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20여 명 UN 전문가, 각국에 팔레스타인 인정 촉구
    [동포투데이] 3일 유엔 전문가 20여 명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모든 국가들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유엔 국제 질서문제의 독립 전문가인 조지 카터루갈로스, 1967년 이후 점령된 팔레스타인의 인권상황에 대한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 건강권 특별보고관 테라렌 모포켄을 포함한 20여 명의 유엔 전문가들은 공동성명에서 140개가 넘는 유엔 회원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들이 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팔레스타인이 생존 능력과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능력, 안전하고 보장된 민족으로서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 충분한 결정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팔레스타인과 중동지역 전체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가자지구에서 즉각 휴전을 선언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남부도시 라파에 대한 군사침략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수년간 팔레스타인의 국가 수립에 제동이 걸렸지만 팔레스타인은 하나의 국가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지난 5월 28일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 3국 정부가 각각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고,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바하마 등도 이에 앞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다. 지난 5월 10일 제10차 유엔총회 긴급 특별회의는 찬성 143표, 반대 9표, 기권 25표로 팔레스타인이 유엔헌장에 규정된 유엔 회원국 자격에 부합하며, 유엔 회원국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남아프리카 이스턴케이프, 홍수로 최소 10명 사망
    [동포투데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지역에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정부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 지역에서 심각한 홍수로 넬슨만델라베이시티에서만 10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넬슨만델라베이시티 외에도 이스턴케이프주의 다른 많은 지역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보도 시점 현재 카리아가(Cariaga), 게베르하(Geberha), 이스트런던(East London) 등지에서 홍수로 인한 사망자 수는 10명에 이르렀고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5월 31일 이후 이스턴케이프주에서 폭우로 인한 홍수로 교통사고가 여러 건 발생하고 최소 10명이 사망했다. 이스턴케이프 주정부 대변인 요나스 빈크스는 계속되는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지고 가시성이 낮아져 이동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현재 주 비상대응부는 피해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재해 지역에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실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 2022년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에서 홍수가 발생해 8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고 461명이 사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美 현직 대통령 아들 '불법 총기 소지' 재판 시작
    [동포투데이] CNN,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은 3일(현지 시간) '총기 불법 구입 및 소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죄명이 모두 확정되면 최고 25년의 징역형, 75만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올해 미국의 대선 기간 사상초유의 법정공방이 오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정치적 포커스는 미 역사상 처음으로 유죄 평결을 받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 아들로 넘어가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은 헌터 바이든을 허위로 서류를 작성하여 마약중독자임을 속이고 권총을 구매하여 불법소지한 혐의로 기소했다. CNN방송은 "미국과 미국 대통령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그동안 어떤 미국 대통령도 자신의 자녀가 재판을 받는 것을 지켜보면서 나라를 관리한 적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복수의 미 언론들은 이번 재판이 바이든 부통령에게 '무거운 부담'이 되어 재선 레이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헌터 바이든과 트럼프의 법적 딜레마는 미국 정치 제도에 대한 시험이다. 헌터 바이든의 재판이 유권자들에게 트럼프 사건의 '해독제'로 비칠지, '유사품'으로 비칠지는 지켜봐야 한다. 한마디로 이는 미국 정치의 분열과 추악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4
  • 호주 총리 “중국은 주요 무역 파트너... 무역 재개에 전념”
    [동포투데이] 호주 언론 보도에 따르면 5월 30일 호주 농무부 장관 머레이 와트는 중국 시장으로 육류 제품 수출이 중단됐던 호주 5개 소고기 판매업체가 중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회복했다고 확인했다. 중국은 5월 29일 밤 그전에 수입 중단 결정이 내려졌던 5개 기업에 대해 해당 결정을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본토는 여전히 호주 소고기의 세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다. 중국은 지난 15년 동안 호주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 하지만 2020년 스콧 모리슨 호주 전 총리 재임 중, 호주 정부가 맹목적으로 미국을 따라 중국과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파괴하면서 양국 관계가 바닥으로 떨어졌고, 호주의 대중 무역도 큰 영향을 받았다. 중국은 호주의 보리와 와인에 금지성 관세를 부과하고 여러 호주 소고기 공급업체의 수출 자격을 중단했다. 