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5(수)
 
未标题-2.jpg

【동포투데이】김정 기자= 미국 “국가이익” 잡지는 5일 문장에서 동해 방공식별구역 문제에서 중국이 미국보다 더욱 큰 결심을 보여줬다면서 추상적이고 상대적인 군사실력은 이곳에서 적용되지 않는다고 썼다고 신화통신이 6일 보도했다.

문장은 일단 사태가 발생하면 수습할 수 없을 것이며 문제는 누가 조어도의 원가와 모험을 통제할 준비가 더 잘 되였는가에 달려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에 있어 이 섬은 매우 중요하며 또 중국은 매우 큰 우세가 있다. 이 섬은 중국대륙과 340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는데 반해 미국 하와이와는 8000킬로미터, 로스앤젤레스와는 1만 100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이같은 지리상의 접근은 중국대륙에 커다란 우세로 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이 여기에서 가장 낙관적인 군사성공을 거둔다 하더라도 정국이 이미 결정됐다고 말할수는 없다.

동해 방공식별구역 문제에서의 미국 바이든 부통령의 “심중한 태도”를 두고 러시아 신문 “장사하는 사람들”은 5일 학자의 관점을 인용해 “이번 미국 바이든 부통령의 중국 방문에서 우리는 중ㆍ미 두개 세계대국의 전 세계에 대한 실제적인 통제를 보았다. 두개 중요한 국가는 목전 평등한 게임대상으로 되고 있다. 이번 바이든의 중국방문에서 중국은 이 목표를 위해 한보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디었다”고 지적했다.

사실 미국사회 정서로 보면 바이든이 이번에 동아시아에서 취한 심중한 입장은 그리 이상할 것 없다. 세계 사무에 대한 미국의 간섭을 두고 러시아 “관점보”는 5일 국립 모스크바대학 전문가 비리크의 “세계헌병 이젠 지쳤다”는 문장에서 “미국인들은 세계사무에 대한 미국의 간섭에 지쳐있는바 과반수의 미국 국민들은 미국이 국제상에서 ‘쓸데 없는 일에 적게 참견’할 것을 희망, 미국지도자들이 세계 모든 지역의 사무에 참견하는라 국내문제 해결에 소홀하다고 인정하고 있다”고 썼다.

한편 중국의 “환구시보”는 6일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미국 바이든 부통령이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의 동해 방공식별구역 설정 등 분기를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려 한 것은 중국에 대한 미국의 태도가 성숙되어 가고 있음을 표명한다”고 지적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러시아 언론 : “세계헌병 지쳤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