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20여 명 UN 전문가, 각국에 팔레스타인 인정 촉구
    [동포투데이] 3일 유엔 전문가 20여 명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모든 국가들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유엔 국제 질서문제의 독립 전문가인 조지 카터루갈로스, 1967년 이후 점령된 팔레스타인의 인권상황에 대한 특별보고관 프란체스카 알바네세, 건강권 특별보고관 테라렌 모포켄을 포함한 20여 명의 유엔 전문가들은 공동성명에서 140개가 넘는 유엔 회원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들이 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팔레스타인이 생존 능력과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능력, 안전하고 보장된 민족으로서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 충분한 결정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팔레스타인과 중동지역 전체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가자지구에서 즉각 휴전을 선언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남부도시 라파에 대한 군사침략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수년간 팔레스타인의 국가 수립에 제동이 걸렸지만 팔레스타인은 하나의 국가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지난 5월 28일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 3국 정부가 각각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고,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바하마 등도 이에 앞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다. 지난 5월 10일 제10차 유엔총회 긴급 특별회의는 찬성 143표, 반대 9표, 기권 25표로 팔레스타인이 유엔헌장에 규정된 유엔 회원국 자격에 부합하며, 유엔 회원국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남아프리카 이스턴케이프, 홍수로 최소 10명 사망
    [동포투데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지역에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정부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 지역에서 심각한 홍수로 넬슨만델라베이시티에서만 1000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넬슨만델라베이시티 외에도 이스턴케이프주의 다른 많은 지역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보도 시점 현재 카리아가(Cariaga), 게베르하(Geberha), 이스트런던(East London) 등지에서 홍수로 인한 사망자 수는 10명에 이르렀고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5월 31일 이후 이스턴케이프주에서 폭우로 인한 홍수로 교통사고가 여러 건 발생하고 최소 10명이 사망했다. 이스턴케이프 주정부 대변인 요나스 빈크스는 계속되는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지고 가시성이 낮아져 이동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현재 주 비상대응부는 피해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재해 지역에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실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 2022년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에서 홍수가 발생해 8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고 461명이 사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4-06-04
  • 美 현직 대통령 아들 '불법 총기 소지' 재판 시작
