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6(월)
 
 
편집자의 말: 연변축구는 전통이 있고 역사가 길며 중국 축구사상에서 “선구자” 역할을 하기도 했었다. 좌절, 곡절과 진통 그리고 억울함도 많이 당했으며 서기 1965년엔 전반 중국축구리그를 평정한 영광스러운 순간도 있었다.
“동포투데이”는  민함 선생과 예약하여 “연변축구 잘 될 수 있는 일종 무형산업”이란 제목으로 연변축구 특별기획으로 된 글을 연재하기로 했다. 연재기간 지금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갑급리그에서의 연변팀 현황 분석도 하게 됨을 알리는 바이다. 편집자
 
캡처.PNG

■ 민 함
 
연변은 역사적으로 북경, 상해, 대련, 광동 등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만큼 축구스타들을 많이 배출한 “축구의 고향”이다. 아니, 연변을 포함한 중국조선족의 인구는 해방초기나 지금이나 여전히 200만명의 미달…인구비례를 따지만 연변 아니 중국조선족축구는 북경이나 상해의 축구보다 엄청 더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배출해낸 선수들중에는 유명한 중국이나 조선내지에서 소문난 선수들도 적지 않았다. 그런 선수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제목-없음-1.jpg
지난 세기 20년대 가장 유명한 선수들로는 정수원(별명: 숫캐)과 박주환, 그리고 이종갑과 김응세, 차금돌, 이영광, 유시율, 허죽산, 박익환, 박노석, 김호주 등이었다. 그 중 박노석, 차금돌, 이영광, 유시율, 허죽산 등은 조선축구계에 족적을 옮겼고 요정 광명중학교 출신인 이종갑은 광복 후 한국 서울로 나가 축구계에서 적극 활약, 지난 세기 60연대에는 한국축구협회 부회장으로 취임되기도 했다. 또한 조선으로 나간 김응세는 1966년 제8회 잉글랜드월드컵 조선대표단 단장으로 되기도 했다. 그외 연변에 남은 박노석은 1956년에 발족된 중국축구심판위 위원으로 당선되었으며 그 이듬해 연변축구협회가 설립된 뒤 지난 1986년까지 줄곧 협회 부주석으로 있었다.  
 
그 시기 특수하게 유명한 선수들을 선택하자면 딱히 지정할 수 없지만 정주원, 박주환, 박익환, 박노석 등이 아닌가 나름대로 추측해 본다. 이렇게 쓰고 보니 어쩐지 축구선수 중 박씨가 많은 감이 든다. 박씨, 한편 곰곰히 생각해보면 박씨들 중 확실히 축구를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연변의 박익환, 박노석, 박상복, 박만복, 박문호, 박성 등이 있는가 하면 조선에는 월드컵 영웅 박두익이 있으며 한국 또한 박종환, 박지성, 박주영 많다고 꼽이니 진짜 많이 꼽을 수 있을 지경이다.
 
한편 지금까지 연변내 축구팬들한테 가장 인상속에 남는 축구인 인물은 그래도 박만복과 이광수인 것 같다.
 
제목-없음-2.jpg
그렇다. 박만복 선생과 이광수 선생은 지난 세기 50연대부터 2000연대 초엽까지 연변축구권내에서 큰 영향력을 일으키면서 쌍벽을 이룰만한 인물이다. 그 중 박만복 선생은 중국의 제 1 대 헝가리축구유학생에 들어간 인물(당시 20여명 중 조선족 7명)이였으며 당시 그가 중앙수비로 지키는 중국청년팀은 공산권국가의 축구인들로부터 “무너지지 않는 만리장성”이란 명예를 받아안기도 했다. 그리고 길림성팀 창립공로자의 한 사람인 이광수 선생은 중국축구권내에서 조직형축구를 만들어낸 인물로서 그가 주도하는 길림성팀의 공격라인의 이광수, 손중천, 지운봉은 일찍 지난 세기 50연대 중국 국가체육운동위 하룡주임으로부터 “삼각폭격기편대”란 명칭을 얻기도 했다.
 
또한 박만복 선생은 감독신분으로 1965년 또 조선족으로 구성된 길림성팀을 이끌고 중국축구갑급리그 우승고지에 오르는 쾌거를 이룩했고 이광수 선생은 연변대 체육학부 주임으로 수많은 학자형 축구인재들을 육성해내기도 했다. 후에 이 두 축구원로는 손잡고 중국 동북조선족축구친목회를 창설, 연변축구의 전국화와 글로벌화하는에 있어서 마멸할 수 없는 기여를 하였다. 쌍벽을 이루는 두 인물 중 박만복 선생은 아직도 생전이다.
(다음기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연변축구 잘 할 수 있는 무형산업(7)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