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5(수)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여성 대통령 선출된 날, 멕시코 여성시장 총격 피살
    [동포투데이] 3일 멕시코 집권 국가재생운동당 연합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선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했다고 발표한 직후 미초아칸주 코티하드 라파초밥의 욜란다 피게로아 여성 시장이 무장세력의 습격을 받아 숨졌다. 멕시코 남서부에 위치한 미초아칸주는 관광업과 농업으로 유명하지만, 이 나라에서 폭력 범죄율이 가장 높은 주 중 하나이다. 3일, 멕시코와 스페인 언론 보도에 따르면 피게로아가 체육관에 들어가려고 했을 때 복면을 쓰고 승합차에서 뛰어내린 괴한들의 습격을 받아 최소 19발의 총상을 입었고, 그의 경호원도 총격으로 부상을 입었다. 미초아칸 주 정부는 성명을 내고 "총격 사건의 배후를 찾기 위해 연방 기관과 협력해 보안 작전을 전개했다"라고 밝혔다. 멕시코 언론은 멕시코 보수당인 국민행동당소속의 피게로아가 2021년 9월 코티야 데 라파초밥의 첫 여성 시장이 된 이후 지역 마약 카르텔로부터 반복적으로 위협을 받아왔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에는 한 무리의 무장 괴한이 시 청사에 침입했다. 피게로아는 작년 9월 23일에도 무장 괴한들에게 길거리에서 납치되었다가 사흘 후 무사히 구출된 바 있다. 당시 피게로아는 몸값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납치가 정치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멕시코 수사기관인 선거연구소가 지난 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멕시코 대선에서 약 38명의 후보가 살해됐고, 후보 및 관계자를 겨냥한 공격이 300여 건 발생했다. 멕시코 언론은 이번 선거를 "역대 가장 폭력적인 선거 중 하나"라고 표현했다. 멕시코의 국가안보 전문가 데이비드 소세도는 이번 선거에서 범죄 이익과 관련된 '정치적 검은돈'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멕시코 정부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멕시코는 2019년에 여성이 연방, 주, 지방 자치단체 차원의 행정부, 입법부, 사법 기관 직위의 50% 이상을 차지하도록 요구하는 성평등 법안을 통과시켰다. 일부 분석가들은 피게로아의 죽음이 셰인바움의 승리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보고 있다. 왜냐하면 후자는 캠페인 기간 동안 범죄와 싸우겠다고 약속했고 멕시코 여성의 생활환경 개선에 전념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5
  • 20여 명 UN 전문가, 각국에 팔레스타인 인정 촉구
    [동포투데이] 3일 유엔 전문가 20여 명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모든 국가들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유엔 국제 질서문제의 독립 전문가인 조지 카터루갈로스, 1967년 이후 점령된 팔레스타인의 인권상황에 대한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 건강권 특별보고관 테라렌 모포켄을 포함한 20여 명의 유엔 전문가들은 공동성명에서 140개가 넘는 유엔 회원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들이 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팔레스타인이 생존 능력과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능력, 안전하고 보장된 민족으로서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 충분한 결정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팔레스타인과 중동지역 전체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가자지구에서 즉각 휴전을 선언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남부도시 라파에 대한 군사침략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수년간 팔레스타인의 국가 수립에 제동이 걸렸지만 팔레스타인은 하나의 국가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지난 5월 28일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 3국 정부가 각각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고,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바하마 등도 이에 앞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다. 지난 5월 10일 제10차 유엔총회 긴급 특별회의는 찬성 143표, 반대 9표, 기권 25표로 팔레스타인이 유엔헌장에 규정된 유엔 회원국 자격에 부합하며, 유엔 회원국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남아프리카 이스턴케이프, 홍수로 최소 10명 사망
    [동포투데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지역에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정부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 지역에서 심각한 홍수로 넬슨만델라베이시티에서만 10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넬슨만델라베이시티 외에도 이스턴케이프주의 다른 많은 지역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보도 시점 현재 카리아가(Cariaga), 게베르하(Geberha), 이스트런던(East London) 등지에서 홍수로 인한 사망자 수는 10명에 이르렀고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5월 31일 이후 이스턴케이프주에서 폭우로 인한 홍수로 교통사고가 여러 건 발생하고 최소 10명이 사망했다. 이스턴케이프 주정부 대변인 요나스 빈크스는 계속되는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지고 가시성이 낮아져 이동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현재 주 비상대응부는 피해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재해 지역에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실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 2022년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에서 홍수가 발생해 8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고 461명이 사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美 현직 대통령 아들 '불법 총기 소지' 재판 시작
