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美 총기 소유율 25년 만에 최고치 경신
    [동포투데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에는 타살, 자살, 우발적 부상을 포함한 총기 피해는 1~19세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아프리카계이라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가 최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메디슨에 발표한 연구보고에서도 이 같은 결과를 반영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22년까지 CDC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총기 관련 사망자가 35% 증가했으며 그중 아프리카 청소년들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버드 대학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보건 정책 교수인 데이비드 헤맨웨이는 이 현상은 20년 동안 미국의 일부 주에서 총기 취득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결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지만 총기 자살은 전 세계의 35%, 총기 타살은 전 세계의 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총기에 사망할 가능성은 백인보다 12배 높다. 지난 25년 동안 총기 규제 법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바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NBC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총기 소유율은 최근 2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권자의 52%가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총기 소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하버드대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60%가 총기 소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범죄가 줄어들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유권자의 42%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고 21%만이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헤맨웨이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총기 사망자는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른 부유한 나라들의 평균 총기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미국은 지금 점점 다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6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실시간 뉴스홈 기사

  • 中 164명 내지 핵산검사 지원팀 홍콩 도착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8일, 중신망(中新網)에 따르면 당일, 164명에 달하는 내지의 코로나19 핵산검사 지원팀 성원들이 홍콩에 도착해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를 도와 코로나19를 예방 퇴치하는 핵산검사에 투신하게 되었다. 이 날 홍콩 주룽의 워이징 호텔 내에는 내지 핵산검사 지원팀을 환영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고 호텔 직원들이 지원팀 성원들에게 꽃다발을 안겨주며 맞아주었다. 사진은 핵산검사 지원팀 성원들이 버스에서 내려 호텔로 들어가고 있는 장면이다.(사진=중신망 홈페이지 캡쳐)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30
  • 中 창장 중하류 간류의 경계 곧 전면 철회
