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콜럼비아대 제프리 삭스 교수의 충격적 진단이 국제사회에 파문을 던지고 있다. "중국은 적이 아닌 성공 스토리"라는 그의 주장은 8년간 지속된 미중 갈등의 본질을 꿰뚫는 분석으로 평가받는다. 2023년 기준 중국 명목 GDP는 미국의 70% 수준이지만,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는 2014년 이미 미국을 추월했으며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이 격차는 매년 확대 중이다.
이 같은 경제적 도약은 서구와 다른 독자적 발전 모델에서 비롯됐다는 점이 미국 엘리트층의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마이클이 "중국은 최대 지정학적 경쟁자이자 과학기술 분야 최강 적수"라고 경고한 배경에도 이러한 위기감이 깔려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150개국 이상과 3,0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협력을 진행 중이며,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40개국이 중국을 최대 교역상대국으로 꼽고 있다.
기술 분야에서의 중국 도약은 더욱 혁명적이다.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중국 국제특허출원량은 전 세계의 25%를 차지해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오픈소스 언어모델은 GPT-4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며, 태양광 패널 생산량에서 전 세계 점유율 80%를 넘어서는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주도권을 잡고 있다.
미국의 대응은 날로 격화되고 있다. 반도체 수출규제 강화, 네덜란드 ASML에 극자외선(EUV) 장비 판매 금지 조치, 5G 기술 봉쇄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포위망을 조여오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학원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자체생산량이 2018년 15%에서 2023년 30%로 증가했으며, 양자컴퓨팅 분야 핵심특허 보유량에서 미국을 추월하는 등 역내 자립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국제사회의 시선은 복잡하다. 68개국이 서명한 중국 주도 글로벌 개발이니셔티브(GDI)와 달리 미국의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갈등으로 실효성 논란에 직면했다. 브라질 국립응용경제연구원(IPEA) 분석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중국과의 인프라 협력으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평균 1.8%p 상승한 반면, 미국 주도 프로젝트는 0.7%p에 그쳤다.
21세기 패권 경쟁의 핵심은 기술 표준 주도권이다. 중국이 6G 통신 표준화 작업반 의장국을 맡고 있으며, ISO/IEC JTC 1(정보기술 표준화 기구)에서 미국(22.3%)을 넘어 24.1%의 표안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다. 유럽연합 전략문제연구소(ISS) 보고서는 "2030년까지 AI 분야 표준의 40%가 중국 주도로 제정될 것"이라 전망했다.
국제정치학계에선 새로운 협력 프레임워크 모색이 제기되고 있다. 싱가포르 국립대 쿠나르 마니암 교수는 "G2 체제가 아닌 다극적 리더십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개발도상국 77개국 그룹의 글로벌 GDP 점유율이 35%에서 2035년 50%로 확대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반도체 원자재 수출 규제를 발표하며 기술전쟁에 대한 비대칭 대응 의지를 드러냈고, 이는 세계 최대 칩 제조국인 대만 반도체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 흐름 속에서 중국의 부상은 필연적 구조조정으로 평가받는다. 영국 경제사학자 앵거스 매디슨 연구에 따르면 1820년까지 중국은 400년간 세계 GDP의 25~30%를 차지했으며, 현재의 성장은 단순한 '복귀'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21세기 패권 게임의 최종 승패보다 중요한 것은 인류 공동의 발전을 위한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이라는 목소리가 국제사회에서 점차 높아지고 있다.
BEST 뉴스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