    [동포투데이] CNN,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은 3일(현지 시간) '총기 불법 구입 및 소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죄명이 모두 확정되면 최고 25년의 징역형, 75만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올해 미국의 대선 기간 사상초유의 법정공방이 오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정치적 포커스는 미 역사상 처음으로 유죄 평결을 받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 아들로 넘어가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은 헌터 바이든을 허위로 서류를 작성하여 마약중독자임을 속이고 권총을 구매하여 불법소지한 혐의로 기소했다. CNN방송은 "미국과 미국 대통령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그동안 어떤 미국 대통령도 자신의 자녀가 재판을 받는 것을 지켜보면서 나라를 관리한 적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복수의 미 언론들은 이번 재판이 바이든 부통령에게 '무거운 부담'이 되어 재선 레이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헌터 바이든과 트럼프의 법적 딜레마는 미국 정치 제도에 대한 시험이다. 헌터 바이든의 재판이 유권자들에게 트럼프 사건의 '해독제'로 비칠지, '유사품'으로 비칠지는 지켜봐야 한다. 한마디로 이는 미국 정치의 분열과 추악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4
  • 호주 총리 “중국은 주요 무역 파트너... 무역 재개에 전념”
    [동포투데이] 호주 언론 보도에 따르면 5월 30일 호주 농무부 장관 머레이 와트는 중국 시장으로 육류 제품 수출이 중단됐던 호주 5개 소고기 판매업체가 중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회복했다고 확인했다. 중국은 5월 29일 밤 그전에 수입 중단 결정이 내려졌던 5개 기업에 대해 해당 결정을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본토는 여전히 호주 소고기의 세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다. 중국은 지난 15년 동안 호주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 하지만 2020년 스콧 모리슨 호주 전 총리 재임 중, 호주 정부가 맹목적으로 미국을 따라 중국과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파괴하면서 양국 관계가 바닥으로 떨어졌고, 호주의 대중 무역도 큰 영향을 받았다. 중국은 호주의 보리와 와인에 금지성 관세를 부과하고 여러 호주 소고기 공급업체의 수출 자격을 중단했다. 호주 현 정부가 5월 30일에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중국의 제한 조치로 호주 수출액은 206억 호주달러 감소했다. 2022년 노동당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있다. 알바니즈 현 호주 총리는 "중국은 호주의 주요 무역 파트너"라며 "중국과의 무역 재개에 전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발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호주-중국 정상회담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이후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이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중국을 방문한 것도 '긍정적 발전'이라고 밝혔다. 샤오첸(肖千) 호주 주재 중국 대사는 올해는 중국과 호주가 전면 전략 파트너 관계를 수립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며 중국과 호주 관계의 발전이 중요한 기회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3월 캔버라에서 열린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의 제7차 중국·호주 외교전략대화에서 "중국·호주 경제는 상호보완적이고 잠재력이 크다"며 "지난해 양국 무역액은 성장했고 호주 대외 무역 흑자 중 80% 가까이가 대중 무역에서 나왔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4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부쿠레슈티서 100세 노인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진=신화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28일, 루마니아 언론에 따르면 루마니아 수도 부쿠레슈티에서 100세가 넘는 한 노인이 2차 코로나 19 백신 접종까지 완료해 지금까지 부쿠레슈티에서 연세가 가장 많은 백신 접종자로 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당일 2차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올해 105세가 되는 이 노인은 “나의 손녀가 의사이기에 그가 나를 설복하여 접종하게 했다”면서 모든 노인들에게 “코로나 19에서 탈출하는 유일한 방법은 백신 접종”이라고 권장했다. 한편 당일 부쿠레슈티 4구 정부는 노인에게 생화를 선물하면서 노인이 적극적으로 백신 접종에 동참해 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 3월 27일 17시까지 루마니아는 191만 명이 넘는 인구가 백신을 접종, 이 중 94만 명 이상이 2차 접종을 마친 상황이다. 현재 루마니아는 새로운 코로나19 확산세에 직면, 이 중 수도 부쿠레슈티는 전국에서 감염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의 하나로 되고 있다. 3월 28일까지 루마니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93만 6618명, 누적 사망자는 2만 3114명, 현유의 중증환자는 1386명으로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이래의 최고봉에 달하고 있다. 현재 루마니아의 중증병상 점유율은 이미 90%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3-29
