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 대통령은 월요일(1월 6일) 파리 엘리제궁에서 열린 프랑스 대사 연례 회의 연설에서 러-우 전쟁에 대한 빠르고 쉬운 해결책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러시아를 설득해 회담에 참여하도록 도와야 하지만, 서방 국가들이 전쟁 피로감으로 우크라이나 문제에서 타협한다면 회담의 신뢰성이 산산조각이 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크롱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에는 우크라이나가 직접 참여해야 하고, 유럽 안보 방안 마련에는 유럽이 참여해야 하며, 우크라이나의 항복으로 이뤄진 신속한 해결책은 유럽과 미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3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마크롱은 또한 "우크라이나가 평화 회담에서 우위를 점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협상이 우크라이나의 이익에 부합하는 지
속적인 평화로 이어져야 하며 동시에 러시아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유럽의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6일 러시아군이 쿠르스크 서부 국경 지역에서 약 5개월 동안 전투를 벌여 거의 15,000명의 병력을 잃었다고 말했지만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중요한 전과를 거두었다며 도네츠크주의 중요 물류 허브인 쿠라호베와 포크로프스크를 점령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군은 이 같은 러시아군의 주장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지만, 쿠라호베에서 여전히 러시아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 분석 사이트 딥 스테이트 (Deepstate)는 쿠라호베 대부분 지역이 러시아군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1월 20일 취임 후 평화협상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여러 차례 공언한 만큼 향후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러-우 양측이 협상 카드를 늘리기 위해 전장 주도권 다툼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BEST 뉴스
-
교과서 밖으로 나온 국가 유산, 바다 건너 호치민 아이들을 품다
[동포투데이]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김명환)가 한국의 국가유산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국가 유산 교육 체험 행사 ‘이어지교’를 재외교육기관 최초로 개최한다.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는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한국 국가유산청(청장 허민)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의 지...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한눈에 세 나라가 보인다”…훈춘 방천, ‘국경의 마을’에 몰려든 연휴 관광객
[동포투데이] 중국 지린성 훈춘시(珲春市)의 방천(防川) 풍경구가 올 추석과 국경절이 겹친 ‘쌍절(雙節)’ 연휴를 맞아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관광객들로 북적였다. 지난 9월 말 개통된 선양~백두산을 잇는 선백(沈白) 고속철도와 국경관광도로 G331 개방 이후 처음 맞는 장기 연휴다. 10월 4... -
북한, ‘국방발전–2025’ 전격 공개… 극초음속 무기 앞세워 군사 자신감 과시
[동포투데이] 북한이 더는 숨기지 않았다. 평양에서 열린 ‘국방발전–2025’ 무장장비전시회에서 고체연료 기반의 신형 미사일과 극초음속 무기를 대거 공개하며, 사실상 군사기술의 ‘총결산전’을 펼쳤다. 이번 전시회는 북한이 전략무기 분야에서 이룬 성과를 전면에 드러내며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
연변선봉국가삼림공원, 천년 고목과 청정한 공기의 숲속 여행
[동포투데이] 중국 동북부의 광활한 숲 속,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비경이 있다. 바로 연변 선봉(仙峰) 국가삼림공원이다. 도시의 소음과 일상을 벗어나 산과 계곡이 어우러진 이곳에서는 고목이 하늘을 찌르고, 시원한 계곡물이 흐르며, 공기 속에는 신선한 음이온이 가득하다. 자연이 만들어낸 ‘... -
2025 노벨 생리의학상, 브룬코·램스델·사카구치 공동 수상
2025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왼쪽부터 메리 E. 브룬코, 프레드 램스델, 사카구치 시몬.(사진=노벨위원회 홈페이지) [동포투데이] 스웨덴 스톡홀름 —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미국의 메리 이. 브룬...
실시간뉴스
-
독일 피터 되레, 중국 조선소에 13척 신규 선박 발주…“친환경 선대 확충 가속”
-
폴란드 총리 “러시아 드론 공격, 결코 ‘실수’ 아냐” 트럼프 발언 반박
-
성룡, 2027년 베오그라드 세계박람회 브랜드 대사 위촉
-
英 국방장관 “대만 문제 군사 개입 없다…평화적 해결 원해”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네덜란드, 성 거래 합법화 25년… ‘홍등가 천국’의 빛과 그림자”
-
“계엄령 대통령” 윤석열, 재구속…BBC “한국 정치 위기의 상징”
-
“차라리 중국에 편입되는 게 낫겠다”…독일 리튬기업 CEO, EU ‘탈중국’ 전략 정면 비판
-
EU “디지털 규제, 협상 대상 아냐”…美 관세 압박에도 원칙 고수
-
“MI6에 러시아 첩자 있다”…CIA 경고로 시작된 20년 추적, 끝내 빈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