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10개국 외무장관, 북한에 러시아로의 무기 수출 중단 촉구
    [동포투데이]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10개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이 우크라이나에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규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미국, 유럽연합 외무장관은 5월 31일 북한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우리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서방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과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재확인했지만 새로운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달 초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에 관여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은 부정확하며 러시아와 북한 관계는 제3국을 겨냥한 것도 아니고 지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북한에 모든 핵무기, 탄도 미사일 및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성명은 외교적 채널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10개국 외교 장관의 성명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훈련 중 단거리 탄도 미사일 18발을 발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휘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체는 북한군이 언제든지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에게 인식시키고 적의 대북 무력사용 시도에 대응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1
  • 야스쿠니 신사 돌기둥에 '화장실' 낙서… 경찰 수사 착수
    [동포투데이] 야스쿠니 신사 입구 근처 '야스쿠니 신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돌기둥에 '화장실'이라는 영문 글자가 빨간색으로 쓰여져 있는 것을 경찰이 현장에서 확인했다 1일 오전 6시쯤(현지시간) 일본 도쿄 야스쿠니 신사의 돌기둥에 낙서가 새겨져 있다는 행인의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경찰은 현장에서 '야스쿠니 신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야스쿠니 신사 입구 근처 돌기둥에 빨간색 스프레이 페인트로 영어로 '화장실'이라는 단어가 쓰여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경찰은 현재 이 사건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푸틴, 쿠데타에 직면? 전문가가 밝힌 징후
    [동포투데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오랫동안 전쟁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양측 모두 군사 자원을 계속 고갈시키고 있고 러시아 경제는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다. 최근 쿠데타의 조짐을 감지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군 지도부의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뉴스위크는 최근 모스크바가 대규모 뇌물 수수 혐의로 다수의 고위급 군 장교를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러시아 제58군단 전 사령관이었던 이반 포포프 소장이 러시아 군을 비판한 후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 포포프의 체포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러시아군 병참을 연구한 적 있는 전 미 국방부 관계자인 트렌트 텔렌코는 5월 22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 올린 글에서 "남부군 제58군단의 포포프는 몇 안 되는 유능한 러시아 장군 중 한 명"이라고 밝혔다. 그는 푸틴이 그를 쿠데타로부터 막기 위해 보직에서 해임했다"라고 말했다. 고위층의 변화로 인해 제기된 우려에도 불구하고 체포 및 해임 발표 외에 쿠데타가 임박했다는 주장을 입증할 만한 실질적인 증거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4-06-01
