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9(일)

전체기사보기

  • 독도사랑운동본부, ‘다케시마의 날’ 철폐 촉구
    ▲ 사진제공=대한민국독도사랑협회 [동포투데이] 대한민국 독도사랑협회가 22일 14시에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에서 일본의 ‘다케시마의 날’ 철폐를 촉구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전국학생대표 이승재학생(배재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 1년)의 “일본학생에 고함”과 안청락 협회장의 “다케시마의 날 철폐 촉구” 선언문을 통해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진심어린 반성과 사죄만이 새로운 시대로의 도약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지방정부인 시마네현이 매년 2월 22일 주관하고 있는 행사로,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제정한 날이다. 다케시마(竹島)는 독도의 일본식 명칭으로, 1905년 2월 22일 독도를 일본 제국 시마네현으로 편입 고시했던 것을 기념하기 위해 2005년 '다케시마의 날'을 지정하였다. 시마네현 의회는 2005년 3월 16일 다케시마의 날(2월 22일)지정 조례안을 통과시키고, 다음 해인 2006년부터 매년 2월 22일에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개최해 일본의 독도영유권을 주장 하고 있다. ▲ 사진제공=대한민국독도사랑협회 일본 정부는 2차 아베 정권 출범이후인 2013년부터 차관급 인사들을 행사에 참가시키고 있으며, 2017년에는 무타이 순스케(務台俊介) 내각부 정무관이 참석하고, 올해는 야마시타 유헤이(山下雄平) 내각부 정무관을 파견하는 방침을 정했다고 교도통신과 산케이신문이 16일 전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1월 25일 도쿄 중심가에 '독도가 일본땅'이라며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영토 주권 전시관을 개관해 "독도가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영상을 상영하는 등 독도 침탈 야욕을 노골화 하였다. 또한 초·중·고등학교 국정교과서에도 독도가 일본땅이라는 교육내용을 넣어 자라나는 세대에 거짓역사를 교육하고 있다. 반면, 우리 정부는 우리땅에서 열리는 올림픽에서조차 일본의 눈치를 보느라 독도가 빠진 한반도기를 사용해 국민의 공분을 자아내고 있다. 대한민국 독도사랑협회 안청락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그동안 우리정부는 독도가 국제적 분쟁지역으로 부각되는 것을 우려해 조용한 외교정책을 실시해 왔지만 조용한 외교정책으로 얻은 실리는 없고 꾸준한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으로, 독도가 국제적 분쟁지역으로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정부차원의 강력한 독도정책을 실시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 사진제공=대한민국독도사랑협회 이번 행사를 총괄한 대한민국 독도사랑협회 전일재 사무총장은 “실효적 지배사실만 믿고 독도문제를 안이하게 대처하는 정부가 제일 큰 문제이고, 평창올림픽 한반도기에서 독도 표기를 뺀 것은 우리 스스로 독도주권을 포기한 것이며, 국민의 자존감에 큰 상처를 주는 행위로 차후 일본과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기에 이러한 매국행위를 한 올림픽조직위를 형사고발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독도사랑협회 회원, CS해밀 독도지킴이, 리플리히 오케스트라, 국악연주단 등 200여명이 참여 했으며, 경상북도 체육회 독도사랑스포츠공연단의 태권도 공연도 성황리에 진행하였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18-02-22
