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관계를 가지면 여성의 면역 체계 활동량 증가
그러나 매일 성관계를 가져야 임신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인디애나대 연구진은 30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중 절반은 매일 성관계를 갖는 여성이었고, 절반은 성관계를 갖지 않는 여성이었다.
연구진은 매일 성관계를 갖는 여성에게서 'T 조세포'가 월경 주기에 따라 변하는 것을 발견했다. T 조세포는 Type1과 Type2 두 종류가 있는데, 이는 '외부 침입자'가 병원균처럼 해로운 것인지 정자처럼 이로운 것인지 분별하는 역할을 한다. 해로운 침입자는 없애고, 이로운 침입자는 보호하기 위해서다.
매일 성관계를 갖는 여성은 자궁 벽이 두꺼워지는 시기에 T 조세포 Type 2의 활동량이 증가했고, 배란기에 T 조세포 Type 1의 활동량이 증가했다.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인 '사이토카인'의 분비량도 늘어났다.
성관계 후 면역글로빈 G(immunoglobin G)의 활동량도 증가했다. 면역글로빈 G는 혈청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체내에 침투하는 병원균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성관계를 하지 않는 여성에게선 어떠한 변화도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매일 성관계를 가질 경우 여성의 몸이 특별한 방식으로 임신을 준비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면역 세포의 활동량이 증가하면 난자, 정자, 수정란을 공격하는 해로운 침입자의 활동이 제한돼 임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티어니 로렌츠 미국 킨지연구소 방문 연구원은 "면역 체계는 임신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성관계가 면역 체계에 임신을 준비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신과 불임 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눈감은 리더십, 침몰하는 중국 축구…‘자격 없는 자’의 민낯
● 허훈 중국 축구 팬들이 마침내 인내의 한계를 넘어섰다. 전국 각지에서 터져나온 “郑智(정즈) 퇴진하라”는 외침은 단순한 성적 부진에 대한 분노가 아니다. 그것은 책임 회피, 불통, 무능, 나아가 인격적 결함에 대한 총체적 거부의 신호탄이다. 그리고 그 한가운데에, 자리를 비워야 마땅할 정즈가 ... -
"뿌리 깊은 부패에 무너진 중국 축구의 미래"
[동포투데이] “한 번 조작하면 백만 위안, 이기고 받는 보너스보다 열 배는 더 많아요.” 이는 몇 해 전 한 중국 축구 국가대표가 한 말이 다. 당시엔 씁쓸한 농담처럼 들렸지만, 지금 돌아보면 예고편이었다. 그 말대로였다. 조작된 경기와 그 이면의 검은 돈이 중국 축구를 집어삼켰다. 2025년, 또 한 명의 전 국가...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사설] ‘홍대 중국인 커플 폭행’, 언제까지 외국인 혐오에 눈 감을 것인가
-
“억제”의 환상, 전쟁의 불씨가 된 서태평양…수천만 생명 위협하는 핵 시나리오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
'축구 굴기'의 허상, 국가 통제 축구의 비극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뿌리 깊은 부패에 무너진 중국 축구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