  • 트럼프, 미 역사상 첫 유죄 평결받은 전 대통령
    [동포투데이]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에 따르면 30일(현지 시간)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성 추문 입막음 돈' 의혹 사건 형사재판의 배심원단 12명은 만장일치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34개 혐의에 대해 ‘유죄’라고 평결했다. 트럼프에 대한 형량은 7월 11일에 확정될 예정이다. 이로써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유죄 평결을 받은 첫 전직 대통령으로 되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포르노 스타 대니엘스가 2006년 트럼프와 불륜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당시 개인 변호사인 코헨을 통해 '입막음 돈'으로 13만 달러를 지급한 뒤 뉴욕주 및 연방 선거법 위반을 은폐하기 위해 해당 비용을 '변호사 수임료'인 것처럼 위장해 회사 업무 기록을 조작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트럼프의 중범죄 혐의 34건이 모두 유죄로 인정되면 최고 4년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트럼프 본인은 혐의에 대해 정치적 동기가 있다며 유죄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포르노 배우와 성관계를 한 적이 없으며, 가정 불화를 막기 위해 '입막음 돈'을 줬다고 주장해 왔다. 또 이는 대선과는 무관한 일이라는 입장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30일 평결 직후 이번 재판은 바이든 정부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지시한 것이라며 무죄를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5-31
  • 美 유색인종-소수계층 괴롭히는 강제 노동
    [동포투데이] 뉴욕 등 미국 일부 지역에서 하루 24시간 일시키고 임금 일부만 지급해도 합법적이다. 이런 부당한 대우를 받는 사람은 대부분 유색인종과 소수계층 출신인 가사도우미라고 복수의미 언론이 보도했다. 유색인종과 소수계층은 미국에서 여전히 강제 노동, 인종차별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정부가 착취당하는 그룹의 기본 권익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분노와 증오는 계속하여 축적되어 일부 사람들이 극단적인 행동을 유발해 장기적으로 인종 갈등이 심화될 것이다. 24시간 근무제란? 미국의 문화 및 금융 중심지인 뉴욕시와 그 소재지 뉴욕주의 현행법에는 근로시간 상한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큰 허점이 있다.고용주가 하루 24시간, 7일 연속 근무를 요구해도 불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뉴욕주에는 현재 약 56만 명의 가사도우미가 스스로 삶을 영위할 수 없는 환자와 노인을 돌보고 있다. 이들 중 중환자 대부분은 식사 대접, 욕창 드레싱, 휠체어 밀기, 기저귀 바꾸기 등을 포함하여 24시간 동안 보살펴야 하며, 일부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개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매 순간 간호를 받아야 한다. 뉴욕의 가사도우미는 대부분 아시아계, 라틴계, 아프리카계 등 유색인종-소수계층 여성이며, 이들은 24시간, 72시간, 심지어 그 이상으로 계속 일해야 한다. 라틴계 크리스토퍼 마타이 뉴욕시의원은 인종차별과 강제 노동 등이 미국에서 여전히 만연해 있다고 털어놨다. 