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흩날린 물보라가 얼굴을 스치자, 차가운 공기가 뼛속까지 파고들었다.
폭포 앞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 서로 다른 언어가 뒤섞여 흘렀지만, 웅장한 자연 앞에서는 감탄의 목소리만이 공통어처럼 울려 퍼졌다.
“이 물소리를 들으니, 마치 조국의 심장이 뛰는 것 같습니다.”
서울에서 왔다는 박정우(62)씨는 두손을 꼭 쥔채 폭포를 오래 바라보았다. 그는 젊은 시절 교과서에서만 보던 백두산을 이제야 직접 찾았다고 했다. “민족의 뿌리를 확인하는 순간, 이 차가운 물보라조차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반대편에서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줄지어 기념사진을 찍고 있었다. 베이징에서 온 대학생 리자치(21)는 “어릴 때부터 책에서 본 장백폭포는 중국의 자랑스러운 자연유산이었어요. 그런데 직접 보니 교과서의 사진보다 훨씬 장엄합니다”라며 웃었다. 그는 곁에 있던 한국인 관광객과 영어로 몇 마디를 나누기도 했다. “서로 다른 나라에서 왔지만, 같은 풍경 앞에서는 친구가 될 수 있네요.”
현지인 상인들도 눈에 띄었다. 폭포 입구 근처에서 옥 장신구와 토산품을 팔던 조선족 여성 김화영(45)씨는 “여름엔 중국 남방에서, 가을엔 한국과 러시아에서 관광객이 많이 온다”며 “백두산은 국경을 넘어 사람들이 만나는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조상들이 지켜온 이 산이 앞으로도 평화의 상징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기자는 잠시 폭포 옆 바위에 앉아 눈을 감았다. 굉음 속에서 들려오는 건 단순한 물소리가 아니었다. 역사의 상흔, 민족의 기억, 그리고 세대를 넘어 이어질 희망의 메아리였다.
백두폭포를 뒤로하며 다시금 천지를 올려다보았다. 하늘과 맞닿은 호수와 땅끝까지 울려 퍼지는 폭포의 합창은, 백두산이 단지 ‘민족의 성산’이라는 상징을 넘어 동북아 사람들의 공동의 기억이자 미래를 향한 약속처럼 느껴졌다.
싸늘한 바람은 여전히 거세게 불었지만, 관광객들의 얼굴에는 따뜻한 빛이 번져 있었다. 이곳에서의 시간은 국경을 넘어 서로의 마음을 잇는 다리가 되고 있었다.
BEST 뉴스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