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거리는 노랗고 붉게 물들어 완연한 가을이다. 오가는 차들과 아름다운 거리를 거니느라니 한국에 온지 어언간 여섯번째 가을을 맞는 이시각 저도 모르게 숨 쉴 틈도 없이 달려 온 자기를 뒤돌아 보게 된다.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후 무던하고 말수가 적은 남편은 언 제나 저의 의사를 잘 따라 주었으며 시골에서 아들들의 공부 뒤바라지를 하느라고 경제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언제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여준 그였다. 힘들고 벅찬 나날들을 다 넘기고 출국이 자유로와 지면서 남편이 먼저 고령 동포로 입국하여 시골에서 토마토 농장에서 일한 석달 노임 270만원은 사장이 잠적하여 못받기도 하고 나주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일하기도 하다가 만 삼년이 되여 고향에 갔다 온 후에는 천안의 양돈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여 체류 자격을 변경하고 그 곳에서 계속 일하고 있다.
매일 굴암퇘지와 새끼 돼지 백 여마리를 먹이를 주고 돼지우리를 청소하고 설사를 하는 돼지 새끼들은 제때에 주사도 놓으면 정성 들여 키워야 함은 물론이고 돼지 분변 냄새가 코를 찌르는 돈사에서 일하기란 쉽지 않다. 다행이도 남편은 비염이 심해서 어지간한 냄새는 모르고 지독하게 냄새가 나야 아니 그나마 참을만 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여지껏 살아 오면서 난 그이를 잘 안다고 생각했지만 아직도 그의 내심 세게와 그에 대한 관심이 적다고 생각하며 마음이 알짝지근해 난다. 내 마음속엔 아들들의 전도만 생각하고 일군으로만 생각한 내가 야속하고 그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여 번 돈은 응당하다고 받아 들이고 가정의 계획과 노후 준비를 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작년 가을부터 남편을 생각하여 홍삼정을 사서 보내 주었으며 봄과 가을에 주기적으로 복용하고 하였다.
우리 가난이 지겨워 고국에 와 돈을 벌어 경제적으로 부를 이루어 아파트를 사고 자식들의 교육비도 대면서 좋은 것을 얻었지만 단란하게 모여 살지 못하고 서로 그립고 고독한 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비일비재다. 오늘 생각해 보니 얻은 것도 많고 희생도 있다고 생각한다.
오늘도 열심히 일한 남편에게 수고 많으시다고 사랑의 메세지 전하고 싶다.
감 천
2013년 10월 30일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