    [동포투데이] CNN,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은 3일(현지 시간) '총기 불법 구입 및 소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죄명이 모두 확정되면 최고 25년의 징역형, 75만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올해 미국의 대선 기간 사상초유의 법정공방이 오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정치적 포커스는 미 역사상 처음으로 유죄 평결을 받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 아들로 넘어가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은 헌터 바이든을 허위로 서류를 작성하여 마약중독자임을 속이고 권총을 구매하여 불법소지한 혐의로 기소했다. CNN방송은 "미국과 미국 대통령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그동안 어떤 미국 대통령도 자신의 자녀가 재판을 받는 것을 지켜보면서 나라를 관리한 적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복수의 미 언론들은 이번 재판이 바이든 부통령에게 '무거운 부담'이 되어 재선 레이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헌터 바이든과 트럼프의 법적 딜레마는 미국 정치 제도에 대한 시험이다. 헌터 바이든의 재판이 유권자들에게 트럼프 사건의 '해독제'로 비칠지, '유사품'으로 비칠지는 지켜봐야 한다. 한마디로 이는 미국 정치의 분열과 추악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4
  • 호주 총리 “중국은 주요 무역 파트너... 무역 재개에 전념”
    [동포투데이] 호주 언론 보도에 따르면 5월 30일 호주 농무부 장관 머레이 와트는 중국 시장으로 육류 제품 수출이 중단됐던 호주 5개 소고기 판매업체가 중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회복했다고 확인했다. 중국은 5월 29일 밤 그전에 수입 중단 결정이 내려졌던 5개 기업에 대해 해당 결정을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본토는 여전히 호주 소고기의 세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다. 중국은 지난 15년 동안 호주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 하지만 2020년 스콧 모리슨 호주 전 총리 재임 중, 호주 정부가 맹목적으로 미국을 따라 중국과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파괴하면서 양국 관계가 바닥으로 떨어졌고, 호주의 대중 무역도 큰 영향을 받았다. 중국은 호주의 보리와 와인에 금지성 관세를 부과하고 여러 호주 소고기 공급업체의 수출 자격을 중단했다. 호주 현 정부가 5월 30일에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중국의 제한 조치로 호주 수출액은 206억 호주달러 감소했다. 2022년 노동당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있다. 알바니즈 현 호주 총리는 "중국은 호주의 주요 무역 파트너"라며 "중국과의 무역 재개에 전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발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호주-중국 정상회담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이후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이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중국을 방문한 것도 '긍정적 발전'이라고 밝혔다. 샤오첸(肖千) 호주 주재 중국 대사는 올해는 중국과 호주가 전면 전략 파트너 관계를 수립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며 중국과 호주 관계의 발전이 중요한 기회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3월 캔버라에서 열린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의 제7차 중국·호주 외교전략대화에서 "중국·호주 경제는 상호보완적이고 잠재력이 크다"며 "지난해 양국 무역액은 성장했고 호주 대외 무역 흑자 중 80% 가까이가 대중 무역에서 나왔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4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 2024 수학‧과학 STEAM FESTIVAL 개최