  • 세계 각 지 ‘지구의 시간’ 행사 참여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세계 각국에서 현지시간 27일 오후 8시30분부터 1시간 동안 소등하는 '지구의 시간' 행사가 펼쳐졌다. ‘지구의 시간’은 2007년 세계자연기금회가 발기한 전 세계 개인과 사회구역 그리고 기업과 정부마다 매년 3월의 마지막 주 토요일 20시 30분부터 21시 30분까지 1시간 동안 지나친 야간 조명으로 인한 전력 소비, 빛공해를 줄여보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조명 끄기 행사'이다. 사진은 지난 3월 27일, ‘지구 1시간’이 개시되기 전후의 영국의 런던 타워 브리지의 전경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3-29
  • 中, 코로나 백신 글로벌 공급 1억 도스 돌파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얼마 전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공급이 1억 도스를 돌파한 후인 28일, 중국 국무원 공동방역 메커니즘(国务院联防联控机制)은 브리핑을 갖고 27일 24시까지 국내에서 접종된 백신은 1억 도스를 초과, 안전하고도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신화통신 보도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매일 접종되고 있는 백신은 300만 도스이다. 다음 단계에 들어 전국 각지에서는 지속적으로 많은 조치를 병행하면서 임시 접종소, 유동 접종소와 중점지역 방문 접종 등 대중들이 편리한 다종 방식으로 전반 군체들에 백신을 무료 접종하면서 세계 최대의 면역 장벽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9
  • 中 장강, 우한-안칭 구간 6미터 수심항로 전면 관통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3월 27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 장강 간선인 우한 - 안칭(武汉 - 安庆) 구간의 6미터 수심 수로정비 프로젝트(6米水深航道整治工程)가 지난 3월 26일 황강시(黄冈市)에서 험수에 통과됐다. 중국 국가 교통운송부 장강 항무 관리국은 이 프로젝트 전반 노선의 관통과 시 운행 투입 개시를 선포하였다. 보도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의 완공으로 항로의 최저 수심이 6미터에 달해 만 톤급 선박이 안칭에서 우한까지 직항할 수 있게 됐다. 후베이(湖北), 장시(江西)와 안후이(安徽)에서 저장(浙江)과 상하이(上海)까지 순항하는 ‘수상 고속도로’가 형성된 셈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8
  • 中, 하이난 자유무역항 대륙간 화물운송 항공편 개통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기 대륙간 화물운송 항공편이 정식 개통되었다고 27일 인민망이 보도했다. 당일 새벽, 중국 하이난 항공(海南航空)의 HU787 항공편이 35톤의 화물을 싣고 하이커우(海口) 미란국제공항을 이륙해 프랑스 파리로 향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항공편은 매주 2회, 왕복 4회 운항하는 것으로 하이난 자유무역항(FTA)을 위한 ‘하늘길’을 열어 놓은 것으로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8
  • 中, “우리 목표 美 추월 아닌 훌륭한 국가 만드는 것”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지난 25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첫 공식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최강국이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세계 패권 경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견제구를 날리자 중국은 자국의 목표가 미국 추월이 아닌 훌륭한 국가를 만드는 것이라며 미국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27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화춘잉(华春莹) 대변인은 최근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이 미국을 추월하는 일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해 “중국의 목표는 미국을 추월하자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넘어 보다 훌륭한 국가를 만드는 것”라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세계에서 앞자리에 있는 양대 경제체로서의 중미 사이가 상호 이익의 융합 중 경쟁이 나타나는 것은 결코 이상한 것이 아니다”라면서“관건은 공평 공정의 토대에서 스스로 향상하면서 상대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것이지 생사 결단이나 제로 섬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중미 양국이 추구하는 주요 목표는 협력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8