패스트푸드점, 테이크아웃 배달원, 택시운전사 등 뉴욕 도시의 운영을 지탱하는 대부분의 일은 유색인종과 소수계층이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은 노동을 통해 기본적인 생활비를 벌려고 하였지만, 법률상 허점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오랫동안 일하고 정당한 보수를 받지 못하고 있다. 마타이는 또한 일부 비인도적인 관행은 미국의 모든 업계에 퍼져 일부 회사는 근로자들이 화장실에 가는 것도 허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현상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어 '현대판 노예제'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테이는 "미국 역사를 돌이켜보면 그 발전의 역사가 체계적인 인종차별의 역사임을 쉽게 알 수 있다"며 "이는 오늘날 미국 사회에서 여전히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영원히 유색인종과 소수계층이 밑바닥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노예제를 법적으로 폐지했지만 흑인에 대한 차별은 아직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5-31

실시간 뉴스홈 기사

  •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9월 29일, 2020년 중국농부풍수축제 계열활동인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및 제5회 김치문화관광축제가 비암산문화관광풍경구에서 개막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1
  • 조선족 음식, ‘2020 요양 제2회 양평 미식문화축제’ 인기몰이
    [동포투데이] 9월 25일부터 10월 5일까지 지속되는 ‘2020 요양 제2회 양평 미식문화축제’에 총 180개 미식 업계와 상품 판매 업체가 참가했다. 그중 9개 조선족 음식점이 행사에서 조선족 음식의 별미를 선보였고 현장에서 불고기를 비롯한 요리 퍼포먼스도 진행하여 많은 고객들의 발길을 잡았다.(오정국)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1
  • 제26회 대련시조선족민속문화예술축제 성황리에
    [동포투데이] 9월 26일, ‘새 시대를 향하여·해변의 아리랑’을 주제로 한 제26회 대련시조선족민속문화예술축제가 대련해창동방수성 성마가광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장홍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1
  • 세계 첫 에이즈 완치 자 암 재발로 사망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일, 중국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지난 9월 30일 국제 에이즈 치료 협회는 성명을 발표하여 ‘베르린 환자’로 불렸던 세계의 첫 에이즈 완치 자 티모시 브라운이 암 재발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아디바카마루자만 국제 에이즈 협회장은 이를 두고 “우리는 티모시와 그의 의사 그로 허틀에게 감사를 드리며 그들이 에이즈는 그 치료가 가능하다는 개념의 대문을 열어 준 데 대해 감사를 드린다”고 언급했다.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수개 월래 브라운은 줄곧 재발한 백혈병과 싸웠으며 아울러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팜스프링 호텔에서 임종 전의 투병생활을 해왔다. 1966년 미국에서 출생한 브라운은 국제적으로 공인하는 세계의 첫 완치된 에이즈 환자였다. 그는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주거할 때 에이즈 환자로 진단받았고 2006년에는 또 급성 골수 성 백혈병으로 진단받기도 했다. 그 이듬해 브라운은 베를린에서 방사 성 요법과 간세포이식을 받고 에이즈와 백혈병 증상이 모두 사라졌다. 간세포 이식을 한 후 브라운은 얼마 안 되어 에이즈 항레트로 바이러스 약물치료를 멈추었으나 체내에서는 그 어떤 에이즈 바이러스도 발견되지 않았다. 바꾸어 말하면 완치되었던 것이다. 