    [동포투데이]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손성호)는 지난 5월 31일(금요일), 본교 중등 학급 및 과학실에서 ‘수학·과학 STEAM FESTIVAL’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이 평소 이론으로 배우던 수학과 과학, 공학을 직접 체험하고, 퀴즈 대회를 통해 그동안 쌓아온 과학 지식을 마음껏 뽐내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하고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신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미리 경험해 볼 수 있는 수학‧과학‧공학 부스에 참여해 미래형 인재로서의 자신의 역량을 가늠해보는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중등 7~9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에 학급별로 선발된 도우미들이 지도 교사와 함께 준비한 6개의 수학 부스와 10개의 과학 부스가 설치되었다. 학생들은 다양한 부스들을 돌아보며 본인의 진로와 관심사에 따라 6~7개의 체험에 즐겁게 참여하였다. 수학 부스에서는 ‘스트링아트 책갈피 만들기’, ‘지혜의 하노이 탑 쌓기’, ‘방 탈출 게임(다양한 퀴즈 및 게임)’, ‘명탐정! 암호를 찾아라!’, ‘최강 팽이 배틀(무게중심, 내심, 외심 팽이만들기)’, ‘자신만의 눈송이 만들기’의 6가지 각기 다른 색깔의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과학 부스의 경우 ‘모빌과 평형’, ‘야광 팔찌 만들기’, ‘플라스틱 열쇠고리 만들기’, ‘드라이아이스 실험실’, ‘레이저 커팅기 활용 활동’, ‘에칭 판화 만들기’, ‘누가 누가 느린가(롤링볼)’, ‘바이러스 열쇠고리 만들기’의 10개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특히, ‘누가 누가 느린가(롤링볼)’ 부스는 3인이 1조가 되어 공이 최대한 느리게 바닥에 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장애물과 경로를 구상하여 학생들이 직접 설계도를 그리고 우드락과 핀으로 구현해보는 활동을 통해 물리와 공학, 건축을 융합하여 사고하는 유익한 경험을 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STEAM FESTIVAL 행사에 참여한 8학년 노00 학생은 “다양하고 재미있는 부스들이 많아서 학생들이 특정 부스에 몰리지 않고 골고루 즐길 수 있어서 정말 좋았고, 부스 도우미들이 친절하게 과학적 원리와 과정을 알려주어 과학에 더욱 흥미가 생겼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손성호 교장은 “이번 행사가 미래의 주역이 될 우리 KIS 학생들의 수과학 역량을 키우는 좋은 계기가 됨은 물론 자신의 창의력을 맘껏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4-06-03

실시간 뉴스홈 기사

  • 中, 고에너지형 슈퍼 축전기 궤도차 30초 충전에 5km 달려
    [동포투데이] 8월 22일 중처(中車) 주저우(株洲)전기기관차유한공사에서 조립을 완성한 고에너지형 슈퍼 축전기 궤도차는 30초만 충전해도 5km 달릴 수 있고 중형 여객기 탑승 여객수에 해당한 인원을 한번에 운송할 수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9-01
  • 세계무역조직(WTO) 사무총장 아제베두 정식 사임
    ▲아제베두 세계무역조직(WTO) 사무총장.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8월 31일, 프랑스의 에이에프피(AFP) 통신에 따르면 당일 세계무역조직(WTO) 사무총장 아제베두가 정식으로 사임, 1년 앞당겨 그 임기를 마쳤다. 이는 1995년 이 조직이 성립 이래 앞당겨 사직한 WTO의 첫 사무총장으로 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아제베두의 WTO 이탈로 이 기구는 지도자가 없는 등 여러 가지 위기에 직면,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은 수개 월간 지속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아제베두는 일찍 지난 5월 중순에 돌연적으로 임기 1년 앞당겨 WTO 사무총장 자리를 내놓겠다고 선포, 이는 이 조직으로 하여금 기나긴 새 지도자 선발에 들어가게 했다. 6월 초에는 후보자 선발 단계로 3명의 아프리카인, 2명의 유럽인과 2명의 아시아인 그리고 1명의 라틴아메리카인이 각축을 벌였다. 9월에 들어 WTO는 3라운드에 달하는 절충과 협의를 거쳐 점차 사무총장 후보 명단을 축소하게 될 것이며 이 과정은 11월 중순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그런데 부단히 격화되고 있는 국제 긴장정세 및 유엔기구와 기타 국제조직 책임자의 인선이 날로 정치화되어 WTO 사무총장의 인선 시간표도 혼란이 생길 수가 있다는 것이다. 즉 아제베두가 사전 이직을 선포하면 원래는 독일적 부 사무총장 브라우나 혹은 미국적 부 사무총장 볼프 중에서 한명이 사무총장 대리를 맡아야 했지만 이 문제에서 브뤼셀과 워싱턴 사이에 분규가 존재해 현재 WTO에 제 1 임자가 없게 만들었다. 지난 8월 31일, 프랑스 쟈크 델로르 연구소 연구원인 파브리에 따르면 광범한 지지를 받고 있는 브라우나에 대해서는 미국이 반대, 주요한 원인은 트펌프가 대선 전에 유럽에 대해 힘을 과시하려는데 있었다. 