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탕 씹어먹어
사탕 씹어먹어

▲ 사탕
엄마가 새벽같이 일어나서 밥을 지어놓고 거울을 마주하는 날은 장보러 가는 날이였다.
그만큼 우리집은 화룡시가지에서 40리나 떨어진 시골에 있었고, 엄마는 두달 혹은 석달에 한번 꼴로 화룡에 장보러 다녀오군 했다.
그런 날이면 우리 네형제는 공연히 들떠있었다. 어쩌다가 개눈깔사탕이나 반달사탕이 차례지는 날도 바로 그런 날이였기 때문이다.
이제나 저제나 하고 요행 기다려낸 버스 맨뒤에서 올망졸망한 보자기들을 들고 내려오는 엄마가 그렇게 반가울수가 없었다.
언제나 그러하듯, 그날도 엄마는 어느 장보따리 맨 밑에서 사탕 한봉지를 꺼냈다. 그리고는 거기에서 아버지몫으로 한줌가량 갈라놓은 다음, 나머지를 네몫으로 똑같이 나누어서는 우리 네형제에게 내밀었다. 그러면서 이렇게 오금을 박았다.
<<엄마가 다음에 화룡갈때까지 아껴먹어야 한다. 알았지?>>
엄마가 다음에, 화룡으로 가기전까지 이 사탕을 아껴먹어야 한다. 나는 속으로 다시한번 곱창하며 사탕봉지를 소중히 받아들었다. 그리고는 그 파랗고 빨간 사탕알들을 정겹게 바라보다가 급기야 한알 꺼내 입안에 넣었다. 참, 그 입안 가득 차오르는 달콤함이라니!
바로 그때였다. 깨드득, 깨드득, 사탕 부서지는 소리가 내앞에 달려온 것은, 절대로 사탕을 씹어먹지 말라고 귀아프게 말하는 엄마의 잔소리는, 그러나 오빠앞에서 물보라처럼 부서지고마는 것이다.
<<경이야, 오빠는 누운채로 이 사탕을 공중에 올리뿌려 받아먹을수 있다. 너 그렇게 못하지?>>
<<피, 거짓말.>>
<<정말이야, 너 한번 보겠니?>>
<<응>>
<<그 사탕 한알 줘봐,>>
<<싫어,>>
<<요 고집불통아, 오빠가 그깟 네 사탕 빼앗아 먹을가봐 그래? 시범만 보여주고 사탕은 절대 안먹는다.>>
<<정말이지?>>
<<그럼.>>
나는 그제야 안심하고 사탕 한알 내밀었다.
오빠는 구들에 반듯이 누웠다. 그리고 나는 사탕 한알이 공중을 나는것과 거의 동시에 깨드득, 하는 사탕 부서지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나는 황급히 달려들어 두손으로 오빠의 입을 벌려보지만, 그 안에 사탕이 있을리 없다.
<<이번에건 아니야, 너무 발리 부서져버렸단 말이야, 이번엔 잘 봐 응? 절대로 안 넘어가게 할게.>>
나는 오빠가 분명 내 사탕을 얼려먹으려는것이라는걸 알고있었다. 하지만 그 파랗고 빨간 사탕들이 은빛을 뿌리며 공중을 나는 황홀함,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싱그럽게 하는 그 깨드득소리에 못이겨 또다시 사탕 한알 내민다.
오빠에겐, 공중을 나는 그 사탕을 면바로 입안에 집어넣는 그 어떤 마법이라도 있는걸가? 언제나 그것은 한치의 오차도 없이 공중을 나느것과 같이 깨드득 하고 오빠의 이발사이로 부서지군 했다.
그리하여 나는 주고 또 주고, 그러다가 급기야는 사탕이 얼마 남지않았음을 발견하고 황급히 사탕주머니를 졸라맸다. 오빠도 더 이상은 안된다는걸 알아채고 딱지를 주어들고 달려나갔다.
나는 한동안, 오빠가 떠나간 자리에 우두커니 서있었다. 아무리 주머니를 들여다보아도 겨우 일곱알, 그나마 한알은 절반가량 깨진거였다. 이제 내겐 이 일곱알의 사탕밖엔 없는것이였다. 그리고 엄마가 이제 다음에 화룡으로 가는 때가 과연 두달후인지, 석달후인지 그건 기약할수조차 없는것이였다. 그것은 그 어떤 엄연한 한계를 알려주는듯했다.
그때였다. 뭔가가 내 가슴 한귀퉁이를 울리며 다가온 것은,
드이여 나는 그 어떤 비장한 결심을 내린 듯 입술을 깨물었고, 사탕 한알을 꺼내 까드득, 소리나게 씹었다. 이몸이 아팠다. 까드득, 까드득, 사탕 일곱알이 몽땅 부서져나갔다.
달착지근한 사탕물이 입안 가득 차올랐다.
그리고, 나는 그 사탕주머니를 던져버렸다.
그러고났을 때, 나는 그 어던 아늑함이 내 온몸을 감싸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평온이라고난 하락? 그런 안온함이 내 마음을 홀가분하게 했다.
나는 아무일도 없었던 듯 밥상을 펴놓고 숙제를 했다.
이튿날도, 그 이튿날도 나는 더는 오빠한테 빼앗긴 사탕 때문에 괴로워하지 않기로 했다. 그리고, 엄마가 언제 다시 장에 가고, 다시 사탕을 먹을수 있을가도 기다리지 않았다.
나는 내 인생의 스냅속에 든 무수한 나자신의 모습을 거의 미워하지만 그날 그 일곱알의 사탕을 씹어버린 아이의 용기만은 무한히 숭배하고 있다.
성인이 된 지금에 와서 돌이켜보아도 그것은 너무도 잘한 일이 아닌가.
내게 있는 한봉지의 사탕, 그것은 언제든지 누군가에게 빼앗길수도 도적말힐수도 있는 것이 아닐가, 뭔가를 소유하고있다는건 결국 그것을 상실할수도 있음을 의미하니깐,
허나 그것이 이미 없어졌을 때 누가 감히 다시 나를 엿볼가.
그때 어떻게 되어 내가 그토록 과단하게 그 일곱알의 사탕을 씹어버렸는지는 나 자신도 알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으로 나는 당시 나를 억누르고있던 괴로움의 그늘에서 벗어나 평온의 해빛을 찾을수 있었던게 아닐가.
뭔가를 가지고잇다는건 결국 그것을 보존하고 지키고 키워내야 하는 또다른 의미라는걸 문득 깨달아본다.
어쩌면 그 일곱알의 사탕이 내게 가르친 삶의 지혜이기도 하다.
사탕 씹어먹어,
까드득, 까드득 어데선가 사탕 씹어먹는 소리가 달려오고 있다.
글/홍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