    ▲홍수로 물에 잠긴 퉁팅후(洞庭湖ㆍ동정호)ⓒ인민망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8월 29일, 중국 우한(武汉)에서의 신화통신에 따르면 창장(长江)수리위원회는 목전 경계와 감리 상태에 있는 창장 중하류의 렌화 탕장(莲花塘江) 구간을 각각 30일과 31일 수위가 내려가는 상황에 따라 수위 경계를 전면 철회하게 된다고 밝혔다. 8월 29일 8시, 중국 창장 유역 내 실시간 수위 상황을 보면 24개 구역이 수위경계선을 초과, 주로 중하류 간류인 퉁팅후(洞庭湖) 구역 및 차오후(巢湖) 부근이었다. 이 중 창장 중하류 간류의 주요 통제소 감리수위는 35.77미터, 경계수위 0.27미터를 초과했고 렌화탕(莲花塘) 수위는 32.91미터, 경계수위 0.41미터를 초과하고 있었다. 8월 중순, 창장 2020년 제 4 호와 제 5호 홍수가 80시간 간격으로 상류에서 형성, 이 보기 드문 복식 홍수를 대응하기 위해 창장 수리위원회는 롤링서클(滚动会商)로 창장 상류의 저수지들을 자세하게 연합조정하여 홍수가 이 구간을 안전하게 지나게 했다. 보도에 따르면 홍수방지 연합조정 행동은 효과가 컸다. 복식홍수가 발생 발전하는 기간 동안 산샤(三峡) 및 상류의 저수지들에서는 저장되었던 물 190억 입방미터를 방출, 이 중 산샤 저수지가 방출한 물량만 해도 108억 입방미터가 되어 상류의 진사장(金沙江), 민장(岷江), 퉈장(沱江)과 자링장(嘉陵江)의 홍수 고봉기에 대 홍수가 부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중하류의 홍수방지 압력도 효과성 있게 줄여주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30
  • 인도 8.7만 명 초과하는 의료일꾼 코로나19 감염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인도정부가 최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인도 전국에서 8.7만 명을 초과하는 의료일꾼이 코로나19에 감염, 이 중 573명 의료일꾼이 사망하였다고 8월 29일 뉴델리에서 중국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인도 매체들에 따르면 약 74%에 달하는 확진 의료일꾼과 86%에 달하는 사망 의료일꾼들은 코로나19 사태가 엄중한 마하라슈트라 주, 카르나타카 주, 타밀나두 주, 수도 뉴델리 지구, 서 벵골 주와 구자라트 주의 인원들이었다. 또한 8월 28일까지 하라슈트라 주, 카르나타카 주, 타밀나두 주 등 지역에서는 10만 명에 달하는 의사를 포함한 간호사와 사회구역 위생인원 등 의료일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진행, 이 3개 주에서만 확진된 의료일꾼은 확진 총 인원의 55%를 차지했고 사망된 의료일꾼은 387명에 달했다. 대량의 의료일꾼 감염확진 원인을 두고 인도의 해당 전문가들은 주로 병원과 사회구역이 그들한테 제공하는 방호시설이 낙후하고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들은 이 역시 인도의 방역 노력에 불리한 요소로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 위생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월 29일 8시까지 24시간 내 인도의 코로나19 확진사례는 7만 6472건, 사망사례는 1021건이었고 누적 확진사례는 346만 3972건이었으며 누적 사망사례는 6만 2550건이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30
  • 美 또 한명의 흑인 사망 - 미니애폴리스 긴급 상태 진입
    (사진=신화망 캡쳐)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7일 미국 미니소타 주 팀 월즈 주장이 주 내의 미니애폴리스시가 긴급 상태에 진입했다고 선포하면서 주 방위군에 질서유지 임무를 포치했다고 미국 뉴스전문 방송(SNN)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반 종족기시 시위의 ‘화제’ 지역이었던 미니애폴리스 시에서는 26일 저녁, 재차 반 종족기시 시위가 폭발, 원인은 사회와 매체에서 폭로한 영상- 당지 경찰이 한 흑인 용의자한테 총격을 가하여 죽게 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애니폴리스 경찰 측이 감시카메라를 점검해 본 결과 사망된 흑인남자는 모 살인사건의 용의자로서 당시 그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경찰은 그한테 총격을 가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미니소타 주 주 방위군이 미니애폴리스 시의 거리에서 경계태세를 갖추고 주위를 감시하고 있는 장면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8-29
