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일본 자동차 대기업의 위기... 중국, 아시아의 판도를 바꾸는 방법은?

  • 허훈 기자
  • 입력 2024.11.28 09:5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000014222.jpg

 

[동포투데이] 한때 혁신과 신뢰성의 상징이었던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역동성이 변화하는 가운데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중국은 전기차 분야에서 선두 자리를 공고히 하며 전통 기업을 위협하는 강력한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다.


 Bloomberg는 논평에서 이러한 변화가 아시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고 지적했다. 아시아에서는 한때 일본 브랜드에 대한 확고한 충성심이 사라지고 중국 기업의 영향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동남아시아에 공격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토요타, 혼다, 미쓰비시와 같은 브랜드의 보루로 여겨졌던 지역에서 빠르게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블룸버그의 단독 분석에 따르면 2019~2024년 사이 중국,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시장점유율 손실이 가장 심각했다. 중국에서는 블룸버그가 추적한 6개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모두 시장 점유율을 잃었다. 2019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거의 모든 자동차가 일본 브랜드일 정도로 일본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동남아시아에서는 중국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특히 태국과 싱가포르에서는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의 점유율이 2019년 50% 이상에서 2024년 35%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1000014220.jpg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고율 관세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 자동차를 대량 판매하지 않고 있음에도 아시아 시장 점유율 상실은 유럽과 미국에서 일본차의 위상 하락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전반적으로 순수 전기차 분야에서 진전이 더딘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첨단 배터리 기술과 지능형 소프트웨어가 승자를 결정하는 산업에서 더욱 뒤처지고 있어 큰 대가를 치를 수 있다.


토요타가 동남아시아에서 강점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단지 이 지역에서의 제조 능력과, 대형 엔진을 얹은 가솔린 차량들이 현지 구매자들의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자카르타에서 도요타는 여전히 인도네시아 수도 도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닛산과 같은 브랜드들은 구식 라인업으로 인해 거의 도태되고 있다. 


그러나 비야디는 지난 7월 고객들에게 첫 차를 인도한 뒤 지난달 인도네시아 판매량 6위를 기록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값싼 배터리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기업이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면서 해외 공급망을 구축하는 능력도 중국 기업이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 유역비, 37세에도 ‘요정 미모’ 과시…“나이는 숫자일 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일본 자동차 대기업의 위기... 중국, 아시아의 판도를 바꾸는 방법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