브라운의 경력을 보면 에이즈는 언제인가는 그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표명하며 이는 에이즈 치료연구에서의 일련의 추동 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브라운의 에이즈 완치 10여 년 후 ‘런던 환자’로 불렸던 에이즈 환자 아담 카스틸레호가 간세포 이식 치료를 받았으며 그 역시 오랜 기간 동안 체내에서 활성 에이즈 바이러스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그는 세계의 두 번째로 완치된 에이즈 환자로 되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상 2명 에이즈 환자가 치료를 접수한 공통점은 간세포를 기증한 사람의 CCR5 접수 체에 보기 드문 변이가 출현, 인체로 하여금 에이즈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이 산생되게 하여 에이즈 바이러스가 숙주세포(宿主细胞)에 침투할 수 없게 했던 것이다. CCR5는 에이즈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하는 주요한 착안점이었다. 연구인원들은 간세포이식이 면역세포로 하여금 CCR5가 접수하지 않은 세포를 바꾸는 것으로 치료 후 가능하게 환자의 체내에 에이즈 바이러스가 재생할 수 없게 된 원인으로 된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브라운과 아담 카스틸레호의 치료방법이 대규모 에이즈 환자를 완치시키는 절대적 책략은 되지 못하겠지만 에이즈 연구 및 치료에서 완치의 요법을 탐색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될 수 있다고 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01
  • 국경절 맞는 中 베이징의 이채로운 거리의 화단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10월 1일은 중국의 중츄제(中秋节)이자 국경절이다. 9월 30일, 중국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국경절을 맞는 중국 베이징(北京)의 곳곳은 명절분위기이다. 특히 창안제(长安街) 연선에는 중국의 발전과 역사성 성과를 보여 주는 주제화단(主题花坛) 10 곳이 선보여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목을 잡고 있었다. 그 10 곳의 주제화단들로는 창안제 둥단로(东单路) 입구의 ‘중화미덕(中华美德)’ 화단과 ‘질 높은 발전(高质量发展)’ 화단, ‘생태문명’ 화단, ‘안거낙업(安居乐业)’화단 그리고 시단로(西单路) 입구의 ‘운명공동체’ 화단, ‘중지성성(众志成城 - 많은 사람 뭉치면 성을 이룬다는 뜻)’ 화단 등이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1
  • 코로나19 사망환자 100만 명, 고통스런 ‘이정 비’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중신망에 따르면 뉴욕 현지시간으로 29일, 유엔 사무총장 구트레이스(Gutherres)는 성명을 발표하여 코로나 19로 세계에서 100만 명이 사망한 것은 ‘고통스런 이정 비’이라면서 최근 들어 이 질병이 더욱 창궐하여 ‘설상가상’이라고 언급했다. 이어서 그트레스는 100만 명이라는 사망사례는 ‘상상할 수 없는 것으로 그들은 모두 부모, 아내와 남편, 형제자매 그리고 친구와 동료들로서 이 질병의 창궐 성 정도에 더욱 고통스럽다. 감염의 위험은 가족마저도 같은 방에서 생활하기 어렵게 만들며 애도와 경축 활동마저도 불가능으로 만들고 있다’고 했다. “질병의 전파는 실업과 교육의 중단 및 우리생활의 생활로 하여금 최악에로 치닫게 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반드시 책임감 있는 지도, 합작 및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 예방조치를 통하여 코로나 19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편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이 발표한 실시간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9월 29일까지 세계의 코로나 19 확진사례는 3336만 건, 누적 확진사례는 100만 건을 초과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01
