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중국 동북부 지린(吉林)성 연길(延吉). 조선족의 삶과 문화가 오랜 세월을 품고 살아 숨 쉬는 이 도시의 한 자락에 ‘중국조선족민속원’이 있다. 이곳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한민족의 기억과 생활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문화의 마을이다.
민속원은 연길시 모아산(帽儿山) 자락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맑은 공기와 울창한 수목이 감싸는 공간에 들어서면, 하얀 담장과 푸른 기와가 어우러진 조선식 가옥들이 눈길을 끈다. 마을을 거닐다 보면, 마치 한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 듯한 착각에 빠진다.

총 40여 채의 건물 중 9채는 초가지붕의 백년 고가다. 기둥마다 세월의 결이 선명하고, 처마 밑 풍경이 바람에 흔들릴 때면 오래된 삶의 온기가 느껴진다. 민속원은 단지 전시의 공간이 아니라, 조선족 공동체의 역사와 정체성을 품은 살아 있는 기록물이다.
안쪽으로 들어가면 전통문화 전시구, 백년 고가 체험구, 민속공예 작업실, 전통음식 체험구 등이 이어진다. 짚을 꼬아 만든 공예품, 허브 향이 은은한 향낭, 나무를 깎아 만든 소품들이 손끝의 온기로 완성된다. 관람객들은 직접 짚을 꼬고, 목공예를 배우며 조선족 장인의 손맛을 체험한다.

마당 한켠에 줄지어 선 옹기들 사이로 한복 차림의 관광객들이 웃음을 터뜨린다. 붉은 치마저고리와 흰 저고리, 파란 두루마기가 햇살 아래 어우러져 전통과 현재의 경계가 사라진다. 누군가는 옹기 앞에서 사진을 찍고, 누군가는 목공예 방에서 작은 장식품을 빚는다.
전통 놀이 공간에서는 그네와 널뛰기가 인기를 끈다.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함께, 어른들도 한껏 들뜬 표정으로 줄을 잡는다. 과거 조선 마을의 정취가 놀이를 통해 다시 살아난다.

무엇보다 이곳이 특별한 이유는, 조선족의 ‘생활’이 여전히 살아 있다는 점이다. 수놓인 옷자락, 나무결에 새겨진 문양, 정갈한 솥단지 하나까지—그 속엔 민족의 이야기가 깃들어 있다.
한복을 입은 관광객이 옛집 앞에 서서 천천히 숨을 고른다. 하얀 담벽 위로 빛이 번지고, 풍경소리가 바람을 타고 흘러간다.
그 순간, 연길 조선족민속원은 단순한 여행지가 아니라, 기억과 정체성이 살아 있는 ‘시간의 마을’이 된다.
BEST 뉴스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대만 해방 시 외국 개입은 영토 침략”… “전쟁 불가피”
-
세계 과학 허브 절반이 중국 도시…베이징 10년째 1위
-
연길, 3년 연속 ‘중국 100대 관광지’ 선정
-
다카이치 발언 논란… 中, 류큐 지위 거론에 日 ‘당황’
-
中, 일본 간첩 활동 잇따라 적발…평화 위협 불용
-
일본 보이그룹 광저우 팬미팅 취소… 다카이치 발언 후폭풍 중국 내 확산
-
다카이치 ‘대만 유사’ 발언 후폭풍… 中 “침략행위면 정면타격”, 日 내부도 강력 비판
-
“대만 문제 외부 개입 안 돼”… 국민당, 日 총리 발언 강력 경고
-
日 의원 “中, 유엔 승인 없이도 일본 군사 타격 가능” 발언 파문
-
日 전직 총리 3인, 다카이치에 일제히 경고… “경솔한 발언 말라, 대만은 중국의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