  • 中, 올해 전국서 인력이 가장 부족할 직종은?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人力资源和社会保障部)가 공개한 보고서를 인용, 올해 중국 전국에서 인력이 가장 부족할 직종 순위를 발표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 들어 인력이 가장 부족할 100개의 직종 중 앞자리를 차지한 10개의 직종은 설계사, 환경미화원, 보안요원, 상품 판매원, 음식점 직원, 가정도우미, 고객서비스, 선반공, 부동산 중개인, 용접공 등 순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앞자리를 차지한 이 10개의 직종은 기본상 안정적인 직종이다. 그리고 이번에 앞자리를 차지한 인력이 가장 부족할 10개의 직종에는 용접공이 들어갔고 택배원이 10위 밖으로 밀려나 11위로 되었다. 100개 직종에는 생산 및 제조업, 서비스업과 전문 기술 분야의 기술인력, 당정기관, 군중단체, 사회조직, 농, 임(林) 목(牧) 어(渔) 생산 분야의 보조 인력과 기타 종사인력이 포함된다. 이번 집계는 전국의 102개 지정도시 공공취업 서비스기구에서의 구인, 구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것이다. 이번의 데이터를 공개하면서 인력자원사회보장부는 전에 비해 현재 구인수요가 현저하게 상승했다고 언급했다. ‘인력이 가장 부족할 100개 직종’을 볼 때 구인수요가 지난해 말의 131.6만 명으로부터 141.8만 명(7.75% 증가)으로 늘어났으며 반대로 구직 수요는 소폭 하강(0.61%)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력 부족 현상은 지난해 말의 82.4만 명으로부터 92.9만 명으로 상승(12.74% 상승) 했으며 총체적 구인수요 비율은 지난해 말의 2.67%로부터 8.61%로 상승하였다. 이 외 인력 부족 데이터와 총체적 구인 비율은 2019년 제3분기에 처음으로 그 순위 출범이래의 최고 비율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번에 작성한 인력이 가장 부족할 25개 직종 중 15개 직종은 제조업과 직접 관련이 있으며 점하는 비율은 60%에 달했다. 그 구체적 분야로는 제련업종 기술자, 주물공, 자동차공학 기술자와 금속 열처리공 등이다. 그리고 인력 부족 정도가 큰 34개의 직종 중 16개가 제조업과 직집 관련이 있으며 점하는 비율은 47.1%에 달했다. 그 구체적 분야로는 철근 제조공, 기계 수리공과 방직 염색공 등이다. 이 외 코로나19 예방통제가 장기화되는 조건에서 사회 관리와 사회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인재 수요가 급증, 예하면 보안, 사회구역 사무원 등 직업 순위가 상승하고 있고 가정도우미가 앞자리 10위 내에 들어갔으며 보육원, 호리원 등의 순위도 앞자리로 당겨졌다. 또한 영유아 발전 도우미, 고아 및 장애 아이 도우미와 중학교 교사가 처음으로 순위에 올랐고 유아교육사가 다시 순위에 오르기 시작했다. 집계에 따르면 2020년 전반에 거쳐 중국 전국의 도시 진 신규 취업자는 1186만 명이었고 12월분에 조사된 실업률은 5.2%였으며 도시 진에 등록된 실업률은 4.24%로 예정된 통제 목표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중국의 고용상황은 총체적으로 소강상태를 이어갈 전망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8
  • 中, 27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8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27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8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 8명( 상하이 2명, 쓰촨 2명, 톈진 1명, 허난 1명, 광둥 1명, 산시 1명) 모두 해외 입국자이며 본토 신규 확진자와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의심환자 1명은 해외 입국자로 상하이에서 발견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2명이고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264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27일 24시까지 확진자 167명(중증 1명), 누적 퇴원자 8만5364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167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513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445명(퇴원 1만1040명, 사망 205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8명(퇴원 48명), 타이완 지역은 1020명(퇴원 978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8
  • 中 신장, 100만 무(亩) 목화밭 파종 전면 개시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신장은 현재 목화 파종이 한창이다. 파종은 기계화와 지능화의 대규모 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26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판 GPS’ 베이더우 시스템을 탑재한 파종기가 신장 생산건설병단 3사단 전야에서 분주히 작업하고 있다. 올해 이 사단은 목화 밭 100여만 무에 파종할 계획이다. 한편 신장(新疆)의 목화 생산량은 520만t으로 중국 국내 생산량의 약 87%, 국내 소비량의 약 67%를 차지한다. 세계 최고 수준으로 꼽히는 신장산 목화는 의복과 침구 제작에 사용되며, 따뜻하면서도 통기성이 좋고 포근해 일 년 내내 공급이 딸린다.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중국은 매년 약 200만t 가량의 목화를 수입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수입 루트를 확장해 국내 목화 공급망을 안정시키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7
  • 中 국가우주국 ‘텐원 1호’ 전송 화성사진 공개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26일, 중국 국가우주국에서는 중국이 처음으로 화성탐사를 맡은 ‘텐원 1호(天问一号)’가 화성의 남과 북 측면을 촬영하여 전송해온 사진을 공개했다고 당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텐원 1호’ 탐사선은 화성에서 1만 1000킬로미터 되는 지점까지 날아가 중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성 전경을 촬영, 당시 탐사선은 화성 측 후방 상공(태양을 향해)에 있어 화성의 ‘측면 모습’ 2점을 포착(당시 화성의 표면은 아주 뚜렷했음)할 수 있었다. 현재 ‘텐원 1호’ 탐사선은 이미 궤도에서 1개월간 운행을 중단, 고해상도 카메라(高分辨率相机), 중해상도 카메라(中分辨率相机),광물스펙트럼계(矿物光谱仪), 화성 에너지 입자 분석기(火星能量粒子分析仪), 이온 및 중성입자 분석기(离子与中性粒子分析仪)와 자기강력계(磁强计) 등 적재설비를 육속 가동하여 화성에 대해 탐사하면서 과학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2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