역시 수차 세계기록을 경신했다”고 했다. 또한 장국장에 따르면 재생에너지는 녹색 저탄소 에너지로서 중국의 다륜구동(多轮驱动)의 에너지 공급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에너지의 구조개선, 생태 환경 보호, 기후변화 대응, 경제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해 중요한 의의가 있다. 다음 보조에 들어 중국은 더욱 적극적인 새로운 에너지 발전목표를 제정, 신시대의 재생에너지의 대규모, 높은 비율, 높은 질과 시장화발전으로 재생에너지 대체행동의 실시를 가속화 하고 신에너지 저장능력을 힘써 향상시켜 신에너지를 주체로 하는 새로운 전력 시스템을 적극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3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