  • 中 운남, 평화와 안녕 수호의 ‘강철 ‧ 비수 부대’ 탐방기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이 곳을 지키고 있는 중국인민 무장경찰부대 운남 총 부대 모 지대(支队) 기동 1중대는 홍색혈맥을 이어가면서 새 시대의 ‘강철 ‧ 부대’로 중국의 서남 변경에서 국가와 인민의 평화와 안녕을 수호하고 있다. 영예 하나의 군용물통에 여덟 개의 구멍이 났고 물통 입구는 탄알에 맞아 두 조각으로 되었으며 물통 전체는 완전히 변형되었다. 무장경찰 운남 총 부대 모 지대 기동 1중대의 천막의 영예 진열대에는 40여 년 전 작전 행동 중 사병들이 사용하던 물통 하나가 있었으며 중대장 왕학해(王学海)의 눈에는 그 물통이 더 없는 ‘보배 중의 보배’였다. “그 한 차례 전투에서 연대의 장병들은 명령을 받고 가장 완고한 31호 고지를 향해 맹렬한 공격을 개시했다. 적탄이 빛 발치 듯 날아오는 가운데 장병들은 앞 사람이 쓰러지면 뒤 사람이 이어가면서 적진을 향해 돌진했다……” 왕학해의 추억이었다. 전투에서 용맹했고 전과가 탁월하여 1979년 9월, 이 연대는 중국 중앙군위로부터 ‘강철 ‧ 비수 련’이란 영예칭호를 수여받았다. 연대 건립 83년래 이 연대는 선후로 금기, 상장 237개를 획득, 매 영예의 배후에는 한 입으로는 다 못할 이야기들이 숨어있었다. 1964년 7월 ‘강철 ‧ 비수 련’이 소속 퇀은 진사장(金沙江)에서 무장을 지닌 채 수영도하 훈련을 강행, 연대 장병들은 분분히 폭이 300여 미터가 되는 강물에 뛰어들었고 15분이 채 되지 않아 모든 장병들이 순리롭게 대안에 도착하였다. 2012년 10월의 어느 날, 중대는 당지 공안기관과 배합하여 연합방지행동 임무를 청구, 경외에서 귀국한 1명의 마약 밀매 업자를 나포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현장에서 그 마약 밀매 업자는 칼을 휘두르면서 주변의 인민대중들의 생명안전을 직접 위협하였다. 상황은 매우 위급하였다. 이 때 지도원 곽오곤은 큰 소리로 외치면서 그 마약범죄자한테 맹호같이 덮쳐들었고 미구하여 그 자를 제압하였다. 중대는 성립 이래 선후로 100여 차에 달하는 전투에 참가하여 단체 특등공 2차, 대공 2차, 1등공 2차, 2등공 2차, 3등공 32차 세웠다. 전승(传承) 2008년 12월, 당시의 지도원 나홍(罗红)은 해발 3500미터 되는 고원에서 ‘표병 연대’의 영예를 되찾아 오지 못할 때는 나 나홍이 주동적으로 사직할 터라고 선서하였다. 연속 12년간 ‘표병 연대’로 평선되었던 ‘강철 ‧ 비수 련’은 2008년 12월에 있은 ‘표병 연대’ 평의에서 그만 낙방되어 ‘만도 련(弯刀连)’이란 조롱을 받았었다. 그 때 갓 기관으로부터 내려와 임직한 나홍은 장병들을 이끌고 2년 간의 와신상담(卧薪尝胆) 끝에 드디어 이 영예를 도로 찾아왔으며 그 뒤부터 이 ‘강철 ‧ 비수 련’은 해마다 상급의 엄혹한 시험에 통과되어 ‘표병 단위’로 평의되었고 더 이상 그것이 중단되지 않았다. “손에 잡은 총칼, 절대 날려 보낼 수 없고, 뽑아 든 강철의 칼 예리하고 맞설 자 없다(钢刀在握、坚不可摧,钢刀出鞘、锐不可当)” 이는 이 중대 장병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이다. 가시덤불을 헤치며 전해 내려온 ‘강철과 비수의 정신’- 지금도 이 정신은 새 연장이 임명될 때마다 넘겨받는 첫 번째 과제로 되는 영광의 중대사였으며 매번 신병이 연대에 합류할 때마다 배우는 첫 번째 과목은 바로 이 ‘강철과 비수의 정신’이었다. 상사 노학량의 기억 속에는 ‘강철 ‧ 비수 련’에 도착 배치되었을 때의 특수한 ‘환영의식’을 영원히 잊을 수 없었다. 연대의 전체 장병들이 200여 폭의 금기(锦旗), 상장 등을 들고 나와 길 양 옆에서 환영했던 것이다. “이렇듯 역사가 깊은 연대였기에 나는 자신 전부의 힘을 바치어 연대를 위해 재차 영광을 떨치리라 맹세했습니다.” 노학량의 말이다. 2014년 샹그릴라 현 쇼중덴 진(香格里拉县小中甸镇)에서 산불이 일어났을 때 중대는 소식을 접하고 출동, 4개 주야로 분투하여 40여 킬로미터에 달하는 길이의 산불을 박멸시켜 5000여 만 위안의 경제손실을 만회시켰다. 그해 7월 샹그릴라 현 상장 향(上江乡)에서 산골홍수가 터졌을 때에도 중대는 제 1 시간으로 홍수방지 제 일선으로 달려갔다…… “빨리 오세요. 사람 구해주세요…” 지난 3월 16일, 40여세에 돼 보이는 중년 여성 한 명이 중대 주둔지로 달려와 근무하고 있는 초병한테 구조를 요청했다. 사연인즉 중대 주둔지에서 5킬로미터 상거한 산길에서 승용차 한 대가 뒤집어지며 길 아래 도랑에 처박혔고 차안에 1살 되는 어린애와 70여세가 되는 노인 한 명이 갇혀있었던 것이다. 당시는 공교롭게도 코로나 19 예방 통제의 관건 시기라 중대 장병들은 방호복을 착용하고 행동하는 한편 보고하는 것으로 제때에 노인과 어린애를 구출하는데 성공하였다. 재출발 불같은 뙤약볕 아래 줄 지어 늘어선 천막들은 푸른 하늘 아래 각별히도 눈부시었다. 