이 외 WTO 사무총장 인선을 둘러싼 미중 양국의 긴장관계가 이 기구로 하여금 무척 어려운 입장에 처하게 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그 어떤 WTO의 책임자도 결코 회피할 수 없는 문제가 아닐 수 없다. AFP 통신에 따르면 WTO의 사무총장 인선과정은 종래로 현재처럼 정치화의 현상이 없었다고 일부 관찰가들이 분석, 때문에 이 조직은 핍박에 의해 장기적으로 견지해오던 정책을 포기하고 성원들에게 투표를 요구할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하나의 중대한 전변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스위스 베른 대학 글로벌무역학원 엘저교수는 정책을 바꾸어 투표하는 방식은 현재의 환경에서 가장 불행한 것으로, 1999년의 경험으로 보아 이는 임기가 4년도 안 되는 사람으로 하여금 처음부터 절음발이로 되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09-01
  • 홍콩 경찰 1.7억 홍콩달러 가치의 마약 조사 압수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8월 30일, 인민망에 따르면 당일 오후 홍콩경찰은 브리핑을 열고 지난 8월 27일 수상에서 있은 마약퇴치 행동에서 여러 종류의 마약 대량 조사 압수했으며 그 가치는 1억 7000만 홍콩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사진=인민망 캡쳐)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9-01
  • 中, 절도·도굴 등 '문화재 사범' 특별단속 실시
    (사진=TV 방송화면 캡쳐)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중국 공안부와 국가문물국이 8월31일 TV화상회의를 가지고 전국 공안기관과 문물 부처가 이날부터 1년간 문화재 범죄 특별단속을 실시할 데 대해 포치했다. 중국 관영 중앙방송에 따르면 이번 행동은 석각을 절도하거나 고문화 유적인 고묘장을 도굴하고 고탑 등 문화재 건축에 대해 저지르는 범죄를 중점적으로 단속하게 되며 중점 문화재 보호단위와 국가의 진귀한 문화재에 대한 범죄도 단속하게 된다. 2017년 이래 공안부는 국가문물국과 손잡고 연속 3년간 문화재 범죄 특별단속을 전개해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다. 행동기간 3480건의 문화재 범죄 안건을 파헤치고 범죄 혐의자 5860여명을 나포했으며 문화재 4만여 건을 거두어들였다. 또한 해외에 유실된 문화재를 추적해 되찾아 오는 분야에서도 새로운 중대한 돌파를 이룩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9-01
  • HUFLIT, 제3회 베트남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동포투데이] 지난 2020년 8월 29일(토)에 호치민시외국어정보대학교 (HUFLIT) (한국학과장 Dinh Lan Huong) 본관 강당(6층)에서 제3회 베트남 한국어 말하기 대회(중고등부 부문)가 개최되었다. 전 세계가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회가 개최된 만큼 현장에는 발표자와 그 가족들 일부만 참여한 가운데 실시되었다. 2018년도부터 시작된 베트남 한국어 말하기 대회는 호치민시를 포함한 베트남 남부지역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동안의 한국어 학습 결과를 공유하고 평가할 수 있는 대회이다. 대상과 최우수상 수상자는 충남대학교에서 1개월간의 한국어 연수 기회가 주어지게 된다. 호치민시 한국교육원장 고지형 원장은 축사를 통해 ‘학생들이 그동안 갈고 닦은 한국어 실력을 마음껏 발휘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자리인 동시에 한-베 양국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력을 발굴 양성하는 좋은 계기가 되는 행사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 한국어 말하기 대회는 호치민시한국교육원과 호치민시 외국어 정보대학교 주관으로 주 호치민시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충남대학교와 부산대학교의 후원으로 실시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9-01
  •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추도문 보내라"
