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포투데이] 스웨덴 노벨재단은 앞서 보도자료를 내고 “스웨덴·노르웨이와 공식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모든 국가 대사를 시상식에 초청할 예정”이라며 “러시아·벨라루스·이란 대사도 초청 명단에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이 결정은 스웨덴의 주요 정당의 불만과 보이콧을 불러일으켰다. 여론의 압력으로 스웨덴 노벨재단이 토요일 러시아 벨라루스 이란 대사 초청을 취소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휴머니즘의 승리라고 화답했다.
노벨재단은 1일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는 스웨덴의 모든 민주적 절차를 거쳐 국회에 입성한 모든 정당의 당대표를 비롯해 스웨덴 및 노르웨이와 공식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 대표들을 시상식과 만찬에 초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노벨재단은 세계가 점점 더 분화되고 서로 다른 관점 간의 대화의 여지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초청 명단을 확대해 노벨상과 그가 대표하는 의미인 자유로운 과학, 자유로운 문화, 자유와 평화의 사회를 함께 축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러시아·벨라루스·이란(인권탄압) 대사가 초청되는 것에 대해선 스웨덴 정당과 여론은 외면하고 있다.
스웨덴 중앙당 당수인 무하렘 데미록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에서 “노벨상 시상식과 만찬에 기꺼이 참석하고 연구와 인류 진보를 축하하고 싶지만 조건 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하는 한 같은 행사에 러시아 대사와 함께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사회민주당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당수는 “노벨상이 지난해 러시아 대사를 초청하지 않은 것은 현명한 결정이었지만 올해는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에 폭탄이 계속 떨어지는 이때 러시아 대표와 함께 노벨상 잔치에 참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벨재단은 지난해 러시아와 벨라루스, 이란 대사를 초청하지 않았다. 강력한 반발에 직면한 재단은 1일 스웨덴 내 강한 반발을 인식하고 러시아와 벨라루스 이란 대사를 노벨상 시상식에 초청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우크라이나는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니컬렌코 우크라이나 외교부 대변인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에 러시아 대사를 노벨상 시상식에 초청하지 않기로 한 결정은 휴머니즘의 승리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의 회복을 요구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하다. 오슬로 주재 러시아 및 벨라루스 대사에 대해서도 비슷한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