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면서 확산되는 현실이 우리 사회의 민낯을 드러낸다.
더 심각한 것은 그 댓글창 풍경이다. “중국 무비자 절대 반대”, “역사 왜곡 국가 중국은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는 노골적인 혐오 발언이 난무한다. “무비자 반대가 최고의 치료약”이라는 조롱까지 달린다. 이것이 단순한 온라인 해프닝인가? 아니다. 사회적 불안과 증오를 의도적으로 키우는 선동에 가깝다.
우리 사회에 반중 감정이 깊게 자리 잡은 것은 사실이다. 중국의 역사 왜곡, 경제 보복, 외교적 오만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은 합리적 비판이 아니라, 괴담과 혐오가 결합해 무책임하게 퍼져나간다는 데 있다. 사회 불만을 외국인 탓으로 돌리는 방식은 언제나 가장 손쉬운 선동이다. 결국 희생양만 남기고, 냉정해야 할 국익 논의는 실종된다.
정부의 태도도 도마에 올라야 한다. 무비자 제도와 관련해 명확한 설명도, 가짜뉴스를 차단하려는 의지도 찾아보기 어렵다. 그 사이 허무맹랑한 이야기들이 ‘팩트’처럼 소비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반중 정서를 자극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듯한 행태까지 보인다. 정부와 정치가 책임을 방기한 사이, 사회는 혐오에 잠식되고 있다.
방치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괴담이 일상을 지배하고, 혐오가 정치를 대신한다. 이주민과 외국인에 대한 차별은 현실이 되고, 한국 사회는 분열과 불신의 늪으로 빠져든다. 지금 필요한 것은 감정적 선동이 아니라, 차분하고 냉정한 대응이다. 괴담으로 키운 혐오를 방치하는 순간,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사회가 떠안게 될 것이다.
BEST 뉴스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