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 수교 20주년 특집] 조선족 사회 묶는 옌볜축구팀
8월 24일은 한국과 중국의 수교 20주년이다.
되돌아볼 것, 그리고 내다볼 사안이 적지 않다.
그중에서도 곰곰이 새겨볼 게 하나 있다.
한때 ‘200만 명’으로 지칭하던 중국 내 동포, 조선족의 문제다.
그들은 이제 새로운 상황을 맞고 있다.
한국과 중국 내 다른 지역, 미국 등으로 인구가 빠져나가 ‘공동체 해체 위기’라는 말까지 나온다.
정말 그럴까. 조선족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옌볜(延邊)의 축구를 우선 살펴보기로 했다.
한때 중국 최고를 자랑했던 옌볜의 축구는 지금 상황이 결코 녹록지 않다.
현지 상황을 통해 오늘의 중국 내 동포 사회, 나아가그들을 사이에 둔 한국과 중국의 관계도 함께 조명했다.

1 옌볜 축구팀을 이끌고 있는 전 한국국가대표 출신 조긍연 감독. 2, 3 7월 27일 룽징 해란강 경기장에서 벌어졌던 옌볜 팀과 상하이 팀의 경기 장면이다. 붉은색 유니폼이 동포 축구팀이다. 4 폭염에도 동포들이 관중석을 메웠다. 5 경기장 입구에서는 무장경찰이 술병 등의 반입을 단속한다. 유광종 기자
중국인과 한국인이 서로 부딪히는 과정에 탄생한 인상기는 여럿 있다. 그중에서도 ‘검은색 옷 입은 특이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는 제법 눈길을 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이 지은조선상고사에 나오는 대목이다. 이들의 존재는 한자로 ‘조의선인(<7681>衣仙人)이다. 7세기 당 태종 이세민이 고구려를 공격할 때 등장했다고 한다. 양만춘이 지키는 안시성을 허물려고 안간힘을 썼던 당 태종 진영의 흙성이 무너지자 아주 날랜 속도로, 마치 축지법(縮地法)을 쓰듯이 안시성에서 쏟아져 나와 당나라 군대를 무찌르고 사라졌다는 존재다.
그 조의선인의 후예라서 그럴까.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축구도 날래고 잽싸며, 용맹함으로 중국에서 ‘한가락’ 한다. 유동인구까지 합쳐 겨우 인구 50만 명인 옌볜팀이 1200만~8000만 명 인구의 다른 지역 축구팀을 상대하면서도 그랬다. 대한민국 축구가 스위스와 영국, 최종에는 일본을 꺾고 런던 올림픽 동메달을 차지한 사실도 묘하게 오버랩된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다소 암울하다. 1994년 출범한 중국 프로축구리그에서 이제는 2부리그의 하위 팀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후원도 줄어들며 후진 양성도 어렵다. 모두 급속하게 줄어드는 조선족 사회의 인구 때문이다.
그럼에도 동포 사회의 구심점인 옌지(延吉)에서는 뭔가 강렬한 욕망이 읽힌다. 지난 7월 27일 옌지 인근의 룽징(龍井)에서가 그랬다. 마침 그곳에서는 중국 축구 2부리그인 갑급(甲級) 경기가 펼쳐지고 있었다. 이날 날씨는 섭씨 32도. 한여름의 폭염이 사위를 옥죄고 있던 날씨였다. 그러나 오후 2시에 접어들면서 관중들이 경기장인 해란강(海蘭江) 스타디움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옌지와 룽징, 그리고 허룽(和龍) 등 자치주 곳곳에서 삼삼오오, 또는 차량을 대절해 경기장을 찾아온 동포들이었다. 대다수가 동포라고 추정됐던 그날의 관중 수는 뜨거운 여름 날씨에도 불구하고 3000명 정도에 달했다. 경기는 동포로 구성된 옌볜 ‘장백 호랑이’ 팀과 리그 1위를 달리는 상하이(上海) 선화(申花) 팀 사이에 벌어졌다. 상하이 팀 선수들은 동포 선수들에 비해 머리 하나 정도가 커보였다.