호주 현 정부가 5월 30일에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중국의 제한 조치로 호주 수출액은 206억 호주달러 감소했다. 2022년 노동당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있다. 알바니즈 현 호주 총리는 "중국은 호주의 주요 무역 파트너"라며 "중국과의 무역 재개에 전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발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호주-중국 정상회담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이후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이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중국을 방문한 것도 '긍정적 발전'이라고 밝혔다. 샤오첸(肖千) 호주 주재 중국 대사는 올해는 중국과 호주가 전면 전략 파트너 관계를 수립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며 중국과 호주 관계의 발전이 중요한 기회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3월 캔버라에서 열린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의 제7차 중국·호주 외교전략대화에서 "중국·호주 경제는 상호보완적이고 잠재력이 크다"며 "지난해 양국 무역액은 성장했고 호주 대외 무역 흑자 중 80% 가까이가 대중 무역에서 나왔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4
  • 젤렌스키 “트럼프 집권하면 우크라이나 희생시킬 수도”
    [동포투데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 우크라이나를 희생시키면서 전쟁을 끝내는 데 동의할까 봐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 경우 트럼프가 '실패한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5월 초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분쟁의 평화적 종식을 위한 세부 계획을 세웠지만 미국 대선 이후까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영토 양보를 통해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시키려는 트럼프의 의도에 대한 가디언의 질문에 젤렌스키는 "그가 정말로 실패한 대통령이 되기를 원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고 했다. 젤렌스키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어 우크라이나를 희생해 전쟁을 끝내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해 보자. 예를 들어 대화에서 푸틴의 확인을 받고 그만하라고 하면 그게 전부다. 우크라이나인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는 우리에게 어떤 지지도 주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의 새 대통령은 세상에 어떤 사람으로 보일까?”라고 말했다. 가디언은 젤렌스키가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제도적인 측면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제로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젤렌스키는 "미국은 더 이상 강대국이 아닐 것이다. 그 결과 다른 나라의 지도자들이 무대에 오를 것이며 제3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4-06-03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목조건축물 순회전 닝바오서 개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2일, 신세계 중국 연합 K11 공예기금회와 닝바오 건조학사(宁波建造学社)가 주최하에 ‘목조건축물 부흥’을 주제로 한 중국 목조건축물 순회전이 닝바오 신세계 닝주센터(宁铸中心)에서 개막되었다고 당일 중신망(中新網)이 보도했다. 목조건축물은 중국 고대의 건축물 중의 중요한 일환으로 수천년래 중국의 건축미학과 설계철학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 닝바오의 목조 건축물은 7000여 년 전 하무나루(河姆渡)의 맹장구조(干阑式木构)에서 발전하여 장뭇 구멍(榫卯) 구조로 파생되어 내려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기나긴 역사의 나날을 거쳐 목조건축물의 공예는 부단히 차원이 높아져 단지 거주수요를 만족시키는 외에도 예술적 미학을 융합해 더욱 감상성이 짙게 만들어졌으며 이 중 천일각(天一阁), 경안회관(庆安会馆), 천동사(天童寺), 자성고건축군(慈城古建筑群) 등은 모두 목조건축물의 대표적 작품들이다. 이 날 개막식에서 신세계 중국 우한(武汉) 지역 총경리 장옌(张燕) 여사가 개막사를 하였다. 그는 개막사에서 이번 중국 목조건축물 순회전은 목조 부흥에 대한 초심을 갖고 기획된 목조건축물 전시회이며 그 취지는 고전 목조건축물이 현대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 최신 작품을 보여주는 것으로 천년의 동양 목조건축물 미학을 사회에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3
  • 中, 12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7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2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7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감염자 7명(광둥 3명, 상하이 2명, 톈진 1명, 후난 1명)은 모두 해외 입국자 이고 본토 신규 확진자와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5명,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249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2일(24시 기준)까지 확진자는 184명(무중증), 사망자는 총 4636명, 누적 확진자는 9만0034명으로 집계됐다.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242명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210명(퇴원 1만711명, 사망 203명), 마카오 특별행정는 48명(퇴원 47명), 타이완 지역은 984명(퇴원 942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3
  • 中 하이난 완닝 파인애플 수확 분망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11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최근 중국 하이난성 완닝시(海南省万宁市) 전 역이 파인애플(菠萝) 수확계절에 진입, 본지 기업과 농가들에서는 일꾼들을 적극 조직하여 파인애플을 수확하고 있는 상황으로 파인애플 재배지마다 한결 분망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 10일, 완닝시 룽군진 펑웬촌(龙滚镇凤园村)에서 일꾼들이 수확해온 파인애플을 집중 정리하고 있는 모습이다.(사진=신화사)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2
