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5(수)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여성 대통령 선출된 날, 멕시코 여성시장 총격 피살
    [동포투데이] 3일 멕시코 집권 국가재생운동당 연합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선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했다고 발표한 직후 미초아칸주 코티하드 라파초밥의 욜란다 피게로아 여성 시장이 무장세력의 습격을 받아 숨졌다. 멕시코 남서부에 위치한 미초아칸주는 관광업과 농업으로 유명하지만, 이 나라에서 폭력 범죄율이 가장 높은 주 중 하나이다. 3일, 멕시코와 스페인 언론 보도에 따르면 피게로아가 체육관에 들어가려고 했을 때 복면을 쓰고 승합차에서 뛰어내린 괴한들의 습격을 받아 최소 19발의 총상을 입었고, 그의 경호원도 총격으로 부상을 입었다. 미초아칸 주 정부는 성명을 내고 "총격 사건의 배후를 찾기 위해 연방 기관과 협력해 보안 작전을 전개했다"라고 밝혔다. 멕시코 언론은 멕시코 보수당인 국민행동당소속의 피게로아가 2021년 9월 코티야 데 라파초밥의 첫 여성 시장이 된 이후 지역 마약 카르텔로부터 반복적으로 위협을 받아왔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에는 한 무리의 무장 괴한이 시 청사에 침입했다. 피게로아는 작년 9월 23일에도 무장 괴한들에게 길거리에서 납치되었다가 사흘 후 무사히 구출된 바 있다. 당시 피게로아는 몸값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납치가 정치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멕시코 수사기관인 선거연구소가 지난 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멕시코 대선에서 약 38명의 후보가 살해됐고, 후보 및 관계자를 겨냥한 공격이 300여 건 발생했다. 멕시코 언론은 이번 선거를 "역대 가장 폭력적인 선거 중 하나"라고 표현했다. 멕시코의 국가안보 전문가 데이비드 소세도는 이번 선거에서 범죄 이익과 관련된 '정치적 검은돈'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멕시코 정부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멕시코는 2019년에 여성이 연방, 주, 지방 자치단체 차원의 행정부, 입법부, 사법 기관 직위의 50% 이상을 차지하도록 요구하는 성평등 법안을 통과시켰다. 일부 분석가들은 피게로아의 죽음이 셰인바움의 승리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보고 있다. 왜냐하면 후자는 캠페인 기간 동안 범죄와 싸우겠다고 약속했고 멕시코 여성의 생활환경 개선에 전념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5
  • 20여 명 UN 전문가, 각국에 팔레스타인 인정 촉구
    [동포투데이] 3일 유엔 전문가 20여 명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모든 국가들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유엔 국제 질서문제의 독립 전문가인 조지 카터루갈로스, 1967년 이후 점령된 팔레스타인의 인권상황에 대한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 건강권 특별보고관 테라렌 모포켄을 포함한 20여 명의 유엔 전문가들은 공동성명에서 140개가 넘는 유엔 회원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들이 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팔레스타인이 생존 능력과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능력, 안전하고 보장된 민족으로서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 충분한 결정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팔레스타인과 중동지역 전체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가자지구에서 즉각 휴전을 선언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남부도시 라파에 대한 군사침략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수년간 팔레스타인의 국가 수립에 제동이 걸렸지만 팔레스타인은 하나의 국가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지난 5월 28일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 3국 정부가 각각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고,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바하마 등도 이에 앞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다. 지난 5월 10일 제10차 유엔총회 긴급 특별회의는 찬성 143표, 반대 9표, 기권 25표로 팔레스타인이 유엔헌장에 규정된 유엔 회원국 자격에 부합하며, 유엔 회원국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남아프리카 이스턴케이프, 홍수로 최소 10명 사망
