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짙은 초록의 덩어리 같지만, 한 걸음 들어서는 순간 전혀 다른 세계가 열린다.
공기는 더없이 맑고 서늘했다. 자욱한 이끼 냄새와 젖은 흙 내음, 멀리서 들려오는 새소리가 묘한 울림을 남겼다. 나무들은 줄기가 굵고 가지는 하늘을 향해 곧게 뻗어 있었다. 수백 년 세월을 견뎌온 전나무와 가문비나무가 서로의 그늘 속에 얽혀, 거대한 초록의 성당을 이루고 있었다.
“이곳은 백두산의 ‘숨은 심장’이에요.”
지하삼림 입구에서 만난 현지 안내원 리춘하(조선족, 38)는 그렇게 말했다. “천지가 백두산의 얼굴이라면, 지하삼림은 그 영혼입니다. 화산이 폭발하고, 숲이 스스로 회복된 자리죠.” 그는 숲길을 걷는 내내 발밑의 식물들을 하나하나 설명해주었다. “이건 인삼과 비슷한 삼지구엽초, 저건 희귀한 백두산 들꽃이에요. 여름엔 버섯이 산을 뒤덮습니다.”
관광객들은 깊은 협곡 사이로 이어진 나무계단을 조심스레 걸었다. 원시림에 들어서자 물소리가 들렸고, 짙은 안개가 발목을 스쳤다. 서울에서 온 대학생 이민주(24)씨는 “천지에서 본 장엄함과는 달리, 여기는 시간마저 멈춘 느낌”이라며 “자연이 스스로를 치유한 흔적 같아요”라고 말했다.
지하삼림의 숲속에는 작은 폭포와 맑은 계류가 곳곳에 흘러 있었다. 햇빛이 틈새로 비칠 때마다 안개가 무지개처럼 피어올랐다. 카메라 셔터 소리 대신, 사람들은 조용히 숨을 죽였다. 이 신비로운 침묵이야말로 백두산이 오랜 세월 품어온 생명의 리듬이었다.
숲 끝자락에서 만난 노년의 조선족 촌민 김창수(70)씨는 “어릴 적엔 여기에 산삼을 캐러 다녔지요. 지금은 보호구역이라 채취는 금지됐지만, 그래도 백두산은 여전히 우리 삶의 일부예요”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숲이 오래도록 그대로 남아야 우리 후손들이 백두산의 진짜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라며 미소 지었다.
길고 어두운 협곡을 빠져나오자 다시 햇살이 쏟아졌다. 뒤돌아본 숲은 안개 속으로 천천히 사라지고 있었다. 천지의 푸른 물결, 장백폭포의 굉음, 그리고 지하삼림의 고요 — 이 세 풍경은 서로 다른 얼굴로 백두산의 생명력을 완성하고 있었다.
기자는 문득 생각했다. 백두산은 단순히 높은 산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이 시간 위에 새겨놓은 거대한 연대기이자, 인간과 생명이 함께 써 내려가는 서사시였다.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에서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