  • ‘제4회 인성교육대상·교육공헌·교육브랜드 대상’ 수상후보자 공모
    [동포투데이] 제 4회 ‘2018 대한민국인성교육대상(Korea Character Education Awards 2017) & 대한민국교육공헌대상(Korea Education Contribution Awards 2018)’ 시상식이 오는 3월 31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다. 이번 인성교육 & 교육공헌 대상은 ‘2018 대한민국인성교육대상 &교육공헌대상조직위원회, 글로벌교육브랜드대상 조직위’와 김병욱 의원실(더불어민주당 성남시분당구을), 한국교육신문연합회, 대한민국베스트브랜드협회가 주최하고, 뉴스에듀신문, 나비미디어가 주관하며, 국회교육문화체육위(예정), 한국교육연합신문, 한국교육전문기자클럽, 국제학생기자단, 아하취업아카데미 등이 후원한다. ▲ 지난 2017 ‘제 3회 학교폭력 예방 세미나 및 인성교육대상 · 교육공헌대상 · 교육브랜드 대상’시상식이 국회의원회관 제1회의장에서 개최됐다. 시상 부문은 의정교육부문, 공기업교육부문, 지자체교육부문, 공직자교육부문, 청렴교육부문, 교육언론사부문, 인권교육부문, 나눔봉사부문, 글로벌교육부문, HRD교육부문, 청소년교육부문, 사회교육부문, 성인교육부문, 청소년수련원부문, 문화예술교육부문, 경제교육부문, 대학교육부문, 일자리교육부문, 진로교육부문, 환경교육부문, 온라인교육부문, 명강사부문, 기타 교육부문을 시상한다. ‘2018 대한민국인성교육대상 & 교육공헌’ 선정심사위원회는 후보자에 응모한 지도자와 교육단체 및 개인을 대상으로 수상후보를 선정하게 된다. 응모 대상은 인성교육 발전에 기여한 지도자, 교육자, 단체(법인) 및 개인을 발굴해 시상하게 된다.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메달을 수여한다. 한편, 지난 이번 시상식에서도 행사에 이어 청소년들에게 소정의 장학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2018 대한민국인성교육대상 & 교육공헌’ 후보를 추천 또는 신청을 하고자 하는 분은 뉴스에듀신문사 공지사의 후보 신청서(기사 하단 첨부파일) 1부를 작성하여 ‘대한민국인성교육대상 & 교육공헌대상’ 대회조직위원회 이메일 ( aha310@naver.com )으로 송부하면 된다. 시상 후보자 접수마감은 3월 20일(화)이며, 23일(금)뉴스에듀 사이트 및 언론을 통해 수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시상식은 오는 3월 31일(토)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회의실에서 거행된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사회
    2018-02-22
  • 연변부덕 FC, 카메룬 출신 용병 테스트…영입 작업 마무리될까
    ▲ 까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수비수 라파엘 메시 불리(Raphaël Éric Messi Bouli)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수비수 라파엘 메시 불리(Raphaël Éric Messi Bouli)가 현재 연변부덕에 합류하여 테스트를 받고 있는 중이다. 현재 25세인 라파엘 메시 불리는 지난 시즌까지 카메룬 프로리그 Apejes FC에서 활약,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확보 중이다. 거물급 세계스타 아르헨띠나 국가대표팀의 공격수 메시와 같은 이름을 보유하고 있어 카메룬 "메시"라고도 불리운다. 라파엘 메시 불리는 지난달 카메룬 국가대표2팀을 대표하여 2018모로꼬 아프리카 국가선수권대회에 참가하여 인상적인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이 중 한 경기에서는 전에 연변부덕에서 테스트를 받은적이 있는 공격수 프란츠와 공동이 잔디를 밟았다. 프란츠는 지난달 카메룬을 떠나 미국 프로리그에 가맹하였다. 라파엘 메시 불리, 프란츠와 허난 젠예의 외국인 선수 바소고그는 모두 미국에 장기거주하고 있는 카메룬적 매니저 킹슬리(Kingsley가 거느리고 있다.