    [동포투데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지역에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정부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 지역에서 심각한 홍수로 넬슨만델라베이시티에서만 10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넬슨만델라베이시티 외에도 이스턴케이프주의 다른 많은 지역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보도 시점 현재 카리아가(Cariaga), 게베르하(Geberha), 이스트런던(East London) 등지에서 홍수로 인한 사망자 수는 10명에 이르렀고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5월 31일 이후 이스턴케이프주에서 폭우로 인한 홍수로 교통사고가 여러 건 발생하고 최소 10명이 사망했다. 이스턴케이프 주정부 대변인 요나스 빈크스는 계속되는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지고 가시성이 낮아져 이동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현재 주 비상대응부는 피해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재해 지역에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실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 2022년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에서 홍수가 발생해 8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고 461명이 사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美 현직 대통령 아들 '불법 총기 소지' 재판 시작
    [동포투데이] CNN,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은 3일(현지 시간) '총기 불법 구입 및 소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죄명이 모두 확정되면 최고 25년의 징역형, 75만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올해 미국의 대선 기간 사상초유의 법정공방이 오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정치적 포커스는 미 역사상 처음으로 유죄 평결을 받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 아들로 넘어가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은 헌터 바이든을 허위로 서류를 작성하여 마약중독자임을 속이고 권총을 구매하여 불법소지한 혐의로 기소했다. CNN방송은 "미국과 미국 대통령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그동안 어떤 미국 대통령도 자신의 자녀가 재판을 받는 것을 지켜보면서 나라를 관리한 적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복수의 미 언론들은 이번 재판이 바이든 부통령에게 '무거운 부담'이 되어 재선 레이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헌터 바이든과 트럼프의 법적 딜레마는 미국 정치 제도에 대한 시험이다. 헌터 바이든의 재판이 유권자들에게 트럼프 사건의 '해독제'로 비칠지, '유사품'으로 비칠지는 지켜봐야 한다. 한마디로 이는 미국 정치의 분열과 추악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4
  • 호주 총리 “중국은 주요 무역 파트너... 무역 재개에 전념”
    [동포투데이] 호주 언론 보도에 따르면 5월 30일 호주 농무부 장관 머레이 와트는 중국 시장으로 육류 제품 수출이 중단됐던 호주 5개 소고기 판매업체가 중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회복했다고 확인했다. 중국은 5월 29일 밤 그전에 수입 중단 결정이 내려졌던 5개 기업에 대해 해당 결정을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본토는 여전히 호주 소고기의 세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다. 