그러나 경기 초반은 ‘호랑이’의 압도적 우세였다. 2부리그 하위를 맴돈다는 사실을 전혀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렬한 체력이 돋보였다. 중원의 압박과 정교한 패스가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후반으로 갈수록 주도권은 상하이 쪽으로 넘어갔다. 경기 결과는 3대0, 상하이 팀의 승리였다.
경기 도중 관중석의 열기는 뜨거웠다. 끊임없이 박수와 환성이 오르고, 경기를 지연시키는 상하이 선수들을 향해서는 여지없이 비난의 함성이 날아갔다. 패색이 짙은데도 그를 지켜보는 관중들의 분위기는 여전했다. 경기가 끝난 뒤 관중석을 빠져나가는 사람에게 물었다. “져서 실망이지요?” 그런 질문에 허룽에서 차를 대절해 왔다는 60대의 남성 동포는 “이겨도 겨레요, 져도 겨레입니다”면서 씩 웃었다.
경기 뒤 양측 감독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기자들의 질문 속에 누군가 쑥 끼어들었다. 신문지를 말아 쥔 반바지 차림의 한 동포 남성이 “조 감독님, 왜 프리킥 때 직접 차지 않고 패스를 한 번 하더랍니까…도대체 왜 그랬단 말입니까?” 억센 함경도 사투리였다. 그는 곧 관계자들의 제지를 받았다. 자신을 팬이라고 밝힌 이 30대 남성은 못내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지으며 관계자들에게 이끌려 나갔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축구 열기는 그렇게 뜨거웠다. 팀이 비록 2부리그 하위에서 맴을 돌든지, 아니면 그 이상으로 처져 있든지 상관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오직 동포 축구팀이 존재하면 나는 그를 향해 응원을 보내겠다는 분위기가 역력해 보였다. 오후에 현지 스포츠 관계자 한 사람을 만났다. 그는 “조선족 자치주는 축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곳이라서 그렇다”는 말을 했다. 그는 이어 “일제 수탈을 피해 이주해 온 조선인 역사는 늘 축구와 명맥을 함께했다”며 “지금도 ‘언젠가 중국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자신감 하나만은 정말 대단하다”고 말했다.
경기를 지휘한 한국 전 국가대표 출신인 조긍연(51) 감독도 마찬가지였다. 경기 뒤 ‘장백 호랑이’ 합숙소에서 만난 그는 “잘만 받쳐주면 올해 연말에는 1부 수퍼리그 진출이 가능하다”며 “큰 문제는 경제적인 지원이고, 많은 동포를 중국에 남겨 둔 한국인의 관심”이라고 말했다. 조 감독은 “부임 두 달에 불과하다. 좀 더 빨리 와서 선수들의 기초 체력 보강에 주력했다면 오늘처럼 후반에 골을 많이 먹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감독에게 쏟는 현지의 열기는 대단하다. 현지 동포들은 1996년 몰락했던 옌볜팀을 1부리그 4위까지 끌어올리며 중국 내 동포들을 감격과 환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고(故) 최은택(2007년 작고) 감독의 그림자를 그로부터 읽고 있어서다. 보수를 기대하지 않고 민족적인 감정에 이끌려 한국에서 옌볜으로 왔던 고 최은택 감독은 지금까지 중국 동포들 마음속 ‘영웅 중의 영웅’이다. 포항팀에서 최은택 감독의 지도를 받았던 제자 조긍연 감독도 그런 스승의 발자취를 따라 이곳에 왔다.
