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동포투데이] 미국이 최근에 중국의 5,000여억 달러 상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협박에 가오펑(高峰) 상무부 대변인은 26일, 이런 전형적인 극에 달한 압박과 공갈 수법은 중국에 아무 소용 없을 것이고 중국은 나라의 핵심이익과 중국 인민의 이익을 단호하게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가오 대변인은 당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미국의 관련 언론에 예의주시를 돌렸다. 미국은 국내 정치 형국을 고려해 어렵게 얻은 글로벌 경기회복이 가져온 양호한 환경에 손해를 끼치는 것도, 글로벌 가치사슬에 있는 기업과 소비자의 이익에 영향을 주는 것도 마다하지 않고 사방에서 무역마찰을 도발하거나 격화시키고 있다. 이런 이성적이지 못한 언행은 극히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가오 대변인은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301조사를 가동한 이래, 미국은 여러가지 무역마찰을 격화시키는 조치를 한시도 멈추지 않았으면서 오히려 중국이 담판을 교착 상태에 빠지게 했다고 비난하고 있는데 시비곡직은 굳이 변명하지 않아도 명백하게 나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협상의 전제는 성실과 신용이고 본인이 아는 바에 의하면, 현재 쌍방은 담판 재기에 대해 전혀 접촉한 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가오 대변인은“여러 번 강조했다시피 중국은 무역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두려워하지도 않고 나라의 핵심이익과 중국 인민의 이익을 단호하게 수호할 것이며 글로벌 각 무역 파트너와의 경제무역 협력을 강화하고 공동으로 자유무역원칙과 다자무역체제를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오 대변인은 또 퀄컴의 NXP 인수가 무산된 것은 반독점법과 관련된 문제이고 중미 무역마찰과 무관하다고 말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동포투데이] 한국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이 10월 초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이 중국인을 특정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내놓아 논란이 일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산하 <This Week in Asia>는 14일, 국민의힘... -
“중국을 알려면 현실을 봐야” — 세계중국학대회 상하이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의 부상과 세계적 영향력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국 학계와 해외 연구자들 사이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 중국과 해외 학자 500여 명이 참석한 ‘제2회 세계중국학대회’가 14일 상하이에서 개막했다. 올해 대회 주제는 ‘세계의 시각에서 본 역...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840만 한국인 중국행”… 여행이 바꾼 중국에 대한 시선
-
중국 상업용 로켓 ‘세레스-1(Y19)’ 발사 실패, 갤럭틱 에너지 사과
-
비야디, 2027년 상용화 목표 ‘1200km 주행’ 고체 배터리 공개
-
중국 3억 명 ‘싱글 세대’의 현실… 사랑보다 생존이 먼저
-
“120세 시대 연다?” 중국 바이오기업, 장수 약물 개발 착수
-
전라남도 인근 해상서 중국 어선 전복…2명 사망·3명 실종
-
“이젠 중국 기술이 세계 최고” 브라질 젊은층 사로잡은 ‘차이나 브랜드’
-
우전서 펼쳐진 ‘AI 향연’… 세계가 주목한 디지털 미래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
中 ‘푸젠함’ 취역… “美 해상 패권 흔드는 신호탄”