  • 中 세계 급 최신 해양고찰선 ‘중산대학’호 진수
    ▲중산대학호.ⓒ인민망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28일, 중국에서 가장 큰 해양 종합고찰 실습선인 ‘중산대학’호가 상하이 창싱다오(上海长兴岛) 중국 선박그룹 산하의 강남조선소에서 진수했다고 당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망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16년 6월, 중국 국가교육부의 동의와 비준을 거쳐 중산대학에서는 제 13 차 5개년 계획기간에 6000톤 급의 해양종합 고찰 실습선을 건조하기로 계획, 이 선박은 2019년 10월 28일에 건조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 그 건조가 완공되었다. 이번에 진수한 후 이 선박은 인차 선적조사(舾装调试)를 하게 되며 2021년 상반년 사용에 교부될 예정이다. ‘중산대학’호는 선박 길이가 114.3미터, 너비가 19.4미터, 형심(型深)이 9.25미터로 전반 선체가 아름답고 위풍스럽다. 소개에 따르면 이 선박은 항해구역의 제한이 없이 세계 바다의 그 어느 해역에서도 항행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했으며 정상적인 항행속도는 11.5 노트, 최대 시항 속도는 16노트에까지 이르며 지속 항행거리 능력이 1만 5000 해리에 이른다. 그리고 정원은 100명에 달하고 이 편제로 60일간 연속 항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 선박의 총 설계사이며 중국 선박그룹 708 소 주임조리인 우강(吴刚)에 따르면 ‘중산대학’호는 목전 중국에서 배수량이 가장 많고 종합적 과학고찰 성능이 가장 강하며 창신 설계 포인트(亮点)가 가장 많은 해양 종합고찰 실습선이었다. 이 외 중산대학 상무 부 교장이며 중산대학 과학고찰선 건조 지휘부 총 지휘인 쑨둥바이(孙冬柏)는 ‘중산대학’호에 대해 소개하면서 이 해양고찰 실습선은 과학고찰과 인재양성의 이중 플랫폼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바 대량의 선진적인 과학고찰 의기와 과학고찰 통제지탱 설비를 배비, 시설이 선진적이고 기능이 구전하며 샘플처리 효율이 만족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측 분석과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각종 유형의 실험실이 있어 선박 플랫폼의 종합성능과 과학고찰 기능이 세계 일류의 수준을 갖고 있어 명실상부한 해상의 대형 ‘이동 실험실’로 손색이 없다고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29
  • 러시아, 검측자 4분의 1 코로나19 항체 갖고 있어
    (사진=펑황망 캡쳐)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28일, 러시아연방 소비자 권익보호 및 공익감독국은 이미 완성된 검측 중 24% 내지 26%에 달하는 검측 자가 코로나 19 항체를 체내에 갖고 있다고 발표, 이는 당일 모스크바에서 중국관영 신화통신이 전해왔다. 보도에 따르면 크레믈린궁의 근무인원한테는 강제적인 코로나 19 백신 접종을 요구하지 않으며 올해 아동한테는 백신접종이 제외되기로 했다. 방역검사 사무를 주관하는 러시아연방 소비자 인권보호 및 공익 감독 국 카리나 포포바 국장은 올해 여름 러시아에서 체류하고 있는 군 체 중 코로나 19 발생 율은 매 만 명중 6명을 초과하지 않으며 이 중 노년 층이 사망 율이 전체 사망 율의 80%를 차치, 일전 러시아 연방 주체로 20여 개에 달하는 단체가 검측한 결과 검사 군 체중 7만 명에 달하는 주민한테서 코로나 19 항체가 체내에서 산생했고 더 이상 코로나 19 증상이 없었으며 24% 내지 26%에 달하는 군 체가 체내에 항체를, 18세 미만의 검측자 중에는 코로나 19 항체를 갖고 있는 자가 40%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28일, 러시아 방역지휘부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러시아의 코로나 19 확진사례는 4829건, 누적 확진사례는 98만 0405건이었고 누적 사망사례는 1만 6914건이었으며 누적 완치사례는 79만 8466건이었다. 