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美 총기 소유율 25년 만에 최고치 경신
    [동포투데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에는 타살, 자살, 우발적 부상을 포함한 총기 피해는 1~19세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아프리카계이라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가 최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메디슨에 발표한 연구보고에서도 이 같은 결과를 반영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22년까지 CDC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총기 관련 사망자가 35% 증가했으며 그중 아프리카 청소년들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버드 대학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보건 정책 교수인 데이비드 헤맨웨이는 이 현상은 20년 동안 미국의 일부 주에서 총기 취득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결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지만 총기 자살은 전 세계의 35%, 총기 타살은 전 세계의 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총기에 사망할 가능성은 백인보다 12배 높다. 지난 25년 동안 총기 규제 법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바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NBC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총기 소유율은 최근 2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권자의 52%가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총기 소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하버드대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60%가 총기 소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범죄가 줄어들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유권자의 42%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고 21%만이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헤맨웨이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총기 사망자는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른 부유한 나라들의 평균 총기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미국은 지금 점점 다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6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실시간 뉴스홈 기사

  • 아프리카, 코로나19 적극 대응..효과 현저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1일, 세계위생조직 사무총장 탄데세는 최근 들어 아프리카의 코로나 19 확진사례가 하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목전 아프리카의 코로나 19 예방통제가 어느 정도 ‘낙관’스럽다고 표했다고 22일 중국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지난 20일, 아프리카 질병통제센터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당일까지 아프리카의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는 166만 건을 초과, 사망사례는 4만 건에 접근했으며 완치사례 또한 136만 건을 초과했다. 세계위생조직 아프리카구역 책임자 모테는 코로나 19가 발생한 이래 아프리카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최초에 우려했던 감염사례가 지수 식 증장을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분석에 따르면 아프리카 국가들의 적극적인 검사역도 강화, 방호와 치료능력은 코로나 19에 잘 대응하는 중요한 인소였다. 지난 2월 아프리카 대륙에는 남아프리카와 세네갈에 있는 2개의 실험실에서만 코로나 19 바이러스를 검사할 수 있었으나 지금 아프리카에는 이미 750개가 넘는 실험실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를 검사할 수가 있다. 세계위생조직 아프리카 구역 사무실의 통계에 따르면 목전 아프리카 국가 12개 소의 실험실은 세계위생조직의 검사표준에 도달했으며 지금까지 전반 아프리카 대륙의 1500만 명의 인구가 코로나 15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아프리카에서 코로나 19를 치료할 수 있는 침대는 지난 4월의 1.3만 장에서 8월에는 4.3만 장으로 늘어났고 15만 명 이상의 위생사업자들이 세계위생조직과 해당 기구에서 마련한 코로나 19 예방통제 분야의 훈련을 받았으며 34만 명에 달하는 사회구역 위생사업자들이 코로나 19 방역지식을 적극 선전하고 있다. 