    • 스포츠
    2018-02-22
  • 日 시마네현, 시민 생활속에 '독도'를 주입하다
    ▲ 시마네현청 주변 대형 상점에서 독도 관련 술, 과자 등이 판매되고 있는 모습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독도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는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팀이 매년 2월 22일 일본 시마네현에서 열리는 자칭 '다케시마의 날' 행사의 준비 상황을 답사한 후 "시민들의 생활속에 독도를 주입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서 교수는 "요근래 매년 행사의 준비상황을 지켜 보면서 독도관련 책, 술, 과자, 자판기 등을 만들어 독도를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들더니 올해는 차량용 스티커, 강치 캐릭터 등 더 다양한 상품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시마네현청 주변을 다니면 대형 상점가에서 독도관련 술과 과자를 쉽게 접할 수 있고, 시민 모임 장소 및 서점 등에서는 강치를 캐릭터화 해 만든 동화책 '메치가 있던 섬'을 어디서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동화책은 일본 내각관방 영토주권대책 기획조정실에서 구연동화 영상으로 제작해 유튜브에 올려 홍보중이며, 전자책으로도 제작하여 일본 전역의 초중학교 3만 2천여곳에 배포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에 서 교수는 "이처럼 생활속에서의 문화 컨텐츠를 활용하여 일본인들에게 '독도가 일본땅'임을 자연스럽게 주입하고 있다는게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시마네현청 제3분 청사 2층에 자리잡은 '독도자료실'에는 일본측 억지 주장이 담긴 다양한 독도관련 전시물이 소개되어 있고, 특히 올해 1월말 도쿄 히비야공원 내 '영토 주권 전시관'이 만들어진 것도 전시중이다. 이에대해 서 교수는 "예전과는 달리 독도자료실 직원이 안내서 및 기념품을 먼저 전달해 주면서 시마네현에서의 꾸준한 활동이 독도를 일본 교과서에 넣을 수 있었고 또한 도쿄에도 전시관을 만들어 냈다며 자랑스러워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이젠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일본의 한 작은 지역의 행사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 커져버렸다. 하지만 우리도 이젠 소극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좀 더 전방위적인 독도홍보를 진행해야만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정치
    2018-02-22
  • 연길서 옥사한 중국의 말대황후- 완용①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곽부라 완용(郭布罗·婉容)은 자가 <모홍(慕鸿)>이고 호는 <식련(植莲)>으로 중국의 말대 황후이다. 완용은 별명으로 영월화(荣月华), 이리싸 백(伊丽莎白) 등이 있으며 중국의 만청시대 및 민국시대를 겪으면서 이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 중의 한명이었고 또한 시대의 희생품으로 된 비운의 여인이기도 했다. 곽부라 완용은 1906년 11월 13일, 청정부 내무부 대신인 영원(荣源)의 규수로 태어났다. 생모 아이신기오로(爱新觉罗氏)는 완용을 낳은 뒤 산욕열(产褥热) 로 사망, 완용은 계모 김중형(金仲馨)의 슬하에서 자라게 되었다. 완용의 계모 김중형은 당시 조정에서 일정한 권세가 있는 왕박후(王溥煦)의 손녀로서 완용을 총애하면서 아주 자상하게 완용을 돌봐주었으며 이들 모녀간은 더없이 화목했다고 한다. 한편 완용의 부친 곽부라 영원은 일명 개명인사로서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인사였으며 여자애들도 남자애들처럼 학당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인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부친이 있었기에 어릴 때의 완용은 독서하고 글자를 익히는 외 악기를 다루고 그림 그리는 것도 배울 수 있었으며 또한 미국인 이사벨(Miss Isabel) 여사를 가정교사로 초빙해 영어를 배우기도 했다. 당시 완용은 아우르족(达斡尔族) 가정의 공주로 부유한 생활환경과 현저한 가족지위가 있었으며 특히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교육은 그한테 아주 심각한 영향을 주었다. 1922년, 이미 16살이 된 완용은 용모가 단정하고도 아름다운 숙녀로 탈바꿈했다. 