그 밖에 러시아 주변 국가들의 코로나 19 확산상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크라이나는 28일 당일 확진사례가 2438건으로 하루 확진 건수의 최고 기록을 냈다. 그리고 누적 확진 건수는 11만 4497건, 당일 완치 퇴원 사례는 866건, 누적 완치사례는 5만 5083건었고 당일 사망사례는 48건이었으며 누적 사망사례는 2451건이었다. 벨라루스는 28일 당일 확진 사례는 181건었고 누적 확진사례는 7만 1346건이었다. 그리고 누적 사망사례는 667건, 누적 완치사례는 6만 9887건이었다. 당일 벨라루스는 9월부터 자국에서 러시아산 코로나 19 백신의 임상시험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루지아는 28일 당일 확진사례가 8건, 누적 확진사례는 1455건, 누적 완치사례는 1196건이었고 누적 사망사례는 19건이었으며 아르메니아는 28일 당일 확진사례가 181건, 누적 확진사례는 4만 3451건, 누적 완치사례는 3만 7264건, 누적 사망사례는 869건이었다. 그리고 중앙아시아 지역을 보면 타지키스탄은 28일까지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는 8449건, 누적 사망사례는 68건, 누적 완치사례는 7246건이었고 우즈베키스탄은 28일 당일 확진사례가 418건, 누적 확진사례는 4만 613건이었으며 누적 사망사례는 300건, 누적 완치사례는 3만 7200건이었다. 키르키스스탄는 28일 당일 확진사례가 128건, 누적 확진사례는 4만 3887건이었고 누적 사망사례는 1058건이었으며 누적 완치사례는 3만 7726건이었다. 한편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은 28일까지 누적 확진사례가 10만 5408건, 누적 사망사례는 1563건, 누적 완치사례는 9만 5253건이었다. 일전, 카자흐스탄 위생부는 현재 자국의 코로나 19 감염 율은 고봉기의 10분의 1로 하강했고 구호차 호출 건수와 병원 침대 사용 율도 대폭 감소했다면서 오는 31일부터 카자흐스탄은 자국 내의 종교장소, 수영관, 헬스클럽, 문화시설, 공원과 자연 보호구를 재개방하고 각 노선의 공공버스 운행을 회복하게 된다고 발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8-29
  • 세계 10대 고대건축물 중 4개는 중국의 것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우리는 간혹 고대의 많은 사물들에 대해 발전이 아주 뒤처졌다고 여길 때가 있다. 그것은 현대의 과학기술에 대해 너무 자호 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대의 일부 사물들은 우리가 현대의 이념으로는 도무지 해석하지 못할 때가 많다. 아래에 소개되는 고대의 10대 건축물- 우리는 지금도 여기에 대한 미스테리가 많을 수밖에 없다. 중국의 만리장성 장성은 중국의 ‘명물’이고 중국의 자랑이자 세계 급의 문화 대 유산이다. 중국의 장성은 15개성을 지나며 그 총 길이가 2만 119618 킬로미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규모를 갖고 있다. 그럼 그 장성을 어떻게 구축했을까? 조상들의 그 지혜에 대해 후손들은 아직도 잘 모르고 있다고 한다. 화산 창공의 잔도(栈道) 중국 안휘성 화산의 전도는 7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화산 험도(险道) 중의 험도이다. 전도의 아래는 현애 절벽이고 전도는 철삭(铁索)로 만들어졌으며 돌을 엮어 노면을 깔았다. 당시 구경 어떻게 이 전도를 만들었는지에 대해 진짜로 상상할 수가 없다고 한다. 사천 낙산 대 불상 전하는데 따르면 사천의 낙산 대 불상은 당조시기부터 수건하기 시작하여 90년이란 긴 시간을 소모하여 비로서 완성되었다고 한다. 대 불상의 총체는 산을 허물면서 만들어졌는바 상투 등 부분의 결구는 후기에 첨가된 것이다. 그리고 발면 하나에 사람 100명 이상이 둘러앉을 수 있다고 한다. 이 낙산 대 불상은 세계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석불 상으로 알려져 있다. 서안 현공사(西安悬空寺) 서안 현공사는 북위(北魏) 연간에 만들어지기 시작, 전반 사원은 취봉산(翠峰山)의 허리께에 건립되었고 27개의 나무기둥이 전반 사원의 주요 건축물들을 떠받치고 있어 멀리서 보면 마치 사원 전체가 공중에 걸려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하고 있다. 이렇듯 정묘하고도 뛰어난 설계는 그야말로 고대인들의 지혜에 탄복토록 하고 있다. 피라미드(金字塔) 피라미드(金字塔)는 응당 모두가 익숙히 잘 알 것이다. 