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중 FTA 발효시, 중국 바이어 81% 한국산 수입확대

  • 기자
  • 입력 2015.12.01 21:3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통관절차 간소화 등 한중 교역환경 개선 및 한국 제품 환기효과 기대
[동포투데이] 한중 FTA가 발효되면 중국 바이어의 81%가 대한국 수입을 늘리거나 기존 수입선을 한국으로 전환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사장 김재홍)는 FTA 국회 비준을 앞둔 지난달 19~23일 간 중국지역 15개 무역관을 통해 현지 기업 336개사(중국 208개사, 중국진출 한국기업 128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일 이같이 밝혔다.
 
바이어가 꼽은 수입 확대 이유로는 관세철폐에 따른 한국산 제품의 가격인하가 64%로 가장 높게 나왔고 비관세장벽 철폐 효과(17%)와 한국산 제품의 인지도 상승(16%)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한중 간 통관절차 간소화 및 일관성 강화를 통한 한중 교역 환경 개선, FTA 발효 자체가 가져오는 한국 제품에 대한 환기 효과에 대한 기대감 등도 한국산 제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률이 높은 4개 업종(식품, 전기전자, 기계, 유통) 가운데, 기존의 대한국 수입을 늘리거나 한국으로 수입선을 전환하겠다는 비율은 유통(84%), 식품(81%), 전기전자(64%), 기계(6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중 FTA 발효에 따른 유망품목으로는 화장품(20.5%), 가공식품(13.6%), 생활용품(13.2%), 전자(9.2%) 순으로 높은 응답률(복수응답)을 보였다. 이는 현재 대중 수출을 주도하는 대표 품목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FTA 발효로 이 품목들의 대중 수출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한중 FTA를 통한 양국 산업 간 교류 활성화로 인한 부대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 분야 바이어 J사는 “중국 신에너지, 환경 시장 양호한 가운데 양국 관련 기업 간 교류가 증가할 것”이라며,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춘 한국 기업들에게는 시장 진입의 기회가 그 만큼 많아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한중 FTA에 따른 양국 경제관계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면서 단순 수출입 교역을 넘어 기술협력과 투자 등을 통한 전략적 협력이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웨어 및 IT 서비스 제공업체인 S사도 “한중 FTA를 맞아 중국 내 각 업종의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 기업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장병송 KOTRA 중국사업단장은 “한중 FTA를 대중 수출 활력을 되찾는 모멘텀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케팅과 홍보 사업 등을 강화할 것”이라며, “특히 기존에 한국 제품을 수입한 적이 있는 기업들의 구매를 확대 유도하는 동시에, FTA 발효를 계기로 한국산으로 수입선을 전환할 의향이 있는 바이어도 적극적으로 발굴해 FTA 효과를 극대화 하겠다”고 말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 황영웅, 네티즌 어워즈 남자가수상 ‘독주’…팬미팅도 1분 매진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한중 FTA 발효시, 중국 바이어 81% 한국산 수입확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