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숙이 문을 닫자, 김약연은 뜻을 이어 1908년 명동학교를 세웠다. 일본의 압박 속에 국권을 잃은 젊은이들에게 이 학교는 유일한 길이었다. 국어와 역사를 가르치고 민족의식을 심으며, 독립운동 사상의 토대를 마련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명동학교는 기독교 선교와 결합해 민족교육의 거점이 됐고, 수많은 인재들이 이곳에서 길러졌다.
윤동주 역시 명동학교에서 기초를 닦았다. 그의 절제된 언어와 깊은 성찰은 단순한 문학적 감각이 아니라, 어린 시절 민족교육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윤동주의 생가는 한때 사라질 위기에 놓였으나 1990년대 복원됐고, 2011년에는 명동학교도 재현됐다. 지금은 중국 정부가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중점 문물보호단위로 관리한다. 전람관과 시비가 세워지면서 매년 수만 명이 찾는 역사 현장이 됐다.
“윤동주 시인의 생가가 복원된 뒤 한국에서 오는 손님이 끊이지 않습니다. 시인을 기리는 동시에 우리 조선족의 뿌리와 역사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지요.”
명동촌 주민 정춘화(72) 씨의 말이다.
생가 마당에는 「서시」 구절이 새겨진 시비가 서 있다. 하지만 방문객들이 더 자주 떠올리는 것은 「별 헤는 밤」이다.
“별 하나에 추억과 / 별 하나에 사랑과…”
윤동주가 노래한 별은 단순한 낭만이 아니다. 유년과 고향, 민족과 미래에 대한 그리움이었다. 북간도의 차가운 밤하늘을 비추던 별빛은 시대의 어둠 속에서 길을 찾으려는 청년의 호소였다.
명동학교 교사 출신 후손 김현수(가명·48) 씨는 “윤동주 시는 조국을 향한 갈망과 인간으로서의 성찰이 함께 담겨 있다. 우리 2세, 3세에게도 여전히 살아 있는 교과서”라고 말했다.
명동학교와 윤동주 생가는 단순한 기념물이 아니다. 국권을 잃고 떠밀려온 조선인들이 학교를 세우고 시를 쓰며 신앙을 지켰던 ‘기억의 현장’이다.
윤동주의 짧은 생애는 북간도의 역사와 겹친다. 그의 시는 개인의 고뇌이자 민족의 비망록이었다. 지금 이곳을 찾는 수많은 발걸음은 단순한 관광이 아니다.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다시 던지게 한다.
BEST 뉴스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