    ▲2013년에 공개된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 추정 사진. [동포투데이]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 지사가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희생자 추도식에 추도문을 올해도 보내지 않는 것으로 전해져 큰 논란이 예상된다. 매년 9월 1일에는 도쿄도 내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일본 시민단체 주도로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추도식이 40년 이상 개최돼 왔다. 과거 이노세 나오키, 마스조에 요이치 등 도쿄지사들은 재직 중 이 추도식에 추도문을 보냈으나, 고이케 유리코 현 지사는 2017년부터 보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일본에 거주중인 유학생들이 이런 상황을 전해줬고, SNS 상에서 '#고이케유리코는9월1일추도문을보내라(#小池百合子は9月1日に追悼文を送れ)'는 해시태그 캠페인 동참을 호소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현재 재일동포 및 유학생들이 펼치는 이런 의미있는 캠페인에 한국인들이 동참하면 더 큰 여론을 만들수 있기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해시태그 캠페인을 널리 알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서 교수는 "이번 SNS 캠페인으로 인해 간토대지진때 조선인 학살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잘 모르는 많은 일본 젊은층에게 정확한 역사를 알릴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1923년 9월 1일 도쿄도 등 간토 지방에는 규모 7.9의 대형 지진이 발생해 10만5천여 명이 희생됐다. 당시 혼란 속에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 "조선인이 방화한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퍼지자, 일본 경찰 및 군인 등이 재일 조선인들을 닥치는 대로 학살했다. 당시 독립신문의 기록에 따르면 이렇게 학살된 조선인의 수는 6천661명에 달한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정치
    2020-08-31
  • '권력과 색(色)의 교역' 80后 조선족 女간부 면직 처분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중국 염결진산 공식 웨이보((廉洁金山官微)에 따르면 원 상하이시 진산구(上海市金山区) 경제 위원회 부 주임이었던 김영려(金英丽)가 엄중한 법규위반 행위로 공직박탈 처분을 받았다. 김영려는 80 후의 조선족 여 간부로서 지난 5월 26일 심사를 받게 되었다. 유감스러운 것은 그녀가 일찍 2012년 제5기 ‘진산 10대 걸출청년(金山十大杰出青年)’으로 선정되었다는 것, 워낙 아주 유망한 여성간부였지만 직무의 진급은 도리어 그녀로 하여금 탐욕과 부패의 수렁에 빠지게 했다. 통보에 따르면 김영려는 거의 자원적으로 불량 상인들의 ‘수렴물’로 됐고 이들과 의기투합하여 권력과 돈, 돈과 색의 교역을 했으며 생활이 방탕하고 향락을 추구, 거액의 뇌물을 받아 챙겼다. ▲김영려(金英丽).ⓒ웨이보 사진 캡쳐 정부 당국에서 공개한 김영려의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김영려(金英丽). 여, 1981년 4월 생, 조선족, 지린 류허(吉林柳河) 사람, 석사연구생 학력, 무당파 인사, 2006년 사업에 참가. 2016년 7월, 상하이시 진산구 진산워이진(金山卫镇) 부 진장에 부임, 2019년 3월 진산구 경제위원회 부 주임에 부임. 전 제 6 기 진산구 정협 상무위원. 2020년 5월 26일, 상하이시 진산구 감찰위원회에서는 상하이시 진산구 경제위원회 부 주임 김영려를 엄중 법률법규 위반 혐의로 구속, 목전 김영려는 상하이시 진산구 감찰위원회에서 감찰조사를 받고 있다. 지난 8월 14일, 상하이시 진산구의 통보에 따르면 상하이시 진산구 진산워이진 부 진장과 진산구 경제위원회 부 주임으로 있는 기간 김영려는 초심을 망각, 조직을 기만하고 타인과 공모하여 거의 자원적으로 불량 상인들의 ‘수렴물’로 되어 의기투합하면서 권력과 돈, 금전과 색의 교역을 병행, 생활이 부화타락하고 향락을 추구했으며 지법범법(知法犯法)으로 직권을 이용하여 타인의 이익을 도모했고 아울러 거액의 뇌물을 받았다. 김영려는 자신이 지도간부로서 중앙의 8항 규정정신, 사회공덕과 국가의 법률 및 법규를 엄중히 위반한 범죄혐의가 있었다. 상하이시 진산구는 당의 18차 대회 후의 ‘수습되지 않으면 손을 놓지 않는다(不收敛不收手)’ 정신에 근거하여 김영려를 엄숙히 처리하기로 결정, ‘행정기관의 공무원 처리조례’, ‘중화인민공화국 공무인원 정무 처분법’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 감찰법’ 등 해당 규정에 따라 상급 부문의 비준을 거쳐 김영려에게 공직박탈 처분을 주기로 결정함과 아울러 범죄혐의 문제는 검찰기관에 이송하여 심사기소 하도록 했으며 해당 재물은 사건에 따라 이송하기로 했다. ▲김영려(金英丽).