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 김철균

 

정전직후의 아버지의 생활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UN측 대표 월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측 인민군 대장 남일 장군이 정전협정에 조인함과 아울러 한반도이 전 전선에 거쳐 총포성이 멎었다. 


3년 1개월간 동족끼리 서로 밀고 밀리면서 마주 쏘고 찌르고 죽이고 하면서 혈투를 벌이던 전쟁은 드디어 승자도 패자도 없는 결과를 맞이했다.

 

헌데 어머니가 손꼽아 기다리던 아버지는 돌아와주지 않았다. 넷째 할아버지의 둘째아들이며 나의 5촌 숙부인 김노돈씨가 눈에 총상을 입은채 돌아왔지만 아버지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해 8월 한국군의 포로가 되어 거제도 포로집중영에 갇혀있었다던 다른 한 5촌숙부도 돌아왔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종무소식이었다.

 

후에야 내가 알게 된 일이었지만 당시 집으로 돌아온 5촌 숙부 김노돈씨는 넷째 할아버지한테 여차여차하고 아버지의 사정을 일러바쳤고 그 뒤 넷째 할아버지와 다섯째 할아버지가 조선으로 나가 웬 여인과 살림까지 차려놓고 생활하고 있는 아버지를 억지다짐을 붙잡아왔다는 것이다.


 캡처.PNG


다음의 것은 내가 어릴 때 아버지가 들려준 얘기이다.

 

“그 당시 조선은 말그대로 ‘쑥대밭’이었다. 도시는 시멘트 덩어리와 벽돌들이 널려있는 폐허로 됐고 거리마다 의지가지가 없는 고아들이 득실거렸으며 농촌마을은 노인네와 아낙네 그리고 아이들뿐 사지가 멀쩡한 남정은 찾아보기조차 힘들었다. 그리고 도시고 농촌이고 일터로 나가는건 말짱 여성들뿐이었다.

 

당시 중국군인들이 없었더라면 조선이란 나라는 그렇게 빨리 춰서지 못했을 것이다. 그네들이 있었기에 도시에서는 집을 지을 수 있었고 농촌에서는 밭을 다룰수 있었으며 철길과 도로같은 것을 보수할 수도 있었다. 남조선에 있는 미군과 북조선에 있는 중국군의 다른 점이란 바로 미군은 그냥 주둔만 하고 있었고 중국군은 조선을 도와 직접 복구건설에 투신했다는 점이다.”

 

그러면서 아버지는 중국군까지 전후복구건설에 발벗고 나서는 마당에 조선인으로서 차마 조선을 버리고 집으로 돌아올 수 없었다는 것이었다.

 

이는 그럴듯한 이유였다. 당시 양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조선의 참혹한 현실을 두고 모두들 차마 돌아설 수 없었다고들 했다. 하지만 이것이 아버지가 집으로 돌아오지 않은 전부의 이유였을까?…

 

후에 들은바에 따르면 정전후 군복을 벗은 아버지는 원산의 한 수산작업소의 세포위원장으로 비교적 잘 나갔다고 한다. 수산작업소 책임자였으니 매일 물고기를 먹을 수 있은건 물론 출근할 때도 자전거를 타고 다녔으며 많은 사람들이 아버지를 부러워했다고 한다. 특히 여성들이 물고기나 얻어가질까 하고 많이 치근덕거리기도 했다는 것이 후에 아버지가 동네사람들과 한 옛말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넷째 할아버지와 다섯째 할아버지가 아버지앞에 갑자기 나타나 그의 억지다짐으로 중국으로 끌고 왔으니 아버지의 마음이 불쾌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었다. 특히 당시 아버지와 동거하는 여인이 임신중이었다고 하니 더욱 그랬다.

 

그렇게 돌아온 중국이었으니 당시 아버지는 현성의 기관같은 사업터에 배치받을 수가 없었다. 조직적인 수속을 밟아서 귀국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었고 중국공산당원 당적도 2년 뒤에야 겨우 회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 까닭이었을까? 아버지는 오랫동안 5촌 숙부인 김노돈씨를 소 닭보듯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지난 세기 60연대 초기 3살이던 내가 급성폐렴에 걸려 생사를 다투게 될 때 5촌 숙부 김노돈씨가 송아지를 팔아 페니실린 몇대를 사온 덕에 내가 구사일생으로 소생하자 그제야 아버지는 5촌 숙부의 손을 잡고 백배 사죄하면서 눈물까지 흘렸다고 한다. (다음기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그제날 아버지한테서 들은 얘기들(14)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