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면서 확산되는 현실이 우리 사회의 민낯을 드러낸다.
더 심각한 것은 그 댓글창 풍경이다. “중국 무비자 절대 반대”, “역사 왜곡 국가 중국은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는 노골적인 혐오 발언이 난무한다. “무비자 반대가 최고의 치료약”이라는 조롱까지 달린다. 이것이 단순한 온라인 해프닝인가? 아니다. 사회적 불안과 증오를 의도적으로 키우는 선동에 가깝다.
우리 사회에 반중 감정이 깊게 자리 잡은 것은 사실이다. 중국의 역사 왜곡, 경제 보복, 외교적 오만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은 합리적 비판이 아니라, 괴담과 혐오가 결합해 무책임하게 퍼져나간다는 데 있다. 사회 불만을 외국인 탓으로 돌리는 방식은 언제나 가장 손쉬운 선동이다. 결국 희생양만 남기고, 냉정해야 할 국익 논의는 실종된다.
정부의 태도도 도마에 올라야 한다. 무비자 제도와 관련해 명확한 설명도, 가짜뉴스를 차단하려는 의지도 찾아보기 어렵다. 그 사이 허무맹랑한 이야기들이 ‘팩트’처럼 소비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반중 정서를 자극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듯한 행태까지 보인다. 정부와 정치가 책임을 방기한 사이, 사회는 혐오에 잠식되고 있다.
방치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괴담이 일상을 지배하고, 혐오가 정치를 대신한다. 이주민과 외국인에 대한 차별은 현실이 되고, 한국 사회는 분열과 불신의 늪으로 빠져든다. 지금 필요한 것은 감정적 선동이 아니라, 차분하고 냉정한 대응이다. 괴담으로 키운 혐오를 방치하는 순간,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사회가 떠안게 될 것이다.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