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5554.jpg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월 3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호랑이 관련 기사를 실으면서 호랑이의 종류와 성격 등을 갖고 여러 모로 소개했다.

   

호랑이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으니 말이지 그대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털빛이 곱고 몸매가 위풍당당하며 머리 위에 ‘왕(王)’자가 새겨진 큰 고양이과 동물? 그럼 세상에 호랑이가 몇 가지 종류나 될까? 호랑이는 정말 나무에 오를 줄 모를까? 또 야외에서 호랑이를 만나면 어쩌지? 등등이다.

   

호랑이 아시아 여러 나라에 분포

   

호랑이는 북쪽으로 러시아 극동, 남쪽으로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아시아 고유종으로 러시아, 중국,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말레이시아, 태국 등 10여 개국에 분포하며 서식지는 열대우림, 상록수림과 초원 등이다.

   

호랑이마다 영지가 따로 있고 영지 면적은 사냥감 밀도에 따라 20㎢에서 1000㎢까지 다양하다. 고양이과의 가장 강력한 사냥꾼인 호랑이는 몸길이 약 1.8~3m, 몸무게 100~300kg 사이로 혼자 사냥을 하며 가장 선호하는 사냥감은 들소, 물 사슴, 말 사슴, 멧돼지 등 대형 유제류(有蹄类) 동물로 포획할 때 흔히 매복 방식을 택해 강력한 순발력으로 사냥물을 순식간에 쓰러뜨린다. 호랑이 한 마리가 한번에 36킬로그램의 고기를 먹어 치울 수 있으며 새끼는 평균적으로 2년에 2~4마리를 낳지만 절반 정도는 생존 시간이 2년에 불과하다. 그리고 호랑이는 야외에서 스무 살까지 살 수 있다고 한다.

    

‘야수 중의 왕’으로 불리지만 호랑이의 생존이 우려스러워 세계자연보전연맹 멸종 위기 종 적색목록에 등재됐다. 20세기 초 이후 야생 호랑이 수는 95% 이상 줄었다. 2016년 세계자연기금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야생 호랑이 수는 약 3900마리로 이 중 대부분이 인도에서 서식하고 있다.

  

세계 야생 호랑이 수는 2022년 초까지 믿을 만한 통계가 없다. 2010년 11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호랑이 보호하기 국제포럼’에서는 매년 7월 29일을 ‘세계 호랑이의 날’로 정하고 2022년까지 전 세계 야생 호랑이 수를 당시 추정치 약 3200마리의 두 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남과 북의 호랑이 몸과 습성에 차이가 있어

   

생물학적 분류로 볼 때 전세계의 호랑이는 고양이과 표범속에 속하는 범의 한 종류이다. 그러나 이 종류 내에는 동북호랑이(일명: 백두산호랑이 혹은 시베리아호랑이), 벵골호랑이, 화남호랑이, 인도지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 자바호랑이, 발리호랑이, 카스피호랑이 등 9개 종류로 나뉘며 이 중 다음 3개의 종류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벵골호랑이와 인지호랑이의 중국 내 분포 여부는 의문이며 중국 특유의 화남호랑이는 이미 야생에서 멸종됐다고 한다.

   

다음 종류에 따라 호랑이 체형의 크기가 다르다. 중국 임업과학연구원 산림생태환경 및 자연보전연구소의 쑨거(孙戈) 부연구위원은 동북호랑이와 벵골호랑이의 몸집이 가장 크며 동북호랑이의 털은 겨울철에 더 두껍고 길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화남호랑이, 인지호랑이와 말레이호랑이는 ‘남쪽계’ 호랑이에 속하며 털빛이 짙고 얼굴이 길며 동북호랑이나 벵골호랑이에 비해 몸집이 좀 여위었다. 가장 ‘개성’이 있게 생긴 것은 인도네시아 섬에서 서식하는 수마트라호랑이로 호랑이 가족 중 가장 작은 체구에 ‘구레나룻’을 갖고 있다. 특이한 호랑이 종류가 아닌 벵골호랑이의 색으로 유전자 돌연변이가 기존 ‘오렌지 노랑 바탕에 검은 무늬’를 ‘흰 바탕에 검은 무늬’로 바꾼 점이 눈에 띈다. 선사동물인 검치호랑이의 이름은 호랑이였지만 기실 진짜 호랑이는 아니었다. 쑨 연구원에 따르면 검치호랑이와 현대호랑이의 관계는 고양이나 호랑이처럼 전혀 다른 진화 지점에 있다.

 

호랑이의 어떤 특징은 그 생존 능력을 더욱 강하게 한다. 호랑이 몸줄무늬의 향방이 풀숲에서 풀 한 포기가 자라는 방향과 일치해 호랑이가 위장하고 먹잇감을 매복 공격하기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모든 호랑이 줄무늬는 사람의 지문처럼 유일무이하다. 과학자들은 늘 이런 줄무늬를 통해 호랑이를 분별하기도 한다.

   

호랑이는 물을 좋아하는 고양이과 동물로는 드물게 ‘수영 실력자’이다. 민간에서 호랑이는 나무를 타지 못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나무를 타도 쓰러지지 않는다. 다만 몸집이 커서 가느다란 나무는 감당하지 못할 뿐이다.

   

호랑이를 만나면 어떡할까?

    

놀라게 하거나 다치지 않는 한 야생 호랑이는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다. 중국 국가임업초원국 동북호랑이관측연구센터 펑리민(冯利民) 부주임에 따르면 야생호랑이는 인간에 대한 공포가 있어 보통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한다. 인간의 외형은 호랑이의 주요 사냥감인 제류와 뚜렷이 구별되기 때문이다.

   

쑨 위원 역시 “야외에서 호랑이가 정면으로 사람을 향해 으르렁거리는 것은 사람을 잡아먹지 않고 쫓아내려는 것”이라고 했다. 매복에 능한 강한 사냥꾼은 막상 손을 대려고 하면 반응할 시간을 주지 않는다. 이때는 눈을 피하고 호랑이 앞에서 천천히 뒤로 물러나야 한다. 절대 뒤돌아서서 도망가지 마라. 이것이 포식의 조건반사 행위를 촉발할 수 있다.

   

‘왕자’의 속성에도 불법 야생동물 교역, 인간과 야생동물의 충돌, 서식지 상실 또는 파괴화와 기후변화 등 영향으로 호랑이는 멸종 위기에 처했다.

   

최근 세계 여러 동물원에서 호랑이의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보고돼 관심을 끌고 있다.

   

생태계와 문화의 중요한 부분인 호랑이가 사라지면 먼 전설과 동물원의 흔적만 남게 된다. 호랑이는 이상적인 환경표시종과 우산호종이다. 호랑이의 생존환경이 보장되면 많은 다른 종류들도 보호받을 수 있다. 호랑이를 보호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 다른 생물과 함께 사는 집을 보호하는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보호 강도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생태 환경이 지속적으로 좋아짐에 따라 중국 내 야생 호랑이 생존 상황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동북호랑이국가공원관리국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시범 시행 초기 27마리였던 야생호랑이 수가 50마리로 늘어나는 등 중국 내륙으로 군종들이 확산되는 추세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호랑이 해’-전세계 호랑이 생존보호 상황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