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중국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에 대한 무사증 입국을 완화하는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17일부터 경유 무사증 외국인의 국내 체류시간을 기존 72시간과 144시간에서 240시간(총 10일)으로 연장하는 한편 국경통과 무비자 입출국장으로 21개 항만을 신설하고 체류활동지역도 미국, 영국, 러시아 등 54개국으로 더 확대하기로 했다.
중국 이민관리국은 17일 오전 올해 들어 11월까지 전국 항만을 통해 입국한 외국인 수가 2921만 8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2%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무사증 입국자는 1744만 6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배 이상 증가했으며, 올해 도입된 72시간, 144시간 무비자 입국 정책 이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배 이상 증가했다.
당국은 앞으로 유럽 40개국과 러시아, 브라질, 영국, 미국, 캐나다 등 총 54개국의 적격 방문객은 과거 19개 성, 시 39개 입국항보다 늘어난 24개 성, 시 60개 입국항에서 비자 없이 제3 국으로 환승 이동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입국 후 환승객은 지정된 지역에서 최대 240시간까지 체류할 수 있으며, 기존 푸젠성, 후베이성, 산시성뿐만 아니라 안후이성, 하이난성, 구이저우성이 새로 추가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성-시가 18곳으로 늘어났다.
이민관리국 관계자는 "이번 정책 완화는 중외 인적 왕래와 대외교류 협력을 촉진하고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출입국 편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해 외국인의 중국 내 학습·업무·생활의 편의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
단기체류 외국인 숙박신고제 10월 24일부터 시행…APEC 정상회의 대비 보안 강화
[동포투데이]법무부가 오는 10월 24일부터 11월 1일까지 부산·대구·울산 및 경상남북도 지역에서 단기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숙박신고제’를 한시적으로 시행한다. 이는 10월 27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테러 위기 경보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 -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일본 국적 화교의 고민
[동포투데이] 도쿄 이케부쿠로의 한 중식당. 손님들의 웃음소리와 중국어 주문 외침이 뒤섞이며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그 이면에는 고민과 불안이 숨어 있다. 일본 국적을 가진 일부 화교들은 식탁 위의 마파두부를 맛보면서도, 이 맛을 고국으로 가져갈 수 있을지 고민한다. 일본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면...
실시간뉴스
-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일본 국적 화교의 고민
-
단기체류 외국인 숙박신고제 10월 24일부터 시행…APEC 정상회의 대비 보안 강화
-
“두 개의 신분증, 한 세상은 끝났다”… 호주 교민, 중국서 ‘이중국적 단속’에 막혀 출국 불가
-
일본 국적 화교 귀환 움직임…중국 국적 회복, 쉽지 않은 절차
-
“정부, 중국 단체관광객 한시 무사증 시행…‘관광 활성화·불법체류 차단 병행’”
-
“단체 관광은 무비자, 자유여행은 장벽 그대로”…中 관광객들 불만 고조
-
“중국서 아이 낳으면 국적 자동 취득?”… 까다로운 중국 국적법의 현실
-
광복 80주년 맞아, 체류기간 지난 동포에 합법 체류자격 부여
-
정부, 9월 29일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시적 무비자 입국 허용
-
법무부, 외국인 성폭력 사범 581일 만에 본국 강제송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