아울러 양금을 다루고 붓글씨도 제법 잘 쓰는 등으로 그 이름이 원근에 자자했다. 그 해 완용은 고궁(자금성)에 입궁, 그 해 11월 30일에 <청조사상의 마지막 황후>로 되었다. 당시 완용이 황후로 된 것은 단지 그가 아름답고 다재다능해서만이 아니었다. 즉 근황귀비(瑾皇贵妃)의 지지가 있었기에 마침내 황제였던 부의가 완용한테 방점을 찍었던 것이다. 1911년 중국은 2000여 년간 지속되던 봉건군주제를 결속시키고 공화제의 길로 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화민국 정부는 대청제국 황제의 퇴위 후에도 여전히 황제‧황후의 존호(尊号)를 폐지하지 않았으며 부의와 완용에 대해 군주에 해당한 대우를 해주었다. 때문에 부의와 완용의 혼례는 완전히 황제의 혼례로 예의를 갖추고 거행되게 하였으며 민국정부의 특별 승낙으로 황후가 탄 가마가 동화 문으로부터 자금성의 후반부로 들어가도록 하였다. 귀족출신인 완용은 지식이 있고 예의가 밝았으며 제법 시를 쓰고 읊을 줄도 알았다. 또한 부의와 서신 거래를 할 때면 늘 영문으로 쓰면서 마지막엔 꼭 <이리싸 백>이라고 서명하군 했다. 거기에 완용은 용모가 단정하고도 아름다웠고 행동자세가 우아했으며 거기에 내강외유(内刚外柔)의 스타일로 동서방 문화를 겸비한 전형적인 귀족부인이었다. 하지만 부의 자신의 신체원인으로 결혼 후 완용은 줄곧 자녀가 없었다. ▲ 위만주국시기 말대황제 부의(溥儀)와 완용 1924년 풍옥상(冯玉祥)이 <북경쿠테타(北京政变)>을 일으키면서 11월 5일, 부의는 자금성에서 쫓겨났고 완용 역시 부의를 따라 자금성을 떠나게 되었다. 그 뒤 완용은 부의를 따라 천진에 거주, 그 때로부터 그녀는 마약에 인이 박혔다. 그리고 궁중에서 입던 복장을 활활 벗어버리고는 치포를 입었고 하이힐(高跟皮鞋)을 신었으며 파마를 하는 것으로 당시 조계지에서의 <모덴여성(摩登女性)>으로 탈바꿈했다. 그 시기 완용의 최대 즐거움이란 각 백화점들을 돌면서 물건을 구입하는 것으로 돈은 여하튼 부의가 지불하기에 그녀는 절제 없이 돈을 휘뿌릴 수 있었다고 한다. 이는 또한 1922년 함께 입궁한 다른 한 황비 문수(文绣)와의 암투로 되기도 했다. 천진에서 생활하는 동안, 세월이 흐름에 따라 부의는 성격상의 약점이 점차 드러났다. 그의 생리상 약점은 마침내 문수가 이혼을 제기하기까지에 이르게 했고 부의는 이러한 결과를 두고 몽땅 완용의 잘못으로 밀어붙였다. 한편, 완용은 사회를 위해 돈과 금은 장신구 등을 기부하여 각 계로부터 찬양을 받은 적도 몇 번 있었다. 1923년 12월엔 북경에 있는 <임시 와와두회(临时窝窝头会)>로 명명된 자선기구에 은화 600원을 기부하여 이재민을 돕게 하였고, 1931년 중국의 16개 성이 엄중한 수재를 입었을 때에도 은화와 함께 진주보석들을 기부(당시 부의는 층집 한 개 동을 내놓았음)해 이재민을 돕게 하여 당시의 <대공보> 등 신문들에서는 이를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다음에 계속)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18-02-21
  • IIHF 회장, 베이징 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참가 지지
    ▲ 사진=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동포투데이] 신화망(新華網)에 따르면 파셀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회장은 19일 평창에서 남북이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회에서도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꾸려 경기에 참가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우리는 지금 다음 동계올림픽에서도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꾸려야 할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어떤 이도 나에게 이렇게 제의한 적이 있는데 나는 왜 안되겠느냐고 물었다.” 파셀 회장은 19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계속해서 단일팀을 꾸릴 수 있다면 절대적으로 좋은 일이다. 이는 평화의 상징이다. 우리는 이 일을 계속해서 성사시킬 것이다”라고 말했다.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은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한국 홈그라운드 팬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고, 양국 관계 개선에도 바람직한 역할을 했다.