ⓒ웨이보 사진 캡쳐 김영려는 연구생을 마친 후 사업에 참가하자 각고의 노력으로 진산구 경제위원회 투자유치 정보과 과장직을 맡게 되었으며 2012년 9월에는 매 3년에 한 번씩 진행하는 제 5 기 ‘진산 10대 걸출청년’으로 선정 되기도 했다. 선 정 당시 김영려는 개척 진취심이 강했고 진산구 초상인자 대오건설 및 양성 플랫폼을 적극 구축, 투자유치 정보의 루트(渠道)를 개척하였으며 ‘진산의 가을(金山之秋)’, ‘진산지가(金山之家)’ 등 명목으로 영향력이 있는 투자추진 간담회,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진산구의 경제발전에 큰 기여를 하기도 했다. 그리고 당시 김영려는 “진산의 청년으로 계속 노력하여 ‘3개 진산(창업 진산, 안락 진산과 조화로운 진산)’ 건설을 위해 벽돌과 기와를 첨가하겠다”란 맹세를 한 영상은 지금도 남아있다고 한다. 2013년 김영려는 상하이시 진산구 청년연합회 부주석으로 당선되었고 이외 진산구 제 6 기 정협 상무위원, 진산구 민족연합회, 지식인연합회 등 조직과 사회단체의 여러 가지 직무를 맡기도 했다. 헌데 이렇듯 전도가 양양한 젊은 여성 간부가 결국에는 부화방탕하고 법률과 법규를 위반하는 수렁에 빠져 자신의 일생을 망치고 국가에도 막대한 손실을 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왼쪽에서부터 덩제이(邓洁), 장바오훙(姜保红), 스수전(时素珍).ⓒ웨이보 사진 캡쳐 한편 ‘남방도시보’에 따르면 이미 낙마한 관원들을 보면 권력과 색계의 교제, 금전과 색계의 교류 등은 흔히 나타나는 일, 하지만 그 대부분 남자들이었고 여성관원과 관련된 것은 극히 보기 드물었다. 그리고 이미 폭로된 남성관원들은 ‘권력으로 색을 탐하고 권력과 색을 교역’했지만 여성관원들의 대다수는 ‘색으로 권력을 탐하고 권리로 부패를 저지르는 것’이었다. 보도에 따르면 18차 당 대회 후 낙마한 여성관원으로는 광둥성 중산시(广东省中山市) 원 부 비서장 겸 시 접대 판공실 주임, 시 과학기술협회 원 당조서기였던 덩제이(邓洁), 원 간수성 우워이시(甘肃省武威市) 미녀 부시장 장바오훙(姜保红), 원 바오터우시(包头市) 정협 부 주석인 스수전(时素珍) 등 3명으로 모두 권력과 색의 교역 및 금전과 색의 교역과 연관이 있었다. 이 중 2018년 4월에 낙마한 덩제이는 ‘권력과 색의 교역 및 금전과 색의 교역’으로 당적과 행정직을 박탈당했고 2018년 10월에 낙마한 장바오훙은 ‘권력과 색의 교역으로 직무승진 등 부당한 이익을 꾀한 것’ 등으로 역시 당적과 행정직을 박탈당했으며 2019년 5월에 낙마한 스수전 은 ‘권력과 색, 금전과 색의 교역’으로 공직을 박탈당하였다. 현재 덩제의 탐오, 수뢰 등 혐의는 이미 광둥성 장먼시(广东省江门市) 인민검찰원에 기소되었고 장바오훙은 지난 1월 22일에 이미 유기형 12년에 언도됨과 아울러 벌금형 100만 위안, 불법 수입 1418만 위안, 미화 2만 달러와 황금 300그람 등은 모두 몰수당한 상황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31
  •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직원, 코로나19 확진 판정
    [동포투데이] 정부청사관리본부(본부장 한창섭)는 8월 31일 정부서울청사(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 별관에 입주해 있는 외교부 직원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확진자는 제주시 확진자(#38) 밀접접촉자로 금일(31일) 검체검사를 실시하였고 오후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서울청사관리소(소장 문금주)는 금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9층 해당부서를 일시 폐쇄하고 청사 전체를 대상으로 소독을 실시하였다. 이와 관련 외교부와 서울청사관리소는 동 직원의 확진을 대비해 소속 부서 직원(12명) 및 공무직(1명)에 대해 금일 출근하지 않고 자택 대기토록 조치한 바 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팀에서 추가적으로 현장조치 및 역학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서울청사관리소에서도 청사 내 CCTV 등을 통해 해당직원의 동선을 확인하는 한편, 해당 기관 및 입주기관과 협조하여 접촉자 등을 파악하고 있다. 또한, 청사 내 입주기관에 방역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 준수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청사 내에서도 이동을 최소화하도록 안내하는 등 청사 내 감염병의 사전 차단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20-08-31
  • 케일리 매커내니- 트럼프 득표율 위해 본인 사생활 공개
