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화영 기자
  • 입력 2025.10.19 07:3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6655.jpg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1900년대 초, 조선에서 건너온 이주민들은 가난과 추위 속에서도 먼저 예배당을 세웠다. 교회는 학교이자 회의장이었고, 때로는 항일운동의 본부였다. 명동학교 설립자 김약연 목사를 비롯해, 이회영·이상설·서일 등 수많은 인물들이 교회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운동을 조직했다. 성경 공부와 민족교육은 늘 한 자리에 있었다.
 
길림성 화룡시의 명신교회는 그 상징적 장소다. 기자가 찾은 9월의 명신교회는 평일이었지만, 예배당 안에는 흰 머리의 노인 몇이 찬송가를 부르고 있었다. 교회 관리인 박선화(75) 씨는 “이 교회는 일제 때부터 우리 조선족이 신앙을 붙들던 곳”이라며 “그 시절 예배는 단순한 기도가 아니라, 조국을 위한 약속이었다”고 말했다.
 
교회는 신앙과 민족을 잇는 끈이었다. 독립운동가들은 예배 후 헌금함 아래에서 비밀 회합을 열기도 했다. 일제의 감시를 피해 성경책 속에 지하신문과 연락편지를 숨겨 전달하던 이들도 있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북간도 지역에는 1920년대 중반 기준으로 150여 개의 한인 교회가 있었다. 교회는 지역 공동체의 심장이자, 독립운동 자금과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였다. 일본 경찰의 단속은 그만큼 혹독했다. 신앙을 이유로 잡혀간 사람도 적지 않았다.
 
지금의 교회는 한층 조용해졌지만, 그 자리는 여전히 신앙의 기억으로 남아 있다. 용정시 명동촌 근처 ‘명동교회’ 예배당은 붉은 벽돌로 새로 단장돼, 조선족 학생들이 주말마다 모여 찬송을 부른다. 교회 옆에는 윤동주의 이름을 딴 ‘동주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명동교회 장로로 40년째 봉사 중인 김광호(82) 씨는 기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신앙으로 민족을 지켰습니다. 믿음은 단지 하늘을 향한 게 아니라, 서로를 지탱하는 힘이었어요. 그게 우리 조상들이 북간도에서 남긴 유산이지요.”
 
지금 북간도의 교회들은 더 이상 독립운동의 비밀기지가 아니다. 그러나 그 신앙의 불씨는 여전히 꺼지지 않았다. 매년 광복절이 다가오면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인 방문객들이 함께 예배를 드린다. 찬송가 사이로 윤동주의 「십자가」가 낭독된다.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윤동주의 시가 울려 퍼질 때, 늙은 장로의 눈가에 눈물이 맺혔다. 신앙은 시대를 넘어, 민족의 기억과 맞닿아 있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중국을 알려면 현실을 봐야” — 세계중국학대회 상하이서 개막
  • “두 개의 신분증, 한 세상은 끝났다”… 호주 교민, 중국서 ‘이중국적 단속’에 막혀 출국 불가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 中 배우 신즈레이, 베니스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