중국은 지난 15년 동안 호주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 하지만 2020년 스콧 모리슨 호주 전 총리 재임 중, 호주 정부가 맹목적으로 미국을 따라 중국과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파괴하면서 양국 관계가 바닥으로 떨어졌고, 호주의 대중 무역도 큰 영향을 받았다. 중국은 호주의 보리와 와인에 금지성 관세를 부과하고 여러 호주 소고기 공급업체의 수출 자격을 중단했다. 호주 현 정부가 5월 30일에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중국의 제한 조치로 호주 수출액은 206억 호주달러 감소했다. 2022년 노동당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있다. 알바니즈 현 호주 총리는 "중국은 호주의 주요 무역 파트너"라며 "중국과의 무역 재개에 전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발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호주-중국 정상회담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이후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이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중국을 방문한 것도 '긍정적 발전'이라고 밝혔다. 샤오첸(肖千) 호주 주재 중국 대사는 올해는 중국과 호주가 전면 전략 파트너 관계를 수립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며 중국과 호주 관계의 발전이 중요한 기회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3월 캔버라에서 열린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의 제7차 중국·호주 외교전략대화에서 "중국·호주 경제는 상호보완적이고 잠재력이 크다"며 "지난해 양국 무역액은 성장했고 호주 대외 무역 흑자 중 80% 가까이가 대중 무역에서 나왔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4

실시간 뉴스홈 기사

  • 日 '군함도' 전시관은 역사왜곡"..서경덕, 유네스코에 알리다
    ▲많은 관광객들로 붐비는 군함도 투어 유람선 내 모습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일본의 역사왜곡을 전 세계에 알려온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일본 정부가 군함도 역사왜곡 전시관을 개관했다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달 31일 일본 언론들은 도쿄 신주쿠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산업유산정보센터 개관식을 가졌다고 전했다. 전시관에는 일본 근대 산업시설 자료가 전시됐지만 군함도의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한 언급은 빠졌다. 오히려 군함도에서 "조선인 노동자가 주위로부터 괴롭힘을 당한 적이 없다"고 말하는 섬 주민들의 증언 자료 등을 소개하는 등 강제노동에 관한 역사왜곡을 담아 큰 논란이 됐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유네스코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 및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21개 위원국에 일본이 2015년에 약속한 내용을 제대로 이행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정확히 짚어주고 싶었다"고 전했다. 또한 메일에는 2015년 당시 일본의 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대사가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노역을 했다"라고 밝힌 사실을 강조했다. 특히 유네스코의 최대 후원국인 일본의 눈치를 보지 말고, 일본 정부와 우익단체가 더이상 강제노역에 관해 역사왜곡을 할 수 없도록 더 철저히 감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서 교수는 "코로나19로 전 세계의 혼란을 틈타 몇몇 정부 관계자들끼리만 개관식을 가진 자체가 꼼수에 불과하다. 또한 한국 언론사들의 취재도 막는 것을 보면 스스로가 떳떳하지 못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경덕 교수는 하시마 탄광, 다카시마 탄광 등 일본의 강제징용이 있었던 유네스코 시설에 관해 세계적인 언론사 및 포털 사이트에 광고를 집행하는 등 꾸준히 일본의 역사왜곡을 알리고 있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4-23