  • 그리스 총리, 최연소 코로나19 환자 사망에 애도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10일, 그리스 언론에 따르면 8일 그리스에서 태어 난지 한 달밖에 안 되는 남자아이가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요절되는 가슴아픈 일이 발생, 국가총리 키리아코스 미조타키스가 이 최연소 코로나19 환자의 사망에 애도를 표했다. 키리아코스 총리는 이 날 “극히 상심되는 것은 오늘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이래 태어난 지 37일밖에 안 되는 영아가 17일간 코로나19란 병마와 싸우다가 사망한 것”이라고 자신의 심정을 표하고 나서 또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오늘의 비애는 참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리스 보건부에 따르면 이 남자아이는 지난 2월 중순 수도 아테네의 한 아동병원으로 이송 당시 발열증상이 있었다. 입원 당일 직접 중증보호실에 들어갔으며 지난 3월 7일에 사망하였다. 현재 그리스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약 20만 6000명이고 누적 사망자는 근 6800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3-12
  • OECD,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5.6% 상향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현지 시간으로 지난 9일, 세계 경제협력 및 발전 기구(OECD)는 2021년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5.6%로 상향 조정했다. 당일 OECD는 발표한 최신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점차 확대됨과 아울러 많은 국가들에서 경제 성장 자극 계획을 포치하면서 글로벌 경제의 전경이 개선될 조짐을 보인다고 언급했다. OECD는 2021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2%에서 5.6%로 상향 조정, 동시에 2022년의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7%에서 4%로 상향 조정하였다. 보고서는 또한 글로벌 경제 산출을 2021년 연 중으로 코로나19 폭발 전의 수준을 초과할 수 있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OECD는 동시에 글로벌 경제의 전망에 대해 여전히 거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현재 각 국가들에 있어서 가장 관건적인 조치는 필요한 자원을 생산과 백신 접종을 확보하는 것에 사용해야 한다고 인정, 만약 백신 접종 진척이 완만하거나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가 백신 효과에 영향을 줄 경우 경제성장이 다시 완만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OECD의 수석 경제학자 로렌스 분은 “만약 한 국가가 실시하는 백신 접종 진척이 빠르면 이 국가는 곧 경제 재 가동이 빨라질 수 있다"라고 하면서 예하면 유럽 같은 대륙은 마땅히 계속 백신 접종 진척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인정했다. OECD는 또 발달 국가에서는 백신의 생산과 배분에서 마땅히 빈곤 국가에 대한 지지 역도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강조하였다. 한편 OECD는 2021년 대부분 경제체의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2021년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3.2%에서 6.5%로 상향 조정, 이는 미국이 출범하기로 한 1.9억 달러의 경제계획에 기초한 것이다. 보고서는 대규모 경제 성장 자극 계획이 미국을 도와 더욱 많은 취업 기회를 마련할 것이라고 인정하면서도 미국에서 통화팽창률이 상승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OECD는 또한 유로 지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 유로 사용 지역의 2021년과 2022년 경제 성장률을 각각 3.9%와 3.8%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이어 2021년에 들어 일본 경제는 2.7%, 한국경제는 3.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3-12
  • 中, 11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9명
    ▲충칭공항은 출입국 여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1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9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감염자 9명(상하이 3명, 광둥 2명, 쓰촨 2명, 허난 1명, 산시 1명)은 모두 해외 입국자 이고 본토 신규 확진자와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추가 의심환자 1명은 해외 입국자로 상하이에서 발견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8명,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435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1일(24시 기준)까지 무중증 확진자 182명, 사망자는 총 4636명, 누적 확진자는 9만0027명으로 집계됐다.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176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150명(퇴원 1만695명, 사망 203명), 마카오 특별행정는 48명(퇴원 47명), 타이완 지역은 978명(퇴원 936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2
  • 中 항저우 세관, 청조(淸朝)용포ㆍ명조(明朝)불상 압수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9일, 중국 항저우 세관(杭州海关)에 따르면 최근 항저우 세관 소속 항저우 샤오산 공항(萧山机场) 세관에서 압수했던 ‘면 자수 여성상의(棉质刺绣女装上衣)’와 ‘구리장식품(铜摆件)’이 전업기구의 감정결과 청조의 용포(清代龙袍)와 명조의 불상으로 밝혀졌다. 이 중 청조의 용포는 가치가 15만 위안, 명조의 불상은 가치가 3만 위안에 달했다고 10일 중국언론이 보도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1