    • 스포츠
    2018-02-21
  • ‘골드미스’ 왁스, “홍석천에게 프러포즈 받은 적 있어” 고백 화제
    ▲ 사진제공 : KBS 2TV <1대 100> [동포투데이] 지난 20일 방송된 KBS ‘1 대 100’ 에서 가수 왁스가 절친 홍석천에게 프러포즈 받은 경험을 고백해 화제다. 이날 MC 조충현 아나운서가 왁스에게 “홍석천 씨가 결혼하자 했다고?” 질문하자, 왁스는 “아무래도 우리는 남의 결혼식에 축의금 내는 일이 많으니까, 우리 결혼해서 축의금만 반으로 나누자고 농담을 던진 적이 있다” 하지만 홍석천이 바로 “아니다. 내가 아는 사람이 더 많으니까 손해네. 안 할래” 라며 한순간에 프러포즈를 취소 한 일화를 밝혀 100인들을 폭소케 했다. 이에 MC 조충현 아나운서가 “솔직히 프러포즈에 흔들렸나?” 라고 기습 질문하자 왁스는 “잠깐 그것도 괜찮겠네 생각했다”며 “반 나누면 내가 손해나는 건 아니네? 라는 생각 했다” 며 축의금을 향한 숨은 욕망을 드러내 연신 웃음을 자아냈다. 한편, KBS ‘1 대 100’의 또 다른 1인으로는 개그맨 박성광이 출연해 5천만 원의 상금에 도전하며 100인과 경쟁했다.
    • 연예·방송
    2018-02-21
  • 中, 스마트 경비 로봇 등장
    ▲ 사진출처=중국신문망(中新網) [동포투데이] 중국망(中國網)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 경비 로봇 ‘청청(成成)’이 중국철도청두국(成都局)집단유한공사 청두전력공급구간젠먼관(劍門關)변전소에서 순찰을 진행했다. 2017년12월6일 시청철도 개통 이후 ‘청청’은 첫 춘윈(春運 춘제 연휴 특별수송 기간)을 맞이했다. 1.1m 높이의 스마트 경비 로봇 ‘청청’은 변전소 내 순찰을 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현장 화면 및 데이터를 원격 통제시스템에 전송한다. 또 ‘청청’은 적외선 검온 기능을 갖추고 있어 발열 현상 등을 즉시 탐지할 수 있으며 변압기 소리를 채집해 분석함으로써 변압기의 운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8-02-20
  • 동북항일연군 조선인 "여장군" ― 허성숙②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간고한 항일무장투쟁시기 여성의 몸으로 육중한 기관총을 보총다루듯 휘두르며 일제놈들을 무리로 쓸어눕힌 한 조선인 “여장군”이 있었다. 그가 바로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4사 제1퇀 제1련의 첫 여성기관총사수인 허성숙이다. 1934년의 겨울은 빨리도 찾아왔다. 10월에 들어서자 동만의 대지는 큰 물속에 파묻혀 버렸다. 그때 허성숙은 과도한 피로와 열악한 숙영 환경 등으로 병들어 눕게 되었다. 그러나 조직에서는 그를 연길현 사방대구위에 보내 부녀사업을 하는 한편 병 치료를 하게 하였다. 동북항일연군에 있어서 겨울은 가장 간고한 시기였다. 일제의 토벌, 방화, 약탈 등 심공정책으로 하여 당시 인민들의 생활은 극히 간고하였고 항일부대 역시 먹는 것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난제였다. 허성숙은 그냥 남들의 관심 속에서 병 치료만은 할 수 없었다. 그는 자기한테 차례진 식량을 가난한 백성가정의 애들한테 보내주고는 자기 역시 함께 허리띠를 졸라매며 풀뿌리로 연명하였다. 허성숙은 또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기도하여 사람들은 선량하고도 의지가 견강한 이 처녀를 좋아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시시각각 부대의 전우들을 그리었다. 1935년 봄, 허성숙은 신체가어느 정도 회복되자 부대로 돌아오게 되었으며 그의 간절한 요구에 의해 부대에서는 그더러 기관총수로 되기 위하여 허성숙은 모든 시간을 집중하여 훈련하였다. 