    ▲미국 백악관 미녀 대변인 케일리 매커내니.ⓒAP통신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지난 28일, 외신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 미녀 대변인 케일리 매커내니가 트럼프 득표율 상승을 위해 발언하던 중 거리낌 없이 본인 사생활을 공개하여 화제꺼리로 되었다. 미국 당지 시간으로 지난 8월 26일은 미국공화당 전국 대표대회가 3일째 접어들던 날이었다. 당일, 트럼프에 대한 많은 여성들의 득표율을 높이기 위해 백악관 대변인 케일리 매커내니와 고급 고문 켈리 앤 콘웨이 등 여성막료들이 모두 등장, 그 와 중 케일리 매커내니가 자기의 개인경력을 소개한 뒤 여성들에 대한 트럼프의 관심에 역점을 두고 강조했다. 케일리 매커내니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2018년 나는 예방성 유방 절제수술을 하였다. 당시 나는 마취상태에서 깨어난 뒤 트럼프 대통령 딸 이반카의 전화를 받았고 이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대통령을 만난 뒤 나는 트럼프 대통령은 시종 미국인과 함께 있다는 것을 절감했으며 나의 인생을 지지해주는 트럼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그를 지지해 주기로 했다. 나한테는 생후 9개월 되는 딸애가 있다. 매번 보배둥이의 눈동자를 볼 때마다 나는 일종 새 생활을 보는 듯 했다. 이는 하나의 기적으로 나로 하여금 강렬한 책임감으로 딸애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면서 매커내니는 딸애를 위해 트럼프를 지지하는 사업을 선택했다고 하면서 자기의 딸애가 반드시 트럼프가 이끄는 미국에서 성장하게 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매커내니는 또 “이전 한 예방성 유방절제 수술은 나의 가장 간난한 선택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고 앞으로 나의 딸애를 보호하며 우리의 미래를 위해 이 선택을 했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등장한 켈리 앤 콘웨이는 자기가 백악관을 떠나는 것은 집 식구들과 더 많은 시간을 가지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가 있었기에 이 욕망이 실현될 수 있었다고 했다. 최근 미국 매체들에 따르면 켈리 앤 콘웨이는 8월 말 백악관에서 퇴출, 이직 이유는 전문 가정에 충실하기 위한 것이었다. 켈리 앤 콘웨이는 민의조해와 매체 전문가로서 2017년 1월, 백악관의 고급 고문으로 임명되었다. 2019년 2월 2일 저녁, 그녀는 트럼프 대통령의 난민입국 금지령을 변호하면서 전 오바마 대통령도 유사한 조치를 취한 적이 있다고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8-30
  • 中 ‘텐원 1호’ 화성 탐측기 비행노정 1억여 킬로미터
    ▲중국 화성 탐측기 ‘텐원 1호(天问一号).ⓒ인민망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8월 29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국의 화성 탐측기 ‘텐원 1호(天问一号)’의 근황을 보도, 8월 28일 10시 08분까지 ‘텐원 1호’ 탐측기의 비행노정은 1억 여 킬로미터에 달한다고 하고 나서 탐측기 상태가 안정적이고 에너지원이 평형을 이루며 여러 개 탑재화물에 대한 자체 검사가 완성되고 설비상태의 정상을 확인, 현재 해당 작업이 원 계획대로 안전하게 추진되고 있다고 했다. ‘텐원 1호’ 탐측기는 8월 28일 10시까지 이미 궤도에서 약 36일간 비행, 지구와의 거리는 약 1075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중국 국가 항천국 달 탐사 및 항천 프로젝트 센터 전문가(探月与航天工程中心专家)에 따르면 지난 7월 23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텐원 1호’는 창정 5호(长征五号) 운반로켓에 탑재되어 직접 지구와 화성 사이의 전이궤도(转移轨道)에 진입, 인공행성이 되어 지구와 화성과 함께 태양계 주위를 돌며 공전하다가 점차 지구와 이탈해 화성으로 향했으며 화성에 도착했을 때는 탐측기와 지구의 거리가 약 1.95 억 킬로미터로, 실제 비행 노정은 약 4.7억 킬로미터가 된다. 한편 비행기간 탐측기는 지구와 달의 합영 사진 촬영에 성공했고 처음으로 궤도 중도수정을 했으며 탑재화물 자체검사 등 일련의 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8월 19일 22시 20분부터 화성 마그네토 미터(磁强计), 광물광보 분석의(矿物光谱分析仪), 고분별율 촬영기와 중분별율 촬영기 등에 대한 자체 검사를 완성했고 설비상태 정상을 확인했으며 각 항 비행통제 등 작업을 정상적으로 전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탐측기는 향 후 심공기동(深空机动)과 여러 차례의 중도 수정을 거치게 되며 아울러 화성 궤도에 접근해서는 포획(捕获), 착륙, 순라 등 임무를 이행하게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3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