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 김철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세히 관찰해보면 중국인들이 “망썬머?(忙什么?)”하는 말을 잘 하는 반면 한국인들은 어디서나 “빨리 빨리”라는 말을 밥먹듯 한다는 것을 어렵잖게 보아낼 수 있다. “빨리 일어나라”, “빨리 세수하고 밥먹어”, “빨리 끝내고 한시간쯤 푹 쉬자”, 여기서 푹 쉰다는 것도 한시간 정도니 역시 쉬는 것도 빨리 쉬라는 뜻인데 여하튼 한국인들의 생활은 빨리를 떠날 수 없다. 또한 한국인들의 행동도 명실에 부합되게 빠르기 그지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한국인들의 생활근성을 자상히 관찰해보면 남들한테 뒤떨어지는 것을 아주 큰 수치로 여김이 분명했다. 그 실례로 스페인 라스팔마스에서 사는 한국교민들을 내세울 수 있다. 그들의 거개가 한국에서 사업을 벌이다가 망한 뒤 이민으로 온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라스팔마스로 온 뒤 그들은 동산재기의 정신으로 열심히 일하여 경쟁에서 본토사람들을 능가하고 있었는데 실로 감탄할만했다.

 

필자가 스페인 라스팔마스에서 만나 알게 된 이횡권, 유혁선 부부가 라스팔마스로 올 때만 해도 빚을 잔뜩 지고 거의 도망치다싶이 온터였다. 그러다보니 집은 물론 내일 먹을 빵을 살 돈마저도 없었고 집은 물론 내일 먹을 빵을 살 돈마저 쪼개써야 하는 형편이었다. 다행히도 그때 당지의 스페인 사람들은 부두의 잡부나 거리의 청소부같은 일을 꺼렸었다. 그들 부부는 천한 직업이나마 일자리는 쉽게 얻을 수 있었다. 그러자 그들은 잡부나 청소공 샅은 임시일을 맡아하는 한편 한국선박들이 자주 들이닥치는 실정에 따라 김치나 두부 같은 것을 만들어 선박에 가서 팔았는데 장사가 아주 잘되었다. 이렇게 몇년간 고생하여 돈이 모여지자 식당 하나를 세맡고 한식관을 차렸었다. 그것이 바로 “호텔강촌”의 전신인 “강촌식당”이었다.

 

그 뒤 그들은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트롤선 세척을 세맡아 아프리카 해상에서 어로작업을 벌였으며 몇년간의 만선기를 날린 끝에 자기의 트롤선 세척을 새로 갖추고도 4층으로 된 “호텔강촌”을 일떠세웠다.


 캡처.JPG

한편 부지런히 일하는 기질은 그들 이횡권, 유혁선 부부한테서도 얼마든지 보아낼 수 있었다. 우선 이횡권씨는 호텔의 사장이고 선박회사의 보스였으며 또 한국순복음교회 라스팔마스지부의 지부장으로 일하는 몸이었건만 일단 식당으로 들어서면 요리를 날라주고 마늘을 바르고 남새를 다듬는 것과 같은 일들을 꺼리낌없이 하였으며 유혁선 여사의 요리 만들기와 김치 담그는 솜씨는 웬간한 주방장은 뺨칠 정도로 수준급이었다. 그의 주방일군들은 역시 손님이 없으면 트럼프나 고스톱을 치면서 흥얼거리는 것이 아니라 손에 일감을 떨구지 않았으며 하다 못해 유리를 닦거나 솥밑의 때를 벗기거나 하는 일로 시간을 보내군 하였다.

 

라스팔마스에서 이렇게 열심히 사는 이는 이횡권네 부부만이 아니었다. 자상히 살펴보면 “무궁화백화점”, “대서양상회”, “불꽃나이트클럽” 등 한국인 업체들에서도 모두 그렇게 하고 있었다. 그들은 삶의 시스템부터 당지의 스페인 사람들과는 근본 달랐다.

 

첫째, 스페인 사람들은 겉치레로 크고 호화로운 건물에서 일을 보면서 하인부터 쓰지만 한국인들은 작은 건물에서도 큰 효과를 보려 하며 될수록 자체로 모든 일을 대체했는바 구멍가게 같은 곳에서도 별의별 사업을 다 벌일 수 있었다.