조 감독은 “보수를 기대하고 여기에 오지는 않았다. 내 축구 인생을 마지막으로 여기서 꽃피워 보고 싶은 생각이다. 축구를 향한 동포들의 강한 열망이 좋았다. 어떻게 해서든 1부리그에 오른다면 동포들의 뜨거운 관심 때문에 더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이런 열기를 한국에 전해 뜻있는 독지가들의 지원을 이끌어내고 싶다”고도 말했다.
그에게 “팀 성적이 아주 좋지 않은 상황인데 그런 기대를 품을 만하느냐”고 물었다. 조 감독은 “중국 선수들에 비해 동포 선수들은 복종심이 강하고, 단체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정신이 강하다. 비록 체력은 달리지만 훈련을 통해 극복한다면 정말 한번 붙어볼 만하다”고 말했다. 그는 “악착같이 달려들어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게 한반도 사람들의 축구 체질”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분위기는 무르익고 있다. 올해 9월이면 옌볜 조선족 자치주가 출범한 지 60주년을 맞는다. 현지의 한 관계자는 “자치주 정부 또한 현지 동포들이 ‘겨레의 상징’이라고까지 부르는 축구 진흥책에 관심이 높다”며 “지역 내 각 기업을 독려해 3000만 위안(약 54억원) 정도의 후원자금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지에서 축구 전문기자를 만났다. 그는 우선 “조금만 집중하면 조선족 축구팀이 못할 게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중국 국가대표팀에 김경도, 베이징(北京)팀 궈안(國安)에서 박성 선수가 활약하는데 이들에 대한 중국 축구계의 평가가 아주 높다”며 “체계적으로 선수들의 체력을 보강하면서 높은 수준의 전술과 전략을 익히도록 하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옌볜 축구팀은 요즘 돈이 없어 전지훈련도 가지 못한다”며 “그나마 우리를 반겨주는 곳은 조선(북한)에 불과하지만 좋은 환경을 갖춘 한국에서 전지훈련이라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수의 대우도 문제다. 연봉 1000만 위안(약 18억원)을 받는 선수가 즐비한 중국 프로축구계에서 옌볜팀 축구선수는 월 9500위안(약 170만원)이 가장 높다. 사정이 그렇다 보니 축구에 마음을 쏟는 젊은 동포들이 점차 없어져 간다는 얘기다.
“중국 조선족은 아직 겨레 의식이 강하다. 게다가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는 중국 동북3성은 대규모 개발을 앞두고 있다. 겨레의식이 남다른 동포들은 한국의 영원한 원군(援軍)이다. 국적으로 갈라져 있기는 하지만 교류를 활성화하면 그만큼 연대의식이 부활하지 않을까. 한국의 선택이 어때야 할까?” 한국과 중국의 수교 20주년, 게다가 덧붙여 조선족의 문제를 묻는 질문에 옌볜 현지 기자가 되돌려준 물음이다.
옌지=유광종 기자 kjyoo@joongang.co.kr
되돌아볼 것, 그리고 내다볼 사안이 적지 않다.
그중에서도 곰곰이 새겨볼 게 하나 있다.
한때 ‘200만 명’으로 지칭하던 중국 내 동포, 조선족의 문제다.
그들은 이제 새로운 상황을 맞고 있다.
한국과 중국 내 다른 지역, 미국 등으로 인구가 빠져나가 ‘공동체 해체 위기’라는 말까지 나온다.
정말 그럴까. 조선족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옌볜(延邊)의 축구를 우선 살펴보기로 했다.
한때 중국 최고를 자랑했던 옌볜의 축구는 지금 상황이 결코 녹록지 않다.
현지 상황을 통해 오늘의 중국 내 동포 사회, 나아가그들을 사이에 둔 한국과 중국의 관계도 함께 조명했다.