그리고 유엔 등 국제조직과 중국 등 해당국가의 지원으로 아프리카 국가들은 4800만 건에 달하는 개인 방호설비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탄데세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들에서는 각종 전염병과의 싸움에서 쌓은 경험과 섭취한 교훈이 있기에 코로나 19와의 대응에서 더욱 적극적인 작용을 발휘하고 있다. 코로나 19 발생 초기,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유력하고도 과단한 공공위생 조치를 강구, 심지어 일부 국가에서는 본토사례가 나타나기 전부터 강력한 공공위생조치를 실시하기도 했다. 아프리카의 총체에서 코로나 19 영향이 비교적 적은 원인에 대해 세계위생조직 위생긴급항목 책임자 라이언은 이는 인구결구가 비교적 젊고 당지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바이러스 발견에 대한 중시 및 접촉자에 대한 추적역도를 강화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정했다. 지난 3월 이래, 중국의 방역전문가들이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들과 ‘중국 - 아프리카 링크, 손잡고 코로나 19 대응하기(中非连线、携手抗疫)’ 시리즈 영상기술교류회를 가동, 40여 개의 아프리카 국가와 아프리카 동맹의 수백 명에 달하는 위생영역의 관원, 전문가들이 이 영상링크 회의에 참여했다. 당시 중국 측 전문가들은 코로나 19 예방통제의 책략, 임상진료, 검사방법, 과학연구 진전, 방창 병원의 사용, 변경검역과 코로나 19 위험 평가 등 주제로 아프리카 측과 심도 있게 교류와 공유로 아프리카 측의 적극적인 평가를 받았다. 지금까지 중국정부는 아프리카 53개 국가 및 아프리카 동맹에 누적으로 400톤이 넘는 긴급결핍 물자를 운송, 아프리카 측이 중국에서의 코로나 19 대응물자 구입에 편리를 제공했다. 또한 중국 측에서는 10개 아프리카 국가에 의료전문가 팀을 파견했고 42개의 아프리카 국가에 46개소에서 초보진찰에 참가함과 아울러 중국과 아프리카 1 대 1 의료합작을 진행했다. 아프리카 질병통제센터 책임자 캉게쑹은 중국 등 국가의 의료물자 및 인력 지원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캉게쑹은 아프리카 연맹과 아프리카 질병통제센터의 지도 하에서 아프리카 각국은 신속하고도 일치하게 코로나 19에 대처, 의료물자 연합구입 플랫폼을 가동하여 아프리카 각국 정부가 적시 적으로 개인 방호용품과 기타 의료용품을 공급받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세계위생조직은 코로나 19와의 대응사업에서 효과를 본 배경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계속 마땅한 조치를 락착함과 아울러 경각성을 유지하고 정확한 공공위생 정책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제 나타날 가능성이 큰 새로운 라운드의 코로나 19에 잘 대처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3
  • 中 코로나19 사태 후 유일하게 증장하는 경제체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러시아정부 기관지 ‘러시아신문’은 전문 란 ‘러중리뷰(俄中锐评)’에 ‘코로나 사태 이후 중국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증장하는 주요 경제체로’란 글을 발표했다. 신문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전 3분기에 중국경제의 증장은 마이너스로부터 플러스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장, 실업률이 내려가고 주민수입이 상승하였으며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경제 플러스성장을 실현한 국가로 되고 있다. 중국정부가 취한 곤경에서 벗어나는 조치는 국내경제 상행을 진일보 추동하고 있으며 중국의 민중 또한 미래에 대해 충만 된 자신심으로 차 넘치고 있다. 제 1분기에 GDP가 전년 동기 대비 6.8% 하강된 상황에서 중국경제는 제 2분기에 들어 마이너스로부터 플러스 증장을 이끌어내면서 3.2% 증장했고 제 3분기에 들어서는 증장속도를 4.9%로 끌어올렸으며 주요 경제지표가 아주 좋은 추세로 나타났다. 제 3분기에 들어 중국 규모 이상의 공업 증가치는 전년 동기에 비해 5.8% 증장, 2분기에 비해 1.4%가 빨라졌고 서비스업의 증가치는 전년 동기에 비해 4.3% 증장, 그 중 정보전송,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 업은 11.4% 증장했으며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0.9% 증장하여 분기 증가속도가 연 내의 첫 플러스 증장을 기록했다. 그리고 코로나 19의 영향 하에 전 3분기 인터넷 소매는 전년 동기에 비해 9.7% 증장, 인터넷쇼핑은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의 24.3%에 달했다. 신문은 계속하여 국제 최고급 컨설팅 회사 세팡 웨이 리쓰(CBRE)가 지난 6월에 조사한 데이터를 인용, 중국의 다수 소매상들은 미래에 대해 심중하고도 낙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80%의 응답자들은 소매 액이 코로나 19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자면 1년 정도의 시간이 수요 된다고 했고 67%의 응답자들은 인터넷 쇼핑몰을 확대하여 배달서비스를 개척할 계획하고 있었으며 13%의 응답자들은 향 후 1년 내 새로운 소매 가게를 설치할 계획이었다고 했다. CBRE에 따르면 중국의 소매 업무는 2021년 중반기가 되면 코로나 19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러시아신문’은 덧붙였다. 