 

둘째, 스페인 사람들은 언제나 앉은 자리에서 손님이 찾아들기를 기다리며 값도 할인해줄줄도 모르지만 한국인들은 손님이 있는 곳이면 그 어느 곳이든 찾아간다. 그 실례로 우리 선박이 그곳에 입항할 적마다 많은 한국인 업체들이 다투어 선박에 찾아와서는 물건을 예약하거나 식당으로 청하군 했는데 혹간 선박에서 부식물같은 것을 올리거나 하면 라이타나 볼펜을 선물로 주고 한끼 청해먹이는 것도 잊지 않았다. 또한 상점 같은 곳에 들어서면 서비스가 어찌도 좋은지 콜라나 커피같은 것을 공짜로 마음대로 마시게 하여 그걸 먹고 물건을 사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이렇게 열심히 하노라니 같은 한국인 사이에도 경쟁이 생기지 않을 수 없었으며 따라서 그 곳에서 망하는 한국인들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라스팔마스에서 망하는 한국인들은 재차 미개척지인 아프리카로 진출했다. 그래서 라스팔마스의 한국인들은 “한국에서 라스팔마스로, 라스팔마스에서 아프리카로” 라는 말도 나왔는데 경쟁에서 적수였지만 누가 일단 아프리카로 간다면 다시 사업을 벌이라고 한인회에서 의연금을 모아 챙겨주는 것을 잊지 않는다고 했다.

 

아니나 다를가 아프리카 코트디바르(상아해안)의 아비쟝에는 라스팔마스로부터 건너온 이씨 성의 한국선식상 한명 있었다. 한국에 늙으신 모친과 아내 그리고 자식 셋까지 두고 왔다는 그는 당지의 흑인여인과 동거하면서 또 혼혈아 둘을 낳아키우고 있었다. 그토록 열심히 일했건만 자주 사업이 망해 이러구 저러구 하여 한국으로 갈 수 없었던 사나이, 그래서 그가 제일 즐겨부르는 노래가 바로 “머나먼 고향”이였다.


머나먼 남쪽하늘아래 그리운 고향

사랑하는 부모형제 이몸을 그리워

천리타향 낯선거리 헤매는 발길

한잔술에 설음을 타서 마셔도

마음은 고향하늘로 달려갑니다

이렇게 망하고 또 망하는 지겨운 해외생활 끝에 머리에 흰서리가 한 벌 덮인 사나이었건만 그의 신념은 변함이 없었다. 그것인즉 언젠가는 꼭 돈 많이 벌어 조상의 뼈가 묻힌 조국으로 간다는 것이었다. 그래서인가 그는 검은 피부를 가진 애들한테 한국말과 한글을 열심히 가르치고 있었다. 그 애들 또한 그렇게도 정확하게 “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등의 한국말을 번지였다. 특히 그 애들이 부르는 “반달”, “바다가 육지라면”, “고향의 봄” 등 노래 중에서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란 대목을 듣노라면 옆에 있는 우리들까지 눈물이 나올 지경이었다. 아, 얼마나 고향이 그리웠으면 저 깜둥이 자식에게까지 그런 노래를 배워주었으랴. 그렇다. 잠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고향이지만 언젠가는 넘어진 자리에서 일어나 소원성취하고 금의환향하겠다는 그 정신과 자세가 소중했다. 여기서 우리는 실패가 무서운 것이 아니라 그 실패로 인해 붕괴되는 정신적인 실패가 더 무섭다는 철리를 터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실례로 모진 실패와 시련을 거듭하면서도 끝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막에 남새재배로 성공한 “사막에 피는 꽃”의 한국인 주인공인 김용복씨를 들 수 있다.

 

스톱, 여기까지 쓰고 나니 우리 중국 조선족들의 삶에 대한 자세를 반성해보지 않을수 없다. 집에서는 부모한테 의뢰하고 밖에서는 공짜가 생기기만을 바라는 삶의 방식, 여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위에서도 언급하다싶이 라스팔마스의 이횡권씨 부인인 유혁선 여사는 아무리 간고하고 힘든 때도 남편을 배반할 엄두도 못냈거니와 사업에서 실패한 남편이 불쌍하기만 했으며 그럴수록 남편을 도와주어 성공하도록 하고 싶었단다. 아비쟝의 이씨 사나이의 한국부인 역시 남편이 아비쟝에서 깜둥이 여인과 여차여차한다는걸 번연히 알면서도 운명에 순종하면서 시어머니를 모시고 악착스레 살고 있다고 했다. 하다면 이에 반해 우리의 여인들가운데 남의 남자가 남편보다 더 우월해보이고 혹간 남편이 사업에서 망하면 그런 남편한체 아이들까지 떠맡기고 도망가는 여인들이 수두룩하다. 이는 머나먼 한국여인들을 말고라도 우리의 지난 세기 60 ㅡ 70연대에도 거의 볼 수 없었던 상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기에 오늘 두번째 아이의 출생을 거부하는 남편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그들의 말을 빈다면 자기의 여편네도 건사하기 어려운 세월에 두번째 아이를 어떻게 낳느냐는 것이다. 하다면 조선족의 인구장성 먼저 조선족의 자질제고가 급선무라는 필자의 주견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다음기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해외견문 시리즈 젊은 마도로스의 수기(15) 한국인의 삶의 자세와 중국의 조선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