이집트 카이로에서 서남쪽으로 약 10킬로미터 상거한 기자(吉萨)에 있는 피라미드는 지금으로부터 약 2580년 전에 건설하기 시작하여 약 2560년 전에 완공, 지금까지 줄곧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대 건축물로 손꼽히고 있다. 피라미드는 중국 문 ‘金’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일명 ‘금자탑’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리스의 메테오라 수도원 그리스 메테오라 수도원은 15세기에 수건, 전도사들에 의해 수건 된 이 수도원은 천연적인 사암 기둥 위에 우뚝 솟아있으며 멀리서 보면 그 풍광은 사람을 경탄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스 북부의 카람바카에 있는 이 수도원은 낭떨어지 같은 현애절벽 위에 건립, 세워진 수백만 년 전 이 곳은 망망한 바다였다가 후에 지각운동과 해수의 충격으로 석림(石林)으로 변했고 이 우중충한 암석 산정들 사이로 점점으로 보이는 지붕이 보이는데 절벽 사이의 공중에 걸려있는 듯한 것이 곧바로 메테오라 수도원이다. 터키의 수메이라 수도원 터키의 수메이라 수도원은 1200미터 높이의 현애절벽에 세워졌다. 이 수도원은 서기 386년에 건립, ‘수메이라’란 그리스어로 수도원이 메이라 산에 세워졌음을 뜻한다. 이 수도원의 원주민은 워낙 그리스인들이었고 386년 당시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명령에 의해 지어졌으며 원명은 ‘수메이라 성녀 수도원’이었으며 현재의 수도원 모습은 서기 13세기에 갖춰진 것이다. 부탄의 타케상 사원 부탄의 타케상 사원은 ‘호혈사(虎穴寺)’ 혹은 ‘호소사(虎巢寺)’로도 불리며 부탄 서부 파로 협곡 900미터 높이의 현애절벽에 지어졌으며 해발로는 3120미터에 달한다. 이 사원은 연화생 대사(莲花生大师)가 호랑이를 타고 이 곳을 날아 지났다는 전설에 의해 1692년에 건립됐다. 그리고 타케상 사원은 부탄 왕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대 건축물의 하나로 이 나라 서적들에 많이 소개되었으며 다큐멘터리로 소개된 것도 여러 편 있다고 한다. 그리스의 패터넌 사원 그리스 아테네의 패터넌 사원에 대해 우리는 경상적으로 역사서적을 통해 보았었다. 패터넌 사원은 기원 전 5세기 아테네 성에 건립, 고대 그리스에서 아테네 여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원이었다고 한다. 패터넌 사원은 그리스 아테네 성의 가장 높은 곳 석회암 산정에 위치, 아테네 성 중 가장 중요한 주체 건축물로 되고 있으며 패터넌이란 이름 외에도 ‘파터넌 사원’이란 이름도 갖고 있다고 한다. 현재 패터넌 사원의 유적은 19세기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누차 수건한 건축물이다. 페루의 마추픽추 페루 맞추픽추의 전체 유적은 해발 2350-2430 사이의 산등성이에 있으며 우루밤바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는 듯한 모습은 사진만 보아도 절경이다. 맞추픽추 유적은 페루의 유명한 전 콜롬버스 시기 인자제국이 서기 1500년에 건설한 유적으로 역시 세계 신 7대 기적 중의 하나이며 현재 페루 경내의 쿠스코 서쪽으로 75킬로미터 상거, 열대우림에 둘러 싸여 있다. (철민 편역)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29
  • 美 코로나 19 감염 아동 2주 내 21% 증가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미국 소아과 학회와 아동병원 협회가 최신 공동으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월 6일부터 20일까지 2주 내 미국 경내에서 아동이 코로나 19에 감염된 확진사례가 7만 여건, 21% 증가했다고 일전, 미국 뉴스 전문방송(CNN)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 19 사태가 터진 이래 전 미국 경내에서는 도합 44만 여명에 달하는 아동이 코로나 19에 감염, 이 중 3분의 1에 달하는 아동이 중증 감시보호실에 수용되어 있는 상황, 그 비례가 성년인과 같았다. 