매번 부대가 숙영할 때 기타 전우들은 모두 잠자리에 들었지만 그만은 피로를 무릅쓰고 훈련을 견지하였다. 결과 그의 기관총 사격기술과 묘준 능력은 놀라운 제고를 가져왔다. 1935년 6월, 허성숙은 연갈현의 도목구와 옹성라자 지구에서 있은 전투에 참가, 냉정을 잃지 않고 정확하게 적들을 쓸어 눕혀 전우들로부터 절찬을 받았다. ▲ 6월 30일 새벽 김인구가 인솔하는 2천여 명의 적들은 짙은 안개를 이용하여 간삼봉을 삼면으로 둘러싸고 올라왔다.(이미지 출처 : 중국해방군보) 1936년 3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은 동북항일연군 제2군으로 개편되었고 허성숙이 소속된 제1퇀은 제1사로 되었다. 항일연군 제2군은 저명한 항일장령 왕덕태, 위증민의 인솔하에 동만과 남만의 여러 현에서 출몰하면서 기동 영활한 유격전술로 일제한테 수차례에 거쳐 섬멸적인 타격을 주었다. 이 해는 허성숙한테 있어서 가장 빈번하게 전투에 참가한 한해였다. 4월의 화전현 대포차자(지금의 돈화시)공략 전투,8월의 무송현성 전투,10월의 안도현 동청구에서의 위만주국군과 교전, 11월의 임강현 대양차에 있는 위만주국군의 거점을 날려 보낸 전투 등으로 수많은 전투를 치렀다. 당시 허성숙의 기관총은 무송현성을 진격할 때 부대로 하여금 성동남쪽의 거점을 일격에 점령하게 하였고 대양차의 전투와 동청구의 전투에서도 큰 위력을 발산하였다. 이러한 전투에서의 단련과 고험을 거쳐 허성숙은 항일연군의 용맹한 여전사로 거듭났으며 1936년에는 중국공산당에 가입하였다. 임규광의 희생은 허성숙에게 형언할 수 없는 비통과 슬픔을 가져다주었다. 허성숙은 어느 한 나무아래에서 한동안 통곡한 뒤 눈물을 닦고는 입술을 악물었다. “저에게 기관총을 맡겨주십시오!” 허성숙은 상급에 간절히 요구하였다. 상급에서는 그의 요구를 허락하였다. 이리하여 허성숙은 항일연군 제1로군 제4사 제1퇀 제1련의 첫 여성기관총사수로 되었다. ▲6월 30일 새벽 김인구가 인솔하는 2천여 명의 적들은 짙은 안개를 이용하여 간삼봉을 삼면으로 둘러싸고 올라왔다. 허성숙은 사격명령이 떨어지기 바쁘게 기관총으로 맹렬한 사격을 가하여 적들을 무더기로 쓸어 눞혔다. (이미지 출처 : 중국해방군보) 1937년 6월 허성숙은 부대를 따라 장백현 13도구에 진출, 간삼봉에서 일제와 조우전을 벌이게 되었다. 6월 30일 새벽 김인구가 인솔하는 2천여 명의 적들은 짙은 안개를 이용하여 간삼봉을 삼면으로 둘러싸고 올라왔다. 기관총을 손에 잡고 적들을 노려보던 허성숙은 사격명령이 떨어지기 바쁘게 맹렬한 사격을 가하였다. 놈들은 무더기로 쓰러졌다. 기세 당당히 덮쳐들던 적들은 혼비백산하여 뿔뿔이 도망쳤다. 간삼봉전투 후 전사들은 허성숙의 용감성과 대담함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여성의 몸으로 적진에 뛰어들어 기관총을 휘두르며 적들을 삼대베듯 쓸어 눕히는 그에게 “여장군”이라는 영광스러운 별호를 달아주었다. 그때로부터 제4사에서는 “여장군”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편집 철민 기자/다음에 계속) 참고문헌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2, 原書房, 1967, 65~66쪽.☞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1-분책, 563~564쪽.☞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3, 326쪽.☞박용옥, 「조신성의 민족운동과 의열활동」,『오세창교수 화갑기념논총』, 한국근현대사학회, 1995 참조.☞『독립신문』 1921년 1월 15일, 3월 26일, 12월 6일자 ; 『동아일보』 1921년 10월 21일자 ; 박용옥, 「조신성의 민족운동과 의열활동」, 『오세창교수 화갑기념논총』.☞『동아일보』 1921년 6월 13일자.