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282e4010f05.jpg
 
[동포투데이] 1996년에 터진 페스카마호사건이 벌써 20년 세월을 주름잡고 있다. 당시 전재천 등 6명의 변호인으로 나섰던 조봉변호사는 지난 9월 3일 한국에 나가 8일까지 천안, 대전, 광주, 부산 네 교도소에서 수감생활을 하고 있는 전재천, 최일규, 리춘승, 박군남, 최금호, 백춘범씨를 선후로 면회했다.

중국 언론 요녕신문에 따르면 주조봉변호사는 일전 기자와의 일터뷰에서 "면회때 만난 전재천, 최일규, 리춘승, 박군남, 최금호, 백춘범 등 6명의 정신, 건강 상태가 안정적이고 양호했다. 전재천 외 5명은 각자 교도소에서 모범수감자로 수차 표창을 받았다. 특히 백춘범씨는 2014년 '가족만남의 집'행사에 참가하는 특혜를 입어 교도소외 호텔에서 가족들과 함께 생활하기까지 했다"면서 그러나 "가족들의 면회가 수월치 않다. 비자건으로 가족들의 한국행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주원인이지만 이들이 수감된 후 가정생활에 어려움이 더해져 가족들이 쉽게 한국행을 엄두내지 못하는 것도 한 원인이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조봉변호사는 이번 면회에 "부모님 돌아가기전에 부모얼굴이나마 자주 보았으면 한이 없겠다"는 이들의 하소연에 마음이 몹시 아팠다고 전했다.

조봉변호사는 페스카마호사건 발생당시의 배경에 대해서도 요약해서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1996년 10월 26일 1심판결에서 전원 모두 사형에 선고했으나 이듬해인 1997년 4월 18일 2심판결에서 이들의 범행이 선장과 갑판장의 비인간적인 폭행과 욕설에 기인된 점을 감안해 전재천외 5명은 무기형으로 선고됐다. 전재천은 2007년 한국정부의 특사로 사형을 감면받게 되였던 것이다.

조봉변호사는 "최근년간 한국사회에 내재한 조선족 배타정서가 극에 달하고 있고 이를 주시하는 조선족사회의 시선 또한 곱지만은 않다. 양국간 국민들의 대립정서를 해소시키는 것은 두 나라 지성인들의 사명감이 아닐수 없다. 우리는 당년의 페스카마호 비극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中 변호사 "페스카마호 비극의 교훈 잊지 말아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