  • 카자흐스탄 판 '훠선산' 병원 준공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1일 카자흐스탄 B1 건설그룹이 중국 신화사에 제공한 뉴스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판으로 된 한 채의 <훠선산(“火神山)> 응급 전염병 병원이 지난 20일 건설 완료, 최근 내부 의료시설을 설치 및 시험운행을 마친 후 환자를 접수하기 시작했다. 소식에 따르면 이 병원은 2주간의 긴장한 시공을 거쳐 준공, 카자흐스탄 누르술탄시에서 코로나 19에 감염된 환자들을 전문병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병원은 전부가 조립식 구조로 되어 있었고 총 투자금은 55억 텡게(카자흐스탄 화폐단위)였으며 설계수명은 10년으로 되어있었다. 또한 200장의 침상이 있는 이 병원은 100장의 침대에 의료호흡기가 설치되었고 40장의 침상에 생명지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오염구와 청결구 등 2개의 치료구로 나뉘어 있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4-22
  • 美 항공모함 루즈벨트호 코로나 19 감염사례 710건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미국 뉴스 전문 방송 CNN에 따르면 미국의 핵 동력 항공모함인 <루즈벨트>호의 관병 중 코로나 19 감염사례가 710건에 달한다고 22일 외신들이 전했다. 당일, 미 해군은 통보를 내여 <루즈벨트>호의 94% 관병들이 이미 코로나 19 검사를 완료, 이 중 710명이 양성으로 나타났고 3872명이 음성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이 날 이 항공모함에서 4100명에 달하는 관병들이 육지에 올랐으며 이 중 9명이 병원으로 이송되어 격리치료를 받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 미 해군 <루즈벨트> 호 항공모함에서는 1건의 사망사례도 나타났다. 사망자는 41세가 되는 남성으로 지난 3월 30일 검사에서 코로나 19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고 4월 13일, 미국령 괌에 있는 미 해군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던 중 사망하였다. 전하는데 따르면 미 항공모함 <루즈벨트>호는 지난 3월 말 괌에 도착, 당시 함장 브렛 크로지어는 미국 해군 본부에 항공모함에 있는 관병들이 하루 빨리 상륙하여 격리 검사케 하여 코로나 19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당시 미국 해군의 대리부장인 토머스 모들리는 각종 이유로 크로지어를 경질시켰으며 그 역시 여러 방면의 압력 하에서 얼마 전 사퇴했다. 최근 미국 국회의 10여 명 참의원들이 연명으로 미 해군 고위층에 편지를 보내 미국 항모 4척에서 이미 코로나 19가 발생, 군함은 공간이 협소하고 인원의 밀 접촉이 잦기에 전염병이 쉽게 확산된다고 하면서 미 해군은 반드시 <루즈벨트>호에서 있은 코로나 19 확산 교훈을 섭취하여 코로나 19가 기타 함정들에 전파되어 폭증하는 것을 피면해야 한다고 호소하였다. 다른 한편 미 국방부가 4월 21일 공개한 최신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당일 미국의 각 군종들에서는 도합 3496명의 현역군인들이 코로나 19에 감염, 이 중 해군의 감염 사례가 가장 많은 것으로 1252명으로 집계됐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0-04-22
  • 77개국 그룹과 중국, 세계보건기구 지지 성명 발표
    [동포투데이] 중국 중앙방송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4월 19일 '77개국 그룹과 중국'은 성명을 발표하고 코로나19 사태에서 발휘한 세계보건기구의 영도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이 그룹은 4월 3일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하여 성명을 발표한후 이번에 재차 성명을 발표하고 세계보건기구에 지지를 표했다. 성명은 코로나19 사태가 재빨리 만연되는데 깊은 관심을 표했다. 성명은 이번 사태는 현대 역사상 제일 심각한 공중보건위기의 하나라고 지적하고 현재 시급한 것은 생명을 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명은,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의 인솔하에 세계보건기구가 발휘한 영도역할을 높이 평가했으며 코로나19에 유효하게 대응하도록 개도국에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 지도를 진행, 교육 훈련을 전개하는 것을 전력으로 지지했다고 밝혔다. '77개국 그룹과 중국'은 개도국으로 구성된 최대의 정부간 국제기구로 도합 134개 성원국을 갖고 있다. 이 기구는 단합과 협력을 강화하고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추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4-21