이어서 신문은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전 3개 분기동안 중국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0.8% 증장, 증장속도는 연 내 처음으로 플러스 기록을 작성했다. 비록 제조업 투자가 6.5% 하락했지만 고신기술 산업투자는 9.1% 역 성장했으며 이 외 전 3개 분기에 중국의 화물수출입 총액은 플러스 증장을 실현, 증장 폭이 0.8%에 달했고 이 중 수출은 1.8% 증장, 수입은 0.6% 하락했다. 이와 동시에 중국 주민들의 소비가격은 3.3% 정도 상승, 중국 도시 향진의 실업률은 연초의 6.2%로부터 점차 하락하면서 9월에는 5.4%가 되어 작년 동기수준에 접근했다. 그리고 경제증장과 보조를 함께 한 것은 주민수입 실제 증장속도 역시 놀라운 것이다. 제 3분기에 들어 중국 전국 주민 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은 작년 동기 대비 3.9% 증장, 가격 인소를 배제한 실제 증장은 0.6%에 달했다. 중국은 계속 경제의 좋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채무곤경에 빠진 중소 미형 기업에 대해 중국정부는 이미 대출 상환 기를 연기시켜 주는 등 곤경해소 조치를 대주면서 애로를 전승하도록 도와주고 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올해의 정부사업보고에서 올해 대형 상업은행은 소형기업의 대출금 발급을 40%에까지 증가시키고 일반 금융세수우대 정책을 4년 더 연장, 즉 2023년 말까지 집행하기로 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예하면 은행은 소-미 형 기업과 개체공상호의 대출 이식과 수입 부가가치세를 면제하기로 했던 것이다. 이런 조치는 소 - 미 형 기업으로 하여금 코로나 19 충격 하의 간고한 한 시기를 잘 넘기도록 유력하게 돕겠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신문은 중국경제가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는 중요한 인소는 국내 시장에 대한 중국민중들의 거대한 자신심이라고 하면서 예하면 중국 ‘환구시보’의 조사 데이터가 말해주다 싶이 약 60%에 달하는 응답자들은 중국인민들이 단결 일심으로 코로나 19에 대응하는 정신과 돌방 공공위생사건 중 중국정부의 위기관리능력 또한 초강의 사회조직 동원력으로 되어 중국의 소비자들로 하여금 미래에 대한 충만된 기대로 부풀어 오르게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2
  • 中, 시속 400km 다국적 ‘탄환열차’ 창춘서 탄생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21일, 중국에서 자체로 연구제작한 시속 400km되는 다국적 초고속 ‘탄환열차’가 중국열차 창춘(长春) 궤도객차 주식유한회사에서 탄생했다고 당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열차는 부동한 기후조건, 부동한 궤도 너비와 부동한 전력공급제 표준에도 운행이 가능한 국제 철도 간 열차로 국제간 대륙간 여행에도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열차로 알려지고 있다. 윗 사진은 창춘 궤도객차 유한회사에서 촬영한 시속 400km인 국제 초고속 ‘탄환열차’의 외관모습이고 아래 사진은 이 열차의 내부구조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2
  • 카메라에 잡힌 카라칼의 모습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일전, 스페인 톨레도 주에서 출생 15개월이 된 수컷 야생 카라칼이 높이 솟구치며 나는 새를 잡으려고 시도하고 옆에서 암컷 카라칼이 구경하는 모습이 아마추어 촬영가인 이나 시페데커(Ina Schieferdecker)의 카메라 렌즈에 잡혔다. 카라칼은 일종 밤에 활동하는 동물로서 평소에는 극히 은폐성이 강하여 관찰하기가 여간 쉽지가 않다. 자료에 따르면 카라칼은 흔히 건조한 광야에서 서식, 간혹 수림이나 사막에서 활동한 종적이 있다. 카라칼은 도약능력이 강하고 달리는 속도가 빨라 땅에 있는 새 혹은 땅에서 날아오르는 새를 곧 잘 잡는 날랜 몸매를 갖고 있으며 주로 아프리카, 서아시아와 남아시아 등 지에서 서식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21
  • 나미비아 해안서 5000여 마리 작은 바다표범 시체 발견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최근 나미비아 자연보호기구인 ‘나미비아 해안보호’는 나미비아 해변도시인 볼비스만의 펠리컨 해안에서 대량의 작은 바다표범 사체를 발견했다고 발표, 짐작으로 5000마리 정도였으며 나미비아 어업 및 해양자원 부는 이미 이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일전 나미비아 해변도시인 볼비스만의 펠리컨 해안에서 발견된 작은 바다표범의 시체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21
  • 中 후난, 127세 최장수 노인 사망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20일, ‘샤오샹조간(潇湘晨报)’에 따르면 중국 후난 성 펑황 현 관좡향 신민촌(湖南省凤凰县官庄乡新民村)의 ‘후난 제 1의 장수별(湖南第一寿星)’인 텐룽위(田龙玉) 노인이 지난 9월 28일 아침에 사망, 향년 127세였다. 텐 씨는 1893년 음력 4월 28일, 출생, 이미 만고풍상의 3개 세기를 살아왔다. 신민 촌 간부에 따르면 텐 씨는 병도 없고 동통을 호소한 적도 없었으며 완전히 자연사였다. 텐 씨는 줄곧 수양녀 장구이잉(张桂英)과 함께 생활해 왔다고 한다. 수양녀 장구이잉에 따르면 텐 씨는 하루에 두 끼씩 식사, 오전 9시 좌우에 아침밥을 먹고 오후 5시 좌우에 저녁밥을 먹으며 매번 식사는 70%가량 배불리 먹었다. 텐 씨는 옥수수, 고구마와 야채를 잘 먹었으며 두부는 텐 씨가 아주 즐겨 먹은 식품 중의 하나였다. 한편 평소에 자주 텐 씨의 건강 검진을 해주었던 의사에 따르면 텐 씨의 폐 기능과 심전도는 완전히 고령 노인의 폐나 심장과는 달랐으며 머리칼 역시 대부분이 검푸른 색이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첫 인상에 텐 씨를 80여세의 할머니로 착각했다고 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1