☞연변조선족자치주부녀연합회 편저, 『항일녀투사들』, 1984.☞村田陽一 編譯, 『コミンンテルンン資料集』 2, 大月書店, 1982, 75쪽.☞조선총독부, 『朝鮮の治安狀況』, 1930, 12~13쪽.☞중공연변주위 당사사업위원회 편저, 『연변인민의 항일투쟁』, 연변인민출판사.☞연변조선족자치주부녀연합회 편저, 『항일녀투사들』, 101~102쪽.☞연변조선족자치주부녀연합회 편저, 『항일녀투사들』, 201~216쪽.허성숙의 열사전은 『불멸의 투사』 및 『빨찌산의 녀대원들』등에 실려 있는데, 그의 장렬한 희생 장면 묘사는 각기 다르다. 『항일녀투사들』에서는 7대의 敵특설부대 중 첫 번째 트럭을 향해 사격하다가 다리와 복부에 적탄을 맞고 쓰러진 것을 그 이튿날 한 韓醫師가 자기 집에 데려다 눕히자 죽었다고 했다. 『불멸의 투사』에서는 다리 부상으로 적에게 체포 압송된 그녀가 自衛團長의 딸임을 알고 전향시키려 했으나 끝내 불복하여 총살했다고 했다. 『빨찌산의 녀대원들』에서는 중상으로 체포되느니 차라리 끝까지 싸우다 죽겠다고 생각, 250여발 보총 탄알을 모두 쏘았고 마지막으로 수류탄을 적에게 던져 큰 희생을 주고 자신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았다고 기술했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18-02-20
  • 류경기 서울시 전 부시장, ‘류경기의 우문현답’ 출판기념회 개최
    [동포투데이] 류경기 서울시 전 부시장은 32년간의 공직생활과 서울시정을 정리한 자전적 에세이 <류경기의 우문현답-서울을 바꾼 지혜와 용기> 출판기념회를 24일(토) 오후 5시 중랑구 묵동 웨딩그룹 위더스 중랑 5층에서 개최한다. 류경기 전 부시장은 1985년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과 동시에 행정고시 29회에 합격하여 서울시공무원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서울시 산업정책과장, 기획담당관, 경영기획관, 대변인, 기획조정실장, 행정1부시장 등을 역임한 후 작년 퇴임하였다. 서울시 최고의 기획통으로서 주요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자전적 에세이 <류경기의 우문현답-서울을 바꾼 지혜와 용기>를 통해 류경기 전 부시장은 그동안 서울시 현장 곳곳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내용들을 진솔하게 풀어냈다. 서울이 세계가 부러워하는 최고의 도시가 되기까지 그동안 거듭해온 변화와 혁신의 과정, 그 속에서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도전으로 서울시 발전에 일조해 온 그의 역사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류경기 전 부시장은 오랫동안 ‘현장에 답이 있고 아픈 곳이 중심이다’라고 강조해왔다. 이러한 마음가짐에서 그가 얼마나 현장을 중요시 여기고 시민소통과 협치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왔는지 알 수 있다. 지난 1월에는, 6.13 지방선거 중랑구청장 출마를 선언하며 “그동안 서울시 행정경험을 통해 얻은 ‘참여행정, 소통행정, 현장행정’의 지혜와 용기를 중랑구 발전을 위해 쏟아 붇겠다.”고 밝힌 바 있다. 류경기 전 부시장은 “변화는 현장에서부터 시작된다.”며 “늘 현장에서 지역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소통의 행정가가 되어 중랑구 구석구석 모든 곳에 변화의 바람을 일으킬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뉴스홈
    • 국내뉴스
    • 문화
    2018-02-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