  • 中 코로나 19 방역서 '1 도시 1 정책' 실행 강조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0일, 중국 국무원 연합 예방 퇴치 기제 판공실에서는 정례 브리핑을 갖고 코로나 19의 해외 유입을 방지할 데 대해 언급되었다고 2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이날 브리핑에 따르면 중국 육로변경의 코로나 유입 압력이 의연히 크기에 목전으로 놓고 보면 <1 도시 1 책략(一市一策)> 실행이 시급하며 <1 도시 1 책략>으로 전염병 예방퇴치 목표를 잘 틀어쥐어 박약한 환절을 미봉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최근 들어 중국 헤이룽장성 수이펀허(黑龙江绥芬河) 통상구에서의 코로나 19 유입 사례가 사람들의 중시를 불러일으켰다. 저우위후이(周宇辉) 중국 국가위생 건강 위원회 질병 통제국 부국장은 현재 시급한 것은 변경 통상구 지구의 구체적 상황에 근거하여 완전하고도 목표가 있는 예방 통제 방안을 제정하는 것으로 <1 도시 1 책략>을 책임성 있게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보도에 따르면 입경 인원이 비교적 많은 지구 및 예방 통제 토대가 비교적 박약한 지구에 대해서는 성내 의료자원을 지원 배치하는 기초하에서 국가적 차원의 질병 통제 전문가와 의료팀을 파견해 예방통제 방안을 개선해야 하고 해당 부문을 협조하여 검사 역도, 의료 시설 및 방호물자 등에 대한 지지 역도를 강화해야 한다. 또 진정으로 통상구 전이, 입경 관리와 통제, 사회구역의 관리와 통제 및 병원 진찰과 감측 그리고 의료구급 등 일련의 봉폐와 환절 관리를 해야 한다. 류하이타오(刘海涛) 중국 국가이민관리국 변방검사 관리사(司) 사장은 국가 이민관리국은 각지의 이민관리기구가 당지의 정부의 지도하에서 변경지구의 실제 인구에 대한 관리, 귀국자 및 외국인과의 면담 등을 강화하여 출·입경 인원의 진출을 엄격히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출입경하는 변경지구 인원과 교통 운수 도구에 대한 검사, 정보등록을 잘해야 하며 해당 부분을 협조하여 방역 검측 즉 유동 수사 역도를 강화하고 불법 인원이 내지로 들어오는 것을 엄격하게 검사하고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4월 20일 0시부터 24시까지 중국 국가 위생 건강 위원회에 따르면 헤이룽장(黑龙江)의 코로나 19 확진 사례는 6건, 이 중 4건이 해외유입사례인 것으로 최근 헤이룽장이 코로나 19 해외유입의 위험지구로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4-21
  • 주한 중국대사관, 재한 중국 노동자들에게 ‘건강패키지’ 배포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지난 19일, 싱하이밍(邢海明) 한국 주재 중국대사가 중한고용허가제 하에, 한국에서 근무하는 중국 노동자들에게 ‘건강패키지’를 배포하며 그들에 대한 중국 당, 정부와 인민의 관심을 전달하고 미리 ‘5.1’ 국제노동절을 축하했다. 한국 주재 중국대사관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에 한국에서 근무하는 중국 노동자 대표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배포한 ‘건강패키지’에 노동자들의 방호 및 걱정없이 일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마스크, 소독수, 방역지침, 영사보호수첩, 한국어 교재 등이 들어 있었다. 노동자 대표 한명이 이번 행사를 통해 당, 정부와 조국 인민의 관심을 느낄 수 있었고 어려운 시기 대사관이 제공한 도움에 감사하며 앞으로 제대로 된 개인방호로 착실히 일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주재 중국대사관의 소개에 따르면, 2월 중순 이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한동안 한국에서 심각해지는 추세를 보였다. 중한고용허가제 하에 한국에서 근무하는 노동자 근 2천명이 마스크 등 방역물자가 부족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대사관의 통일적 배치 하에, 비즈니스처, 영사교민처 및 한국 주재 상무부 투자촉진국 판사처 등 부서가 한편으로, 응급방안의 제정에 박차를 가해 한국에 있는 노동자들의 자기방호와 공포 정서 해소를 지도하고 다른 한편으로, 국내 방호물자를 조달하며 한국의 실제 상황에 따라 노동자들을 위한 기부활동을 조직·전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04-20
