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성인 10명 중 8명, "외국인이 나보다 한국말 더 잘한다고 느낀 적 있어"
[동포투데이] 최근 다양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외국인들이 늘어나며 이들의 한국어 실력 또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대한민국 성인 10명 중 8명은 방송 프로그램 등에서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외국인들을 보며 “나보다 한국어를 더 잘한다”고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초의 원격대학인 세종사이버대학교(www.sjcu.ac.kr)가 대한민국 성인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TV 프로그램 등에서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외국인들을 보며 “나보다 한국어를 더 잘한다”고 느낀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85.5%(301명)가 ‘그렇다’고 답했다.
외국인들의 어떤 모습을 볼 때 자신보다 한국어를 더 잘한다고 느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속담, 고사성어 등을 활용해 말하는 모습을 볼 때’ 라고 응답한 사람이 35.5%(125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외국어인 한국어를 사용하면서도 의견을 조리 있게 말할 때’가 32.1%(113명)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또 본인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한국어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79.3%(279명)에 달하는 응답자가 ‘조금 부족’하다고 답했다.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는 13.9%(49명)에 불과했으며, ‘충분한 한국어 실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라고 답한 사람도 6.8%(24명)나 됐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기에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유로는 ‘맞춤법, 띄어쓰기 등이 헷갈릴 때가 많아서’라고 답한 응답자가 42.3%(149명)로 1위를 차지하며 정확한 한국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모바일 용어, 줄임말, 비속어 등 파괴된 언어를 자주 사용해서’라고 답한 응답자도 33.8%(119명)였다. 기타 의견으로 ‘표준어보다 사투리 사용이 더 익숙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는데 자신이 없다’라는 답변도 눈길을 끌었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84.7%(298명)가 ‘있다’고 답했으며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할 것 같은 부분으로는 과반수가 훨씬 넘는 57.1%(201명)의 응답자가 ‘존댓말’을 꼽았다. 이는 교수님, 시어머니 등에게 반말을 쓰고 혼이 나는 등 존댓말 사용에 어려움을 겪은 외국인들의 모습이 방송에 자주 비춰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방송에 출연하는 외국인들 중, 직접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싶은 외국인으로는 최근 부족한 한국어 실력에도 발랄하고 엉뚱한 매력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강남’이 42%(148명)로 1위에 꼽혔다. 2위로는 ‘헨리’가 35.2%(124명)로 뒤를 이었으며, 사유리와 장위안을 뽑은 이들도 각각 15.3%(54명), 6%(21명)였다.
세종사이버대학교 인문사회학부장 원수현 교수는 “최근에는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는 것을 넘어 실제로 한국어를 배우고, 유창하게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헷갈리는 어법과 문법, 한자어 등으로 한국인들도 정확한 한국어 사용에 종종 어려움을 겪는 만큼, 외국인들도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올바르게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적인 교육이 확대 되어야 한다” 고 전했다.
국내 최초의 원격대학인 세종사이버대학교(www.sjcu.ac.kr)가 대한민국 성인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TV 프로그램 등에서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외국인들을 보며 “나보다 한국어를 더 잘한다”고 느낀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85.5%(301명)가 ‘그렇다’고 답했다.
외국인들의 어떤 모습을 볼 때 자신보다 한국어를 더 잘한다고 느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속담, 고사성어 등을 활용해 말하는 모습을 볼 때’ 라고 응답한 사람이 35.5%(125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외국어인 한국어를 사용하면서도 의견을 조리 있게 말할 때’가 32.1%(113명)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또 본인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한국어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79.3%(279명)에 달하는 응답자가 ‘조금 부족’하다고 답했다.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는 13.9%(49명)에 불과했으며, ‘충분한 한국어 실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라고 답한 사람도 6.8%(24명)나 됐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기에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유로는 ‘맞춤법, 띄어쓰기 등이 헷갈릴 때가 많아서’라고 답한 응답자가 42.3%(149명)로 1위를 차지하며 정확한 한국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모바일 용어, 줄임말, 비속어 등 파괴된 언어를 자주 사용해서’라고 답한 응답자도 33.8%(119명)였다. 기타 의견으로 ‘표준어보다 사투리 사용이 더 익숙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는데 자신이 없다’라는 답변도 눈길을 끌었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84.7%(298명)가 ‘있다’고 답했으며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할 것 같은 부분으로는 과반수가 훨씬 넘는 57.1%(201명)의 응답자가 ‘존댓말’을 꼽았다. 이는 교수님, 시어머니 등에게 반말을 쓰고 혼이 나는 등 존댓말 사용에 어려움을 겪은 외국인들의 모습이 방송에 자주 비춰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방송에 출연하는 외국인들 중, 직접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싶은 외국인으로는 최근 부족한 한국어 실력에도 발랄하고 엉뚱한 매력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강남’이 42%(148명)로 1위에 꼽혔다. 2위로는 ‘헨리’가 35.2%(124명)로 뒤를 이었으며, 사유리와 장위안을 뽑은 이들도 각각 15.3%(54명), 6%(21명)였다.
세종사이버대학교 인문사회학부장 원수현 교수는 “최근에는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는 것을 넘어 실제로 한국어를 배우고, 유창하게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헷갈리는 어법과 문법, 한자어 등으로 한국인들도 정확한 한국어 사용에 종종 어려움을 겪는 만큼, 외국인들도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올바르게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적인 교육이 확대 되어야 한다” 고 전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동포투데이] 한국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이 10월 초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이 중국인을 특정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내놓아 논란이 일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산하 <This Week in Asia>는 14일, 국민의힘... -
“중국을 알려면 현실을 봐야” — 세계중국학대회 상하이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의 부상과 세계적 영향력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국 학계와 해외 연구자들 사이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 중국과 해외 학자 500여 명이 참석한 ‘제2회 세계중국학대회’가 14일 상하이에서 개막했다. 올해 대회 주제는 ‘세계의 시각에서 본 역...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실시간뉴스
-
‘전통의 손길, 오늘의 만남’, 도쿄에서 만나는 한국의 아름다움
-
재즈댄스 페스타 vol.2 'Moment' 정기공연
-
대한워킹투어협회,'청계천 역사문화길 걷기대회' 성료
-
송곡대학교SGAE글로컬대학 성인학습자전형 실용무용예술학과,무용교육학과,공연예술기획학과 신설
-
(사)글로벌청소년센터, 우리마을 동행축제 개최
-
2024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 성료
-
‘인생을 멋지게’ 이인권 대표 북토크,,,“출세보단 성공을”
-
‘태권발레 in 힐링스쿨’ 2024 신나는 예술여행 ‘전국 공연’
-
제17회 '대한민국환경문화페스티벌·한중 환경사랑교류제' 개최
-
2024 미스월드 차이나, 한국 지역 대표 선발전 내달 24日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