2018년 초, 중대는 기동중대로 개편, 장병들은 정들었던 병영을 떠나 천리 밖의 서남 변경에서 주둔하면서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작전임무와 새로운 훈련과목에 직면하여 중대 장병들은 기다리지도 누구한테 의거하지도 않았다. 장병들은 임무의 수요에 따라 ‘장애물을 설치하여 가로 막고, 현장에서 대기하며 포위망을 좁혀 차단 한다(设卡堵截、蹲点守候、拉网遮断)’, ‘포위와 타격을 결합하고 심리전으로 항복을 권고하며 격리하여 관제 한다(围打结合、攻心劝降、隔离管制)’는 등 10가지 작전 훈련법을 총화하여 전투력의 생성을 유력하게 추동하였다. 입대한 지 이미 16년에 달한다는 노병 양호림은 지난해에 이 ‘강철 ‧ 비수 련’으로 배치받아 왔다. “갓 왔을 때 저의 나이는 물론 부대 연한까지 제일 많았지만 뭘 하나 저는 항상 제일 마지막 서열이었습니다.” 기술병종으로부터 보병으로 되면서 양호림은 가끔씩 실수가 있었다. 갓 왔을 때 그는 전등을 끄자마자 곯아떨어졌다. 세 번째로 되는 날, 중대 몇몇 장병들이 훈련이 결속되자 재차 헬스장에 가서 운동하게 하는 ‘벌’을 받게 되었는데 양호림도 그 명단에 속했다. 이러한 분위기의 영향으로 양호림은 매일 아침 남보다 30분 먼저 기상해서는 연대 집단체조 전에 먼저 5000미터 달리기를 견지, 3개월도 되지 않아 양호림은 자신의 강한 자질로 1반 반장으로 되었다. 2019년, 중대장 왕학해의 아내가 임신하였는데 신체가 몹시 허약했다. 그리하여 왕학해 중대장이 휴가를 맡아 아내를 돌보려고 하던 시기에 공교롭게도 중대가 표병 중대 선발시험에 참가하라는 통지를 받게 되었다. 전우들은 분분히 그더러 먼저 집에 가보라고 권했다. 하지만 왕학해는 묵묵히 가정의 일을 남모르게 배치하고는 결연히 중대에 남기로 결정했다. “시험이 관건이다. ‘강철 ‧ 비수 련’의 영예가 나를 수요한다.” 아름되는 무거운 원목을 메고, 타이어를 뒤번지고…실전의 수요에 근거하여 왕학해는 장병들을 이끌고 산지에서 답을 찾았다. 암석에 올라 격투하고 정찰 폭파하는 등으로 하나 또 하나의 고 난도, 고 위험 과목을 소화하여 그 요령들을 연마해냈다. 착실하고도 억센 훈련으로 중대는 각 항 시험 총 평의에서 우수의 성적을 맞았고 ‘기층건설 표병 중대’로 표창받았으며 40년 만에 재차 단체 1등 공을 세우기도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1
  • 추석맞이, 도란도란 송편 빚기!
    [동포투데이]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신선호)는 9월 30일(수) 추석을 맞이하여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란도란, 송편 빚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번 ‘도란도란, 송편 빚기’ 프로그램은 코로나 여파로 인해 현장체험학습을 다녀오지 못한 1~2학년 학생들에게 다양한 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대체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은 각 교실에서 친구들과 삼삼오오 짝을 지어 고운 빛깔의 삼색 송편을 빚었다. 송편 만드는 법을 함께 배우며, 따뜻하고 풍성한 한가위에 대해 배우고 느끼는 뜻 깊은 시간이었다. 신선호 교장은 “이날 행사는 코로나-19로 위축된 우리들 마음에 풍요롭고 넉넉한 추석을 담아보는 따뜻한 시간이 되었을 것이다. 이번 송편 빚기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전통을 경험해보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10-01
  • 세계는 다자주의와 합리하고 공정한 유엔 필요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올해는 유엔창립 75주년이 되는 해이다. 유엔창립의 75년은 인류사회가 신속하게 발전한 75년이고 국제형세가 심각한 변화를 일으킨 75년이며 다자주의가 쾌속 발전한 75년이다. 오늘의 세계는 100년 간 없었던 대 비상시국에 들어가 있으며 인류는 이미 서로 연결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시대에 진입, 각 국의 이익과 운명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세계적인 위협과 도전은 강 유력한 전 지구적 대응이 수요 된다. 새로운 형세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여 세계는 어떤 유엔이 수요 되는가? 9월 28일, 중국관영 신화통신은 글로벌 온라인(全球连线)으로 유엔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 인사들의 목소리를 담아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는 합리하고 공정한 유엔을 수요  브라질 바가스 재단 브라질 - 중국 연구 센터 장 에반도르 카르받류 : 경제, 정치와 군사 실력의 여하를 막론하고 모든 나라가 국제 시스템 내에서는 마땅히 주권의 평등원칙이어야 한다. 