  • 中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 장기거주 인구 데이터 출범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 31개 성, 직할시와 자치구의 장기거주 인구 데이터가 출범됐다고 일전 중신망이 보도했다. 광둥 연속 14년 간 인구 첫 자리 독점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광둥(广东)과 산둥(山东)의 장기거주 인구가 1억 명을 초과했다. 광둥은 1억 1521만 명으로 중국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성으로 되었고 산둥은 1억 7만 명으로 그 뒤를 따랐으며 허난(河南)이 9640만 명으로 제3위에 올랐다. 데이터를 정리하면서 보면 2006년 이래 광둥은 연속 14년 간 전국 장기거주 인구의 첫 자리수를 나타냈다. 2019년 장기거주 인구가 증장한 성 가운데서 100만 명 인구가 증장한 성은 광둥과 저장(浙江) 2 개 성이었으며 2018년 말 이 2 개 성의 인구의 증장 량은 각각 175만 명과 113만 명이었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2019년 저장성의 인구 유입 수는 84만 1000명으로 82만 6200명인 광둥을 추월하여 인구유입 흡인력이 가장 강한 성으로 되었다. 수젠(苏剑) 베이징 대학 국민경제 연구센터 주임은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장기거주 인구의 증가는 두 가지 방면의 인소와 관계되는바 첫째는 자연 출산율과 관계되고 둘째는 인구의 유입수량과 관계되며 또한 장기거주 인구의 증가는 당지의 경제발전과도 정비례로 관계된다. 즉 경제가 발전할수록 외래 취업 노동력의 흡인력이 많아지기 마련이다. 장즈신(张智新) 중국 베이징 경제무역대학 도시경제 및 공공관리 학원 부교수 역시 다음과 같이 인정하였다. 광둥, 저장의 장기거주 인구 증가의 핵심원인은 그 자체의 경제결구와 관계되며 자연기후, 지리환경도 보조적 조건으로 되고 있다. 광둥, 저장은 당지의 민영경제가 활약 적이어서 대량의 노동인구의 취업을 흡인하는 한편 대량의 외래 인구의 유입을 촉진하고 있다고 본다. 베이징, 헤이룽장, 지린, 랴오우닝 장기거주 인구 마이너스 성장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말까지 베이징의 장기거주 인구는 2153만 6000명으로 전년 동시기에 비해 6000명이 감소했으며 베이징의 장기거주 인구는 연속 3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하였다. 이 외 2019년 말, 헤이룽장(黑龙江), 지린(吉林)과 랴오우닝(辽宁)의 장기거주 인구 역시 그 전년 동시기에 비해 각각 2만 1800명, 1만 3330명, 7600명씩 감소, 이 3개 성의 장기거주 인구의 자연증장율은 각각 마이너스 1.01%, 마이너스 0.80%, 마이너스 0.80%로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초래했다. 이에 대해 수젠(苏剑) 베이징 대학 국민경제 연구센터 주임은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베이징시의 장기거주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국가 정책의 결과이므로 <베이징, 텐진(天津)과 허베이(河北)의 협동 발전 규획 요강(京津冀协同发展规划纲要)>에 근거하여 베이징시는 인구통제가 엄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헤이룽장, 지린과 랴오우닝 3개성 장기거주 인구의 마이너스 성장은 두 가지 원인이 있은 것으로 첫째는 인구유출이 심한 것이고 둘째는 인구의 자연출산율이 낮은 것이다. “중국의 동북지구는 경제 활약도가 동남 연해지구보다는 더디기에 창조와 취업의 기회가 제약성을 받고 있는가 하면 인구의 유출이 나타나며 또한 부분적 사람들은 기후와 지리 환경적 요소에 의해 외부로 유출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장즈신(张智新) 중국 베이징 경제무역대학 도시경제 및 공공관리 학원 부교수의 분석이었다. 13개 성과 직할시의 도시화 인구비율 60% 중국 국가 통계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말 중국의 도시인구는 8억 4843명으로 총인구의 60.60%에 달해 도시 및 진의 인구비율은 처음으로 60%선을 넘어섰다. 성급 단위로 보면 2019년 말까지 상하이, 베이징, 텐진, 광둥, 장수(江苏), 저장, 랴오우닝, 충칭(重庆), 푸젠(福建), 네이멍구(内蒙古), 산둥, 후베이(湖北)와 헤이룽장의 도시 장기거주 인구 비율이 60%를 초과, 이 중 상하이, 베이징과 텐진의 장기거주 인구의 도시화 비율은 80%를 초과했으며 현재 중국에서 도시화 비율이 전국 평균치에 미치지 못하는 성은 18개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 미래에 가서 장기거주 인구의 도시화 비율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 <시장화 배당 체제기제를 더욱 완벽하게 구축할 데 관한 중공중앙과 국무원의 의견(中共中央 国务院关于构建更加完善的要素市场化配置体制机制的意见)>에서는 호적제도 개혁을 심화해야 한다. 대도시 및 특대 도시에서의 점수제 호적낙실 정책을 조정 완벽화해야 하여 장강 삼각주와 주강 삼각주 등 지구의 도시군체 비율을 먼저 실현하여 호적 등록 연한이 도시화속도와 서로 잘 조율되게 해야 한다. 개별적인 특대 도시외의 도시들에서는 호적등록 제한을 해제하여 시험적으로 장기거주 인구의 호적등록 제도를 실행해볼 필요가 있다. 수젠(苏剑) 베이징 대학 국민경제 연구센터 주임은 부분적 도시는 호적제한을 개방하고 인구유동의 장애를 없애야 하며 외래 인구도 원 도시인구와 마찬가지로 각종 혜택을 보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장즈신(张智新) 중국 베이징 경제무역대학 도시경제 및 공공관리 학원 부교수는 부분적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하면 호적 장벽, 주택입주 장벽 등을 허물어 유동인구에 대한 사회적 보장 즉 교육, 의료 및 주택거주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4-20