  • 아시아‧유럽 여러 국가, 코로나 19 안정세 보여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들어 아시아‧유럽 여러 국가들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러시아과학원 통신원사 알렉산드르 고렐로프에 따르면 최근 주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규정을 준수하고 여러 가지 방호조치의 실행과 광범위한 백신접종 등으로 러시아 코로나19 상황은 많이 호전되고 있다. 당일 러시아 방역지휘부는 러시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079명으로 지난해 10월 1일 이래 최저치를 기록, 누적 확진자는 435만 1553명, 누적 사망자는 9만 275명, 누적 완치자는 394만 5527명이라고 밝혔다. 10일, 벨라루스 보건부가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당일 벨라루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09명, 누적 확진자는 29만 8123명, 누적 사망자는 2063명, 누적 완치자는 28만13명이었다. 벨라루스 보건부 관계자는 수도 민스크는 얼마 전부터 교육종사자들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했으며 이제 곧 장애인, 아동복지원과 양로원 등 기구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게도 접종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벨라루스 전역 코로나19 상황은 하강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방역조치를 해제하지 않고 있으며 주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기타 위생방역 규칙을 지키고 있다. 10일, 우크라이나 보건부에 따르면 당일 우크라이나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377명을 기록, 누적 확진자는 141만 6438명, 누적 사망자는 2만 7423명, 누적 완치자는 120만 4916명이었다. 당일, 우크라이나 보건부 차장 이바셴코는 “우크라이나 위생부는 이미 중국 커싱회사(科兴公司)의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 등록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커싱회사의 백신은 우크라이나 보건부가 승인한 3번째 코로나19 백신이며 그 이전에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회사와 미국 화이자 회사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 등록신청을 승인했다. 10일, 몽골국 매체에 따르면 당일 몽골국 부 총리 겸 국가 비상사태위원회 위원장 아마르사이칸은 당일부터 국립 2병원에서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몽골국은 오는 7월 1일 전으로 약 200만 명에 달하는 국민들에게 백신접종을 마칠 계획이다. 10일, 몽골국 보건부가 공포한 집계에 따르면 전 날 몽골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9명, 모두 본토사례로 신규 확진으로는 최고 기록을 작성했다. 현재 몽골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3481명, 누적 사망자는 7명, 누적 완치자는 2797명이었다. 10일, 카자흐스탄 보건부에 보고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93명, 누적 확진자는 22만 18명, 누적 완치자는 20만 3467명이었다. 카자흐스탄 보건부 유행병학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카자흐스탄의 누르술탄시와 알마티시에서 코로나19 전파위험이 상승, 당일 알마티시에서는 격리제한 조치를 강화한다고 선포하면서 모든 모임 활동을 금지시켰다. 10일, 키르기스스탄 코로나19 예방통제 지휘부가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당일 키르기스스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4명, 누적 확진자는 8만 6640명, 누적 사망자는 1476명, 누적 완치자는 8만 3666명이었다. 지난 9일, 키르기스스탄 보건부 공공위생 책임자 악마토바는 매체에 향해 지난 2개월 간 자국의 코로나 19 상황은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10일, 우즈베키스탄 보건부에 보고된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21명을 기록, 누적 확진자는 8만 268명, 누적 사망자는 622명,누적 완치자는 7만 8994명이었다. 지난 9일, 우즈베키스탄 보건부 비서 시나예프는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코로나19 추세는 안정과 함께 날로 호전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10일, 그루지야 정부 코로나19 상황 사이트에 따르면 당일 그루지야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13명, 누적 확진자는 27만 3650명, 누적 사망자는 3613명, 누적 완치자는 26만 7111명이었다. 그리고 당일, 아르메니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40명, 누적 확진자는 17만 5538명, 누적 사망자는 3237명, 누적 완치자는 16만 5259명이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3-11
  • 中, 10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11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0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11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중 해외 유입 감염자는 11명(상하이 5명, 쓰촨 3명, 광둥(廣東) 2명, 푸젠(福建) 1명)이고 본토 신규 확진자와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7명, 의학적 관찰을 해지한 밀접접촉자는 235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0일(24시 기준)까지 무중증 확진자 181명, 사망자는 총 4636명, 누적 확진자는 9만0018명으로 집계됐다.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154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128명(퇴원 1만675명, 사망 203명), 마카오 특별행정는 48명(퇴원 47명), 타이완 지역은 978명(퇴원 936명, 사망 10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3-11
  • 핀란드, 분사형 비강 코로나19 백신 연구 개발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지난 8일,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는 동핀란드 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일종 비강 내에 분사하는 코로나19 백신을 연구 개발, 수개월에 달하는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분사식 코로나19 백신은 유전자 이전기술을 기초로 개발된 것으로 코로나19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기에 이 백신은 비강 내에 분사하게 되며 이렇게 하는 것은 근육주사보다 더욱 광범위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핀란드 현지 언론에 따르면 헬싱키 대학교와 동핀란드 대학교 연구팀이 이 분사식 백신의 연구 개발에 참여, 연구팀은 또 회사를 설립해 이 백신의 보급을 책임졌으며 이제 향후 수개월 내에 핀란드 본토에서 이 백신의 임상시험을 전개하게 된다. 한편 이 연구팀 책임자이며 핀란드 대학교 분자의학 교수인 Seppo Yla-Herttuala는 언론을 향해 일부 국가들에서는 이미 이 연구팀에 융자를 제공하기로 언약했으며 목적은 먼저 이 백신의 사용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3-1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