이래야만 비로소 유엔의 공신력에 유조하며 국제관계의 민주화를 추진할 수 있다. 오직 견정하게 다자주의를 지지하고 국제사무에서의 유엔의 핵심작용을 지지해야 다자주의는 더욱 효력 있게 보호주의와 투쟁할 수 있다. 멕시코 푸에블라 공훈 자치 대학교 중국문제 전문가 라켈 레온드 라 로사: 일방주의는 출로가 없다. 국제사회는 유엔창립 75주년을 기념하는 것을 계기로 다자주의에 대한 견정한 지지를 재 언급해야 한다. 대국과 소국은 상호 존중해야 하며 일률로 평등하다는 것은 유엔 헌장의 초심 원칙이다. 유엔은 발전 중 국가의 대표성과 발언권을 절실하게 제고시켜야 하며 유엔으로 하여금 대다수 국가의 염원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 주중 네팔대사 리라 마니 보들 : 소수국가의 일방주의, 보호주의 및 패륜행위에 직면하여 국제시스템과 국제질서가 엄중한 충격을 받고 있기에 각 국은 마땅히 다자주의를 견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유엔을 핵심으로 하는 국제질서를 유지해야 하며 국제사무 중에서 유엔이 핵심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지지해야 한다. 그리고 유엔으로 하여금 다수 국가 특히 발전 중의 국가를 위해 공정한 입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인류운명의 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을 추동해야 한다. 세계는 엄격히 법치를 이행하는 유엔을 수요 미국 쿤 재단 이사장 로버트 로렌스 쿤 : 유엔창립 75주년을 맞고 있는 오늘, 다자주의가 초유의 도전에 직면, 국제사회는 유엔창립의 목적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다. 평화는 기왕지사가 아니고 미래 창조되어야 하는 기회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유엔을 대표로 하는 다자주의는 당면 세계를 양호하게 운영할 수 있는 유일한 경로이며 주요 대국들은 앞장서 국제법치의 창도자와 수호자로 되어야 한다. 아프카니스탄 ‘카불타임즈’ 주필 하미둘라 아레피 : 유엔 헌장의 취지와 원칙은 각 국이 국제관계를 처리함에 있어서의 거울이다. 유엔은 그 어떤 국가가 국제사무를 지배하거나 기타 국가의 운명을 조종하게 해서는 안 되며 세계 각 국에서 전쟁과 동란의 적의와 도발행위가 초래되는 것을 많은 노력을 하여 해소시켜야 한다. 그리고 공정과 상호 존중의 환경을 창조하고 국제조약과 국제법 규정의 의무가 절실하게 이행되게 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정치과학 협회 회장 발레리 미하일로비치: 유엔은 조정과 개혁을 다그쳐 불합리한 과거의 기제를 폐지하고 제도와 규칙을 통과하여 각 국의 관계와 이익을 조정해야 한다. 대국은 솔선 적으로 주권평등 등 원칙을 지키고 타국의 내정을 간섭하지 말아야 하며 분쟁 등은 국제관계의 기본준칙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또한 국제법의 권위성과 엄숙성을 수호하는 한편 선두 적으로 유엔 헌장을 이행하면서 국제법칙의 수호자로 되어야 한다. 세계는 합작추진의 유엔을 수요 폴란드 ‘트리뷴지(Tribune)’ 주필 피터 가지노프스키 : 세계 적으로 성행하는 코로나 19 및 일방주의와 보호주의의 엄중한 충격에 직면하여 오늘 날 유엔창립의 초심을 더욱 돋보이게 할 필요가 있다. 반드시 명확히 해야 할 것은 우리가 갈망하는 미래는 오직 다자주의와 상호 합작을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지 근린궁핍화(以邻为壑)와 길 막고 담을 쌓기가 아닌 것이며 대화로 충돌을 대체하고 협상으로 협박을 대체하며 공동이익으로 제로섬(零和)을 대체해야 한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립 대학교 국제관계 전문가 모리시오 산토로 : 유엔은 보유한 자원을 국제합작의 가장 중요한 플랫폼으로 하여야 하며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지정 정치긴장, 전염병 대유행, 기후변화 등 허다한 문제 앞에서 국제사회는 마땅히 합심협력 하여 유엔을 핵심으로 하는 국제 시스템을 수호하고 국제사무에서의 유엔의 핵심작용을 지지해야 하며 국제합작을 추동하면서 공동으로 도전에 대응해야 한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생안토니오 분교 정치학 교수 존 테일러 : 국제합작을 추진하는 것은 유엔창립 시기의 초심이며 유엔헌장의 중요한 취지였다. 