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들은 오늘, 예술이 아닌 생계의 무게에 눌려 살아간다. 무대 위의 빛났던 순간들은 과거가 되고, 예술을 꿈꾸던 청춘은 어느새 현실을 감내하는 성인이 되었다.
이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한국의 무용 전공자들이다. 오랜 시간, 몸을 담보로 단련하고 무대를 준비해왔지만, 졸업 후 마주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국공립 무용단의 협소한 입단문, 한정된 시간강사 자리, 불안정한 프리랜서 시장. 예술을 직업으로 삼는 것이 ‘기적’처럼 느껴지는 구조 속에서 많은 이들이 본업을 떠나고, 예술과는 먼 생계형 직업에 머물게 된다.
문제는, 그들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예술을 '직업'과 '산업'으로 연결해주는 시스템과 교육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예술교육은 ‘기량’과 ‘창작’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늘의 예술인은 단지 무대 위의 창작자가 아니다.
이제는 콘텐츠기획자, 문화예술매니저, 예술교육컨설팅, 심리상담가, 예술치유가, 예술경영전문가, 아트코디네이터, 디지컬콘텐츠PD, 마케터, 창업가, 글로벌 협력자 등으로 변화를 주도하며 함께 성장할 시간이다. 예술을 산업화하지 않으면, 아름다운 예술도 지속 가능하지 않고 소멸 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지금, 필요한 건 단 하나 —‘재교육’이다.
대학·대학원에서 예술을 전공했지만 실무와는 연결되지 못했던 이들, 3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성인 예술인, 프리랜서 강사, 예술교육자, 공연인, 문화기획자들은 이제 ‘다시 배움’이라는 기회의 문 앞에 서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더 이상 기교 중심의 수업이 아니다. 예술 + 기획 + 콘텐츠 + 창업 + 심리 + 치유 + 문화기술 + 무용의과학 +융합예술 + 문화경영, 예술을 단지 공연의 영역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교육에서 산업으로, 창작에서 비즈니스로 연결하는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이는 단순한 전공 심화가 아니다. 이것은 예술인의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새로운 직업 교육이다. 재교육은 과거의 꿈을 다시 숨 쉬게 만드는 일이며 낡은 꿈에 숨을 불어넣어 새롭게 살리는 일이다.
예술은 감동이어야 하고 무대는 경이로워야 하지만 이제 예술을 '감동의 영역'에만 머물게 해서는 안 된다. 그 감동을 만들어내는 삶도, 무대 뒤의 삶도, 존엄하고 지속 가능해야 한다.
우리는 더 이상 예술인을 희생과 고통의 상징으로 머물게 해서는 안 된다. 그 중심에, ‘산업화된 예술교육’ ‘성인을 위한 교육 재설계’가 있어야 하며 이제는 예술을 ‘생계가 가능한 일’, ‘전문직으로서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예술인의 삶에 ‘재교육’이라는 단어를 새겨야 한다. 그것은 ‘멈춤’이 아니라, ‘더 멀리 나아가기 위한 용기’다. 이제 배움은 더 이상 젊은이들의 전유물이 아니며 성인도, 예술인도, 지금 이 순간 다시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
경험 위에 기획을 더하고, 창작 위에 경영을 더하자. 자신을 기획하고, 콘텐츠를 만들고, 브랜드를 세우고, 자신을 세일즈할 수 있어야 한다. 예술인을 위한 교육은, 이제 단지 기술을 넘어서 생존과 자립의 언어가 되어야 한다.
6월의 비처럼, 재교육은 잠시 멈추는 쉼이자, 더 멀리 나아가기 위한 시작이다. 재교육은 조용하지만 깊은 울림으로 우리를 다시 적신다.그 비를 맞으며, 새로운 길로 나아갈 이들을 응원한다. 그리고 그 출발점은, 지금 이 순간 ‘다시 배우기로’ 결정하는 용기다.
예술인들이여, 도전하라!!
배우고, 기획하고, 스스로를 디자인하고, 연출하라!! 융합과 확장의 시대, 예술인은 더 이상 변방이 아니다. 예술이 산업과 나란히 걷는 길에 동참해야 할 때 그 길의 끝에서, 다시 당신의 예술이 빛날 것이다
BEST 뉴스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글 | 허 훈 최근 서울 남대문경찰서가 중국 대사관 인근에서 열린 극우 단체 ‘자유대학’의 반중(反中) 시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 세력으로 알려진 이 단체는 7월 22일 집회에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다이빙 대사의 얼굴이 인... -
교육이 사라진 대학
무더운 여름도 무색하게, 한국의 대학 현장은 구조적 모순과 부조리 속에서 얼어붙어 있다. 대학 위기론은 낯선 얘기가 아니다. 하지만 그 본질은 단순한 학령인구 감소나 재정난이 아니다. 특히 적지 않은 사립대학은 ‘교육’이라는 본질보다 ‘경영’이라는 명분 아래, 이윤 추구에만 몰두하며 스스로 존재의 이...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무비자도 독점 장사? 한국 관광정책의 속 좁은 계산”
글 | 허 훈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겉으로는 양국 교류 확대를 말하지만, 세부 규정은 자유여행객을 철저히 배제하고 8개 지정 여행사만 이용하도록 했다. 한마디로 관광을 ‘공공 외교’가 아닌 ‘특정 기업 수익사업’으로 보는 발상이...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