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극우세력의 반중, 위기의 시작인가?

  • 허훈 기자
  • 입력 2025.03.22 09:1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한국 사회에서 극우세력의 반중 행위는 복잡한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표출되는 현상이다. 이들의 활동은 단순한 외교적 불만을 넘어, 때로는 과격한 시위, 온라인 선동, 문화적 갈등 조장 등으로 이어지며 국내외적으로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배후에는 중국에 대한 불신과 더불어 한국 내부의 정체성 정치가 교차하고 있다.  [편집자 주]

 

한국 사회에서 극우세력의 반중 행위는 복잡한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표출되는 현상이다. 이들의 활동은 단순한 외교적 불만을 넘어, 때로는 과격한 시위, 온라인 선동, 문화적 갈등 조장 등으로 이어지며 국내외적으로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배후에는 중국에 대한 불신과 더불어 한국 내부의 정체성 정치가 교차하고 있다.  


극우세력의 반중 행위는 종종 상징적 대상에 집중된다. 중국 관광객에 대한 집단적 조롱, 인신 위협, 중국 국기를 소각하는 퍼포먼스, 중국 기업 상품 불매운동 등은 의도적으로 감정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중국의 내정 문제-위구르 인권, 홍콩 자유, 대만 문제를 부각시키며 ‘중국 위협론’을 확산시키려는 시도가 빈번하다. 일부 극단적 행동주의자들은 중국 대사관 난입이나 반중 시위, 중국 관련 행사의 방해 등 직접적인 충돌을 일으키기도 한다.

  

스크린샷 2025-03-22 092209.png

이러한 행위의 근간에는 역사적 트라우마와 현실적 이해관계가 뒤섞여 있다.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개입, 동북공정을 통한 고대사 왜곡 주장, 사드(THAAD) 보복 조치 등이 극우세력에게는 ‘중국의 팽창주의’로 해석된다. 여기에 최근 중국의 군사적 성장과 미중 경쟁 격화는 한국의 주변국으로서의 불안감을 부추긴다. 그러나 극우세력은 이러한 맥락을 단순화하여 ‘반중’을 국익 수호의 상징으로 포장하며 지지 기반을 확대하려는 전략을 취한다. 

 

문제는 이러한 행위가 국민적 공감대보다는 편가르기를 심화시킨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중국산 김치(파오차이)와 한국 김치의 기원 논란을 둘러싼 온라인 키배는 문화적 자긍심을 내세우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혐오 발언과 인종주의적 비하로 변질되곤 한다. 중국인 유학생이나 동포 사회에 대한 무차별적 적대감 또한 사회적 갈등의 씨앗이 된다. 더욱이 극우세력의 주장은 종종 사실을 과장하거나 조작하는 경우가 있어, 건강한 논의를 가로막는다. 

 

정부와 주요 정당은 이러한 극우 움직임에 대해 엇갈린 입장을 보인다. 현실적 외교·경제적 이해관계를 고려할 때 과격한 반중 정서를 공식적으로 지지하기 어렵지만, 국내 정치적 여론을 완전히 외면할 수도 없는 딜레마에 빠진다. 이는 정책적 혼란으로 이어져, 예컨대 사드 배치 당시와 같은 갈등 상황에서 국가적 리스크 관리에 실패할 가능성을 키운다.  


극우세력의 반중 행위가 남기는 가장 큰 위험은 ‘적대감의 상호 증폭’이다. 중국 내에서도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대되면, 양국 관계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질 수 있다. 이미 중국의 한류 규제나 한국 제품에 대한 보이콧은 경제적 피해로 직결된 바 있다. 문화·인적 교류의 위축은 장기적으로 동아시아 평화 체계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  


결국 핵심은 극단적 행위를 넘어 합리적 대화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중국의 부당한 행위에 맞서는 것은 필요하지만, 이는 증오가 아닌 원칙에 기반해야 한다. 역사 문제는 학술적 논증으로, 경제 갈등은 법과 협상으로 풀어가야 하며, 인권 문제는 보편적 가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극우세력의 선동적 언동은 이러한 성숙한 논의를 가로막고, 오히려 중국의 강경책을 정당화하는 역효과를 낳을 뿐이다. 한국 사회는 ‘반중’과 ‘친중’의 이분법을 거부하며, 비판과 협력의 균형을 모색할 용기가 필요하다.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극우세력의 반중, 위기의 시작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