  • 중국 여배우의 술시중 가격표
    최근 중국에서는 중화권 미녀 스타가운데서 누구의 술시중 값이 가장 비싼지 조사했다. 조사결과 타이완의 톱모델인 린즈링(林志玲)과 '황제의 딸'로 유명한 자오웨이(赵薇)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공개된 술시중 가격표에는 린즈링, 자오웨이외에도 판빙빙(范冰冰), 장쯔이(章子怡), 장바이즈(张柏芝), 자오웨이(赵薇), 저우쉰(周迅), 수치(舒淇), 리빙빙(李冰冰) 등 여스타들의 이름도 있었다. 린즈링과 자오웨이의 술시중 값은 80만홍콩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쯔이가 70만홍콩달러, 판빙빙, 리빙빙, 차이이린이 65만홍콩달러, 저우쉰이 60만홍콩달러로 뒤를 이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4-18
  • 연변주 핵산검측 서비스 실시..비용은 자부담
    [동포투데이] 코로나19 전염병이 발생한 이래 연변주에서는 대량의 핵산검측 사업을 진행했다. 현재 핵산검측은 공공방역 수요 외에도 사회적 수요가 많은 상태다. 최근 북경시는 북경으로 돌아오는 모든 인원에게 7일 이내 핵산검측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건강 증명을 소지할 것을 요구했다. 핵산검측의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주 예방통제판공실에서도 성 예방통제판공실의 통일적인 배치에 따라 연길시질병예방통제중심에 핵산검측표본채취 편민 봉사소를 설립했다. 핵산검측의 사회화 서비스는 성 위생건강위원회에서 발표한 제3방 검측기구인 길림 금역의학검사소에서 제공하게 된다. 연변주 신종 코로나 페염 전염병 예방통제 사업 지도소조판공실에 따르면 연길시질병예방통제중심에서 무료로 장소 및 표본채취, 포장, 보존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 길림금역의학검사소에서 표본 운수, 실험실 검측, 검측 보고서 등 사회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검측비용은 소비자가 자체적으로 부담한다. 핵산검측 서비스 시간은 4월 18일부터 매주 월요일~금요일이며 시간은 9시~11시, 14시~16시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2020-04-18
  • 코로나19로 운영 어려워진 고려인 민족학교 도웁시다"
    [동포투데이]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러시아 우스리스크의 고려인 민족학교(최재형 한글문화학교)가 학교 운영비 마련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드러나 안타까움을 낳고 있다. 이 학교는 지난해 최재형기념사업회(이사장 문영숙)와 고려인 민족문화자치위원회에서 활동해 온 김 발레리아 씨가 힘을 모아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 및 문화 교육을 위해 설립됐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러시아 우수리스크를 찾는 한국인 역사 탐방단 및 관광객들이 크게 줄면서 학교 운영에도 비상이 걸린 셈이다. 이에 대해 고려인 문화지원 캠페인을 꾸준히 펼쳐온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는 "이런 안타까운 소식을 전해 듣고 네티즌들과 함께 오늘부터 1주일간 민족학교 돕기 모금운동을 진행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또한 서 교수는 "고려인 약 1만 6천여 명이 거주하고 있는 우수리스크에는 한국어 및 문화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교육기관은 이 곳 밖에 없다. 이런 의미있는 학교를 문닫게 방치할 순 없는 일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서 교수는 이번 모금운동을 '십시일반 프로젝트'로 명하고, 1인당 1만원씩 1만명이 참여한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SNS에 널리 홍보 중이다. 참여를 원하는 네티즌은 (사)독립운동가최재형기념사업회 후원계좌(국민은행:924501-01-333851)로 1만원씩 후원을 하면 되고, 기부금 영수증 처리도 가능하다. 한편 서 교수는 배우 송혜교와 함께 지난해 러시아 우스리스크에 위치한 '최재형 기념관'에 한국어 및 러시아어로 제작한 안내서 1만부를 기증해 큰 화제가 됐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4-1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