1 옌볜 축구팀을 이끌고 있는 전 한국국가대표 출신 조긍연 감독. 2, 3 7월 27일 룽징 해란강 경기장에서 벌어졌던 옌볜 팀과 상하이 팀의 경기 장면이다. 붉은색 유니폼이 동포 축구팀이다. 4 폭염에도 동포들이 관중석을 메웠다. 5 경기장 입구에서는 무장경찰이 술병 등의 반입을 단속한다. 유광종 기자
중국인과 한국인이 서로 부딪히는 과정에 탄생한 인상기는 여럿 있다. 그중에서도 ‘검은색 옷 입은 특이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는 제법 눈길을 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이 지은
그 조의선인의 후예라서 그럴까.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축구도 날래고 잽싸며, 용맹함으로 중국에서 ‘한가락’ 한다. 유동인구까지 합쳐 겨우 인구 50만 명인 옌볜팀이 1200만~8000만 명 인구의 다른 지역 축구팀을 상대하면서도 그랬다. 대한민국 축구가 스위스와 영국, 최종에는 일본을 꺾고 런던 올림픽 동메달을 차지한 사실도 묘하게 오버랩된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다소 암울하다. 1994년 출범한 중국 프로축구리그에서 이제는 2부리그의 하위 팀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후원도 줄어들며 후진 양성도 어렵다. 모두 급속하게 줄어드는 조선족 사회의 인구 때문이다.
그럼에도 동포 사회의 구심점인 옌지(延吉)에서는 뭔가 강렬한 욕망이 읽힌다. 지난 7월 27일 옌지 인근의 룽징(龍井)에서가 그랬다. 마침 그곳에서는 중국 축구 2부리그인 갑급(甲級) 경기가 펼쳐지고 있었다. 이날 날씨는 섭씨 32도. 한여름의 폭염이 사위를 옥죄고 있던 날씨였다. 그러나 오후 2시에 접어들면서 관중들이 경기장인 해란강(海蘭江) 스타디움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옌지와 룽징, 그리고 허룽(和龍) 등 자치주 곳곳에서 삼삼오오, 또는 차량을 대절해 경기장을 찾아온 동포들이었다. 대다수가 동포라고 추정됐던 그날의 관중 수는 뜨거운 여름 날씨에도 불구하고 3000명 정도에 달했다. 경기는 동포로 구성된 옌볜 ‘장백 호랑이’ 팀과 리그 1위를 달리는 상하이(上海) 선화(申花) 팀 사이에 벌어졌다. 상하이 팀 선수들은 동포 선수들에 비해 머리 하나 정도가 커보였다.
그러나 경기 초반은 ‘호랑이’의 압도적 우세였다. 2부리그 하위를 맴돈다는 사실을 전혀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렬한 체력이 돋보였다. 중원의 압박과 정교한 패스가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후반으로 갈수록 주도권은 상하이 쪽으로 넘어갔다. 경기 결과는 3대0, 상하이 팀의 승리였다.
경기 도중 관중석의 열기는 뜨거웠다. 끊임없이 박수와 환성이 오르고, 경기를 지연시키는 상하이 선수들을 향해서는 여지없이 비난의 함성이 날아갔다. 패색이 짙은데도 그를 지켜보는 관중들의 분위기는 여전했다. 경기가 끝난 뒤 관중석을 빠져나가는 사람에게 물었다. “져서 실망이지요?” 그런 질문에 허룽에서 차를 대절해 왔다는 60대의 남성 동포는 “이겨도 겨레요, 져도 겨레입니다”면서 씩 웃었다.