현재 미국 학생들은 귀교를 준비,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아동이 코로나 19의 감염 중 대량의 데이터는 여전히 감염원이 오리무중이며 아동 또한 매우 큰 범위에서 코로나 19를 대량 전파할 수도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미국 조지아 주의 여러 학교들에서는 이 달 초에 개학을 강해했다가 수백 명에 달하는 학생과 교직원들이 소속 학구에 코로나 19로 격리를 요구하는 보고가 있었고 폴로리다 주 역시 학생들이 다시 온라인 수업 여하를 두고 소송을 하는 일이 생기기도 했다.    그리고 관원들에 따르면 미시시피 중에는 근 4000명에 달하는 학생이 있는데 이 중 600명에 달하는 교사가 코로나 19 감염자와 접촉하여 현재 격리되어 있는 상황, 이러자 이 주의 위생 담당 관원 토마스 토프스는 25일에 있은 브리핑에서 지난 주 코로나 19 감염 교사 사례가 144건, 학생 사례가 292건에 달한다고 선포하기도 했다.(사진=인터넷 캡쳐)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0-08-29
  • 中 조선족 작가 허련순, 주하 제12회 준마상 수상
    ▲소설가 허련순 [동포투데이] 지난 23일, 제12회 전국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선정 결과가 북경에서 발표됐다. 중국 조선족 여류작가 허련순이 “춤추는 꼭두(舞动的木偶)”로 장편소설상을 수상했고 번역작가 주하가 번역작 “그리움(眷恋)”(김철 시집)으로 번역상을 수상했다. 전국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은 중국작가협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상으로 1981년에 시작됐다. 허련순의 장편소설 “춤추는 꼭두”는 어려운 처경 속에서도 아름다운 생활을 동경하는 꼭두의 이야기를 썼다. 소설은 인간의 존엄, 생명의 가치 등에 대한 탐구를 통해 곤경 앞에 포기하지 않고 운명과 맞서 싸우는 굳센 인간상을 그렸다. ▲번역작가 주하 번역상을 수상한 주하는 김철의 시집 “그리움”을 원작의 형식 및 의미를 한어로 훌륭하게 재현, 작품 언어가 유창하고 표달이 정확하여 원작을 성공적으로 한어로 승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주하는 중국작가협회 회원, 중국작가협회 소수민족작가학회 이사이다. 번역사업에 다년간 종사했으며 시가번역에 능하다.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허련순은 “앞서 6기에 ‘바람꽃’으로 수상했는데 재차 준마상 수상 소식을 듣게 돼서 기쁜 한편 심정이 무겁다. 앞으로 이 상에 걸맞은 무게의 작가로 창작을 꾸준히 견지해나갈 것이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주하는 수상을 두고 “번역에서 중요한 것은 책임감과 꾸준한 노력이다. 작품을 번역할 때마다 저자, 독자, 역자 자신에게 책임을 져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견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8-28
  • 재외동포재단 ‘제9기 OKFriends 봉사단’ 발대식 하이브리드식으로 개최
    (사진제공=재외동포재단) [동포투데이] 재외동포재단 ‘제9기 OKFriends 봉사단’ 발대식 하이브리드식으로 개최 재외동포재단(이사장 한우성)은 28일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제9기 OKFriends 봉사단’ 발대식을 개최했다. OKFriends 봉사단은 2012년 설립된 이래 재외동포와 내국민의 상호 가교 역할을 목표로 매년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는 대학생 봉사단이며, 제9기까지 누계 508명의 단원이 활동에 참가했다. 동포재단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대처하는 정부 지침에 따라 오프라인 발대식 계획을 변경, 한우성 이사장 및 대표 봉사단원 5명이 재외동포재단 서울사무소 회의실에서 발대식을 진행하였고 나머지 55명 단원은 온라인 화상 회의로 참여했다. 한우성 이사장은 “현재 할 수 있는 가장 큰 봉사활동은 나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라고 당부하고, “OKFriends 봉사단으로 맺어진 소중한 네트워크와 재외동포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과 재외동포사회를 잇는 든든한 다리로 성장하여 줄 것을 기대한다.”라고 격려했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8-2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