반대로 일방주의, 보호주의와 고립주의는 세계의 시스템 정비를 엄중하게 위협하고 도전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공동노력을 파괴한다. 현재 세계가 각종 엄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그 어떤 시기보다도 더욱 강대한 유엔이 수요 된다. 세계는 초점집중 행동의 유엔을 수요 프랑스 중국문제 전문가 소냐 브레슬레 : 유엔창립 이래의 75년 간 다자주의가 쾌속 발전하고 각 국 이익과 운명이 긴밀히 연관되었다. 다자주의를 견지하고 합작하여 공동히 도전에 대응하는 것은 이미 국제사회의 광범하고도 일치한 인식으로 되었다. 다자주의를 이행하자면 곧바로 유엔의 초점집중 행동을 지지해야 하며 실제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대화를 추동하고 합작을 추진하는 것으로 공동으로 도전에 대응하는 핵심작용을 발휘해야 한다. 남아프리카 금산대학교 경제 및 상업대학교 학장 잔니 로소우 : 창궐한 코로나 19는 세계의 안정시스템 구축에 엄준한 고험으로 된다. 다자주의를 분명히 견지하는 것은 세계의 안정을 수호하고 공동으로 도전에 대응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각 국은 실제행동으로 유엔이 국제사무에서 핵심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한다. 각 국은 단결 협력하고 운명을 함께 하는 것이 요긴한바 냉전사유와 의식형태의 편견을 버려야 공동번영을 가져올 수 있다. 에콰도르 국가 고등연구원 수석연구원 카탈리나 바레로 : 국제사무 중에서의 유엔의 작용이 최근 년에 와서 약화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각국은 절실하게 행동하여 유엔으로 하여금 다자주의를 이행하고 국제시스템에 대한 엄준한 도전과 중대한 변혁에 대응해야 하는 것이야말로 목전 유엔이 직면한 긴급 사명이라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그리고 각국은 마땅히 다자주의와 국제합작의 중요 승낙을 잘 지키는 것으로 유엔으로 하여금 초점집중 행동으로 세계의 안전시스템을 개선하도록 하게 해야 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09-30
  • 세계은행 올해 중국의 경제 증장률 2% 전망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9월 28일, 세계은행이 발표한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구의 경제형세 예측보고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경제 증장률을 2%로 전망, 지난 6월 초의 1% 증장 예측보다 1% 상향 조절되었다고 뉴욕에서 9월 2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예측보고에 따르면 올해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구의 경제 증장률은 0.9%로 1967년 이래 가장 낮은 증장속도이며 이 지구에서 중국 외 기타 나라의 경제체제는 올해 3.5% 위축될 예측이다. 세계은행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구 수석 경제학자인 마투는 9월 28일 당일 매체와의 전화회의에서 코로나 19는 올해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구의 500만 명의 인구로 하여금 다시 빈궁경지에 빠지게 하였다고 표했다. 그는 또 비록 이 지구의 많은 나라에서 코로나 19를 성공적으로 통제하고 있지만 경제의 소생과 증장을 실현하자면 여전히 노력이 수요 된다고 했다. 세계은행의 예측보고는 2021년의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구 경제전경이 올해보다 좋을 것으로 진단, 코로나 19 백신이 세상에 나오고 지속적인 경제소생과 주요 경제활동이 정상화로 된다면 중국의 경제 증장률은 7.9%에 이를 것이고 이 지구의 기타 경제실체들도 5.1%의 경제 증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9-3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