경기 뒤 양측 감독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기자들의 질문 속에 누군가 쑥 끼어들었다. 신문지를 말아 쥔 반바지 차림의 한 동포 남성이 “조 감독님, 왜 프리킥 때 직접 차지 않고 패스를 한 번 하더랍니까…도대체 왜 그랬단 말입니까?” 억센 함경도 사투리였다. 그는 곧 관계자들의 제지를 받았다. 자신을 팬이라고 밝힌 이 30대 남성은 못내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지으며 관계자들에게 이끌려 나갔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축구 열기는 그렇게 뜨거웠다. 팀이 비록 2부리그 하위에서 맴을 돌든지, 아니면 그 이상으로 처져 있든지 상관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오직 동포 축구팀이 존재하면 나는 그를 향해 응원을 보내겠다는 분위기가 역력해 보였다. 오후에 현지 스포츠 관계자 한 사람을 만났다. 그는 “조선족 자치주는 축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곳이라서 그렇다”는 말을 했다. 그는 이어 “일제 수탈을 피해 이주해 온 조선인 역사는 늘 축구와 명맥을 함께했다”며 “지금도 ‘언젠가 중국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자신감 하나만은 정말 대단하다”고 말했다.
경기를 지휘한 한국 전 국가대표 출신인 조긍연(51) 감독도 마찬가지였다. 경기 뒤 ‘장백 호랑이’ 합숙소에서 만난 그는 “잘만 받쳐주면 올해 연말에는 1부 수퍼리그 진출이 가능하다”며 “큰 문제는 경제적인 지원이고, 많은 동포를 중국에 남겨 둔 한국인의 관심”이라고 말했다. 조 감독은 “부임 두 달에 불과하다. 좀 더 빨리 와서 선수들의 기초 체력 보강에 주력했다면 오늘처럼 후반에 골을 많이 먹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감독에게 쏟는 현지의 열기는 대단하다. 현지 동포들은 1996년 몰락했던 옌볜팀을 1부리그 4위까지 끌어올리며 중국 내 동포들을 감격과 환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고(故) 최은택(2007년 작고) 감독의 그림자를 그로부터 읽고 있어서다. 보수를 기대하지 않고 민족적인 감정에 이끌려 한국에서 옌볜으로 왔던 고 최은택 감독은 지금까지 중국 동포들 마음속 ‘영웅 중의 영웅’이다. 포항팀에서 최은택 감독의 지도를 받았던 제자 조긍연 감독도 그런 스승의 발자취를 따라 이곳에 왔다.
조 감독은 “보수를 기대하고 여기에 오지는 않았다. 내 축구 인생을 마지막으로 여기서 꽃피워 보고 싶은 생각이다. 축구를 향한 동포들의 강한 열망이 좋았다. 어떻게 해서든 1부리그에 오른다면 동포들의 뜨거운 관심 때문에 더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이런 열기를 한국에 전해 뜻있는 독지가들의 지원을 이끌어내고 싶다”고도 말했다.
그에게 “팀 성적이 아주 좋지 않은 상황인데 그런 기대를 품을 만하느냐”고 물었다. 조 감독은 “중국 선수들에 비해 동포 선수들은 복종심이 강하고, 단체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정신이 강하다. 비록 체력은 달리지만 훈련을 통해 극복한다면 정말 한번 붙어볼 만하다”고 말했다. 그는 “악착같이 달려들어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게 한반도 사람들의 축구 체질”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분위기는 무르익고 있다. 올해 9월이면 옌볜 조선족 자치주가 출범한 지 60주년을 맞는다. 현지의 한 관계자는 “자치주 정부 또한 현지 동포들이 ‘겨레의 상징’이라고까지 부르는 축구 진흥책에 관심이 높다”며 “지역 내 각 기업을 독려해 3000만 위안(약 54억원) 정도의 후원자금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지에서 축구 전문기자를 만났다. 그는 우선 “조금만 집중하면 조선족 축구팀이 못할 게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중국 국가대표팀에 김경도, 베이징(北京)팀 궈안(國安)에서 박성 선수가 활약하는데 이들에 대한 중국 축구계의 평가가 아주 높다”며 “체계적으로 선수들의 체력을 보강하면서 높은 수준의 전술과 전략을 익히도록 하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옌볜 축구팀은 요즘 돈이 없어 전지훈련도 가지 못한다”며 “그나마 우리를 반겨주는 곳은 조선(북한)에 불과하지만 좋은 환경을 갖춘 한국에서 전지훈련이라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수의 대우도 문제다. 연봉 1000만 위안(약 18억원)을 받는 선수가 즐비한 중국 프로축구계에서 옌볜팀 축구선수는 월 9500위안(약 170만원)이 가장 높다. 사정이 그렇다 보니 축구에 마음을 쏟는 젊은 동포들이 점차 없어져 간다는 얘기다.