  • 中, 코로나 19 백신 III기 임상실험 접종 자 약 6만 명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 과학기술부 사회발전 과학기술사(司) 텐바오궈(田保国) 부사장은 국무원 연합방지 연합통제 기제 보도 브리핑에서 중국은 코로나 19가 백신후보 4개가 이미 Ⅲ기 임상실험 단계에 들어갔고 지금까지 도합 근 6만 명이 이 백신후보를 접종했으며 엄중한 불량반응을 보인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텐바오궈에 따르면 Ⅲ기 임상실험 결과는 백신후보의 보호능력이 국제공인을 받은 유효성 지표이다. 그 어떤 종류의 백신후보도, 임상실험 단계의 백신후보와 출시 후 대규모 사용단계에 들어간 백신을 포함하여 모두 불량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현재 중국에서 Ⅲ기 임상실험에 들어간 코로나 19 백신후보에서 보인 불량반응은 기본 상 경한 정도의 불량반응으로 예하면 접종부위의 국부 동통과 안홍 종기(红肿) 및 잠시간의 미열 등이 있었을 뿐이었다는 것이 텐바오궈의 설명이었다. 중국 국약 그룹(国药集团) 이사장 류우징쩐(刘敬桢)에 따르면 국약 그룹 산하의 베이징 생물제품 연구소(北京生物制品研究所)와 우한 생물제품 연구소(武汉生物制品研究所)의 두 가지 품목 불활성화 백신 후보는 목전 아랍 에미리트 연합 등 10개국에서 Ⅲ기 임상실험을 진행, 이미 5만 여명이 접종을 마쳤으며 지금까지의 관찰에 의하면 엄중한 불량반응이 나타난 보고는 없는 상황이다. 또한 베이징 커싱중(北京科兴中) 미생물 기술 유한회사의 가오창 총 경리에 따르면 이 기업은 브라질, 인도네시아와 터키의 합작 파트너와 함께 국제통용의 약물임상실험 질 관리 규범(GCP) 요구에 따라 비교적 완벽한 불량반응 감측 시스템을 구축, 목전까지 일부 경한 정도의 불량반응은 발견했으나 모든 파트너들한테서 피드백(反馈) 및 백신후보와 관련된 엄중한 불량반응은 없은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1
  • 中 아시아 최대의 다목적 롤러선적 선 진수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19일, 중국이 자주적으로 설계하고 건조한 다목적 롤러선적 선(多用途滚装船) ‘보하이헝다(渤海恒达)’가 산둥 룽커우에서 진수했다고 당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보도했다. ‘보하이헝다’는 길이가 189.9미터, 폭이 26.4미터이고 선박 톤수는 2.5만 톤이며 3층으로 된 차량실의 차도선 길이가 약 2700미터에 이르며 크고 작은 차량 300여 대를 탑재할 수 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보하이헝다’는 현재 아시아에서 가장 큰 다목적 롤러선적 선으로 알려지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0
  • 日, 775만 병의 아동 감기약 리콜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일전 일본 언론에 따르면 최근 일본에서는 775만 병에 달하는 아동 감기약을 리콜, 이 인기 어린이 감기 시럽(人气儿童感冒糖浆)은 점검에서 누락된 것이 발각되어 대 규모 리콜하게 되었으며 일본 국내의 전자 상에서는 여전히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동영상이 폭로한 정보에 따르면 이번 리콜은 호빵맨 키즈(面包超人儿童 3 - 8세)가 전문 복용하고 있는 감기 시럽으로 홍색 타입과 분홍색 타입(粉款)은 감기종합 증상에 복용하는 것이고 남색 타입은 기침 때 복용하는 것이며 녹색은 비염 즉 코 구멍이 막히고 콧물이 흐를 때 복용하는 것이었다. 이 약물은 주로 온라인을 통해 많이 소개, 일본에서는 어린이 몸에 부작용이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20
  •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사례 4000만 건 초과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0일,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가 발표한 코로나 19 최신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동부시간으로 19일 16시 25분(한국시간으로 20일 05시 25분)까지 전 세계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는 4000만 건을 초과한 4005만 0902건이었고 누적 사망사례는 111만 3750건이라고 당일 미국 뉴스전문방송(CNN)이 보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와 사망사례가 가장 많은 나라로 누적 확진사례가 820만 1554건, 누적 사망사례는 22만 20건이었다. 그리고 누적 확진사례가 많은 나라 순서로는 인도, 브라질, 러시아와 아르헨티나 등 나라였고 누적 사망사례가 많은 나라 순서로는 브라질, 인도, 멕시코와 영국 등 나라였다. 현재 세계의 코로나 19 확진사례는 여전히 빠른 속도로 상승,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28일 전 세계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가 1000만 건을 돌파, 8월 10일 2000만 건을 돌파했고 9월 17일 3000만 건을 돌파했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