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허 훈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겉으로는 양국 교류 확대를 말하지만, 세부 규정은 자유여행객을 철저히 배제하고 8개 지정 여행사만 이용하도록 했다. 한마디로 관광을 ‘공공 외교’가 아닌 ‘특정 기업 수익사업’으로 보는 발상이다.
정책의 속내는 통계가 말해준다. 한국 경제 성장률은 0.2%로 주저앉았고, 면세점 매출은 30% 넘게 떨어졌다.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절반으로 줄었지만, 그들의 1인당 소비액은 여전히 미국인·일본인보다 훨씬 많다. 이번 지정제는 이 소비력을 ‘관계 기업’이 독점하도록 설계된 구조다.
문제는 한국이 ‘상호주의’는커녕 오히려 역차별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인에게 전면 무비자를 시행했다. 반면 한국은 자유여행객에게는 단체보다 더 비싼 비자 수수료를 매기고, 아예 무비자 대상에서 제외했다. 명분은 ‘관광 질서’지만, 속뜻은 ‘개별 손님은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계산이다.
더 심각한 건 과거의 차별 관행이 그대로 반복된다는 점이다. 2017년 사드 사태 당시, 서방 관광객은 10분 만에 입국했지만 중국인은 3시간 넘게 대기해야 했다. 이번에도 제주만 무비자, 다른 지역은 승인제라는 이중 기준을 유지한다. ‘안전’이나 ‘관리’를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그 본심은 분명하다.
강제 쇼핑과 바가지 상술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무비자를 ‘미끼’로 삼아 관광객을 지정 상권으로 몰아넣고, 정해진 금액을 쓰지 않으면 입국 자격을 취소하겠다는 협박까지 등장했다. 이쯤 되면 관광객은 손님이 아니라 ‘이동식 지갑’에 불과하다.
중국 내 관광시장은 활황이다. 하이난, 윈난, 쓰촨 등지에서 국내 소비가 폭발하고 있다. 베이징~연길 고속철은 성수기 요금이 올라가도 매진이지만, 서울행 항공권은 가격을 내려도 팔리지 않는다. 이런 흐름 속에 한국 정부가 단기 ‘APEC 특수’를 노려 단체관광객만 붙잡는다면, 그 결과가 뻔하지 않은가.
관광은 단기 매출로만 재단할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건 상호 신뢰와 공정한 대우, 그리고 자유로운 선택권이다. ‘관광객 독점’이라는 구태를 벗지 못한다면, 한국이 얻는 것은 잠깐의 매출 증가일 뿐, 신뢰와 재방문이라는 더 큰 자산은 잃게 될 것이다.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