“중국 조선족은 아직 겨레 의식이 강하다. 게다가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는 중국 동북3성은 대규모 개발을 앞두고 있다. 겨레의식이 남다른 동포들은 한국의 영원한 원군(援軍)이다. 국적으로 갈라져 있기는 하지만 교류를 활성화하면 그만큼 연대의식이 부활하지 않을까. 한국의 선택이 어때야 할까?” 한국과 중국의 수교 20주년, 게다가 덧붙여 조선족의 문제를 묻는 질문에 옌볜 현지 기자가 되돌려준 물음이다.
옌지=유광종 기자 kjyoo@joongang.co.kr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공은 굴렸지만… 중국축구의 참담한 자화상”
[동포투데이]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중국 축구대표팀이 또다시 예상된 절망을 재확인시켰다. 관찰자망은 5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와의 원정 경기 참패 후 “가장 용기가 필요한 순간, 국가대표팀이 스스로 자멸을 초래했다”고 냉철한 비판을 쏟아냈다. 이 매체의 논조는 단순한 경기 결과 ...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동포투데이] “중국 선수 연봉이 일본·한국의 3분의 1이다. 더 깎으면 누가 축구를 하겠는가?” 전 국가대표 쉬량(徐亮)이 최근 생방송 도중 내뱉은 이 한마디가 중국 축구계에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팬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실력은 바닥인데, 연봉 걱정이 먼저냐는 것이다. 쉬량은... -
'축구 무덤' 중국, 또 월드컵 탈락! 한국은 11회 연속 본선행
[동포투데이] 2026년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명암이 극명히 갈렸다. 중국은 조기 탈락의 고배를 마시며 월드컵 무대와 인연을 맺지 못했고, 한국은 이라크 원정에서 2-0 승리를 거두며 11회 연속 본선 진출이라는 금자탑을 세웠다. 요르단과 우즈베키스탄은 사상 첫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 지으며 ... -
중국 축구의 참담한 현실…“이제 우리는 아시아 3~4류”
[동포투데이]중국 축구가 다시 한 번 깊은 절망에 빠졌다. 최근 열린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중국 축구대표팀은 참담한 성적으로 탈락했다. 첫 경기에서 일본에 0-7로 대패한 데 이어,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도 0-1로 무릎을 꿇었다. 경기력뿐만 아니라 축구 전반에 걸친 총체적 부실이 적나라하게 드... -
“축구는 혼자 하는 게 아니다”...이기형 감독이 말하는 연변의 ‘5연승 공식’
[동포투데이]연변에 ‘이기형 매직’이 불고 있다. 연변룽딩커시안(延边龙鼎可喜安)을 이끄는 이기형 감독이 2025시즌 중국 갑급리그에서 홈 5연승을 기록하며 돌풍의 중심에 섰다. 날카로운 전술, 탄탄한 멘털 코칭, 그리고 팬들과의 교감까지, 모든 퍼즐이 맞아떨어지며 연변은 ‘홈 무패 신화’를 쓰고 있다. “겨울부...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동포투데이] 6월 18일 새벽, 새롭게 개편된 FIFA 클럽월드컵 무대에서 아시아 축구가 다시 한 번 쓴맛을 봤다. 우라와 레즈와 울산 HD가 각각 아르헨티나 명문 리버 플레이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마멜로디 선다운스에 1-3, 0-1로 완패했다. 중국 관영 매체인 베이